• Title/Summary/Keyword: 품온

Search Result 68,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Analysis of Heat Transfer in Precooling of Fruits and Vegetables by Hydrocooling (수냉각에 의한 과채류 예냉의 열전달 해석)

  • 조용진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v.21 no.3
    • /
    • pp.372-378
    • /
    • 1996
  • 예냉(precooling)이란 과채류 수확시의 높은 품온을 일정한 수준까지 신속히 떨어뜨리는 작업이다. 과채류는 생명체이기 때문에 수확으로 인해 생리 환경이 크게 변하게 되어 고온과 외부 오염원에 매우 취약한 상태로 바뀌게 된다. 수확 직후의 품질 관리와 관련하여 가장 중요한 처리는 품질 유지에 적합한 수준까지 과채류의 품온을 낮추는 작업 과 미생물, 곤충 등과 같은 각종 오염원을 제거하는 작업이다. 과채류의 품온을 낮추기 위해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처리 방법이 예냉이다. (중략)

  • PDF

Utilization of ventilation Pipe to Decrease Commondity Temperature and Rot of Soybean Sprouts (환기봉을 이용한 재배용기 내부 콩나물 품온 저하 및 부패 경감)

  • 이영상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9 no.2
    • /
    • pp.101-106
    • /
    • 2000
  • The practicality of utilizing ventilation pipe to enhance soybean sprout productivity by lowering commodity temperature and resultant sprout rot was tested. The ventilation pipes with holes for aeration were vertically installed inside of a sprout cultivation container prior to adding soaked soybean seeds. The time-series changes in sprout commodity temperature and resultant growth, yield, marketable sprout percentage, and rot of soybean sprouts were measured. The ventilation pipes effectively decreased sprout commodity decreased sprout commodity temperature by 4.7$^{\circ}C$. Ventilation pipes also enhanced sprout yield and marketable sprout percentage by 3.9% and 4.0%, respectively, while reducing sprout rot by 4.1%. In conclusion, ventilation pipe seems a practical and effective non-chemical method to enhance the productivity of soybean sprouts.

  • PDF

Development of Vacuum Cooling for Agriculture Products (농산물 진공예냉장치 개발)

  • Lee, W.O.;Yun, H.S.;Chung, H.;Lee, H.D.;Cho, K.H.;Lee, K.H.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2.07a
    • /
    • pp.195-201
    • /
    • 2002
  • 입고ㆍ예냉ㆍ출고까지 전 공정을 자동화하고 진공압력을 작물의 품온에 따라 능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진공챔버내에 콜드트랩을 설치하여 냉각효율을 향상시킨 진공예냉장치를 개발하여 고랭지 배추와 느타리버섯, 상추를 대상으로 예냉성능을 평가하고 예냉이 이들 작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가. 새로 개발된 진공식 예냉장치는 공급컨베이어, 좌우 자동 슬라이딩 문, 이송컨베이어, 진공챔버, 진공펌프 콜드트랩, 냉동기로 구성되어 있다. 팔레트를 공급컨베이어에 올려놓고 작동을 시작하면, 입구문이 열리고 팔레트가 진공챔버내로 이송되면, 진공펌프에 의해 진공챔버내의 압력을 떨어뜨리고, 콜드트랩과 냉동기가 작동되어 예냉이 시작된다. 예냉이 완료되면 출구문이 열리고 이송컨베이어가 역회전하여 밖으로 배출되도록 되어있다. 나. 제작된 예냉장치의 예냉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느타리버섯, 고랭지 배추, 상추를 대상으로 냉각속도, 냉각균일도, 예냉후 저장중 품질변화시험을 실시하였다. 다. 시험결과 냉각소요시간은 느타리버섯의 경우 초기품온 15.2$^{\circ}C$에서 $1.5^{\circ}C$까지 냉각시키는데 24분, 고랭지배추는 13.5$^{\circ}C$에서 3.7$^{\circ}C$까지 냉각시키는데 18분, 상추는 13.4$^{\circ}C$에서 2.$0^{\circ}C$까지 냉각시키는데 24분 소요되었다. 평균냉각속도는 느타리버섯이 34.3$^{\circ}C$/h, 고랭지배추 32.6$^{\circ}C$/h, 상추 28.5$^{\circ}C$/h로 나타났다. 라. 또한 각층간의 냉각균일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포장상자내에서 표면 품온과 내부품온변화를 조사한 결과 차이가 거의 없어 균일한 냉각이 가능하였다.생기 양단의 온도차는 높게 나타났고, 재생기 양단의 압력 차는 낮게 나타났다. 재생기 축열재로서 철망-철선을 사용할 경우 철선-철망 ø1.2-150이 전열 표면적은 작으나 재생기 양단의 온도차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생기 양단의 압력 차는 가장 낮게 나타나 공시 철망- 철선 혼합 축열재중 가장 우수함을 알 수 있다. 4. 철망사이에 철선을 삽입한 축열재의 경우, 철망사이에 삽입한 철선의 직경이 큰 것이 철선의 직경이 작은 것보다 재생기의 양단의 온도차가 높게 나타났고 재생기 양단의 압력차는 작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철망사이에 철선을 삽입한 것 중 성능이 우수한 것은 150-ø2. 0-150으로 나타났다. 5. 실험한 재생기 축열재들 중에서 성능이 우수한 것들을 비교한 결과, 복합 철선 ø1.2-1 50이 가장 성능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적외선.열풍 복합건조방법이 높게 나타나 이것은 곡물 표면에 원적외선 방사에의한 복사열이 전달되어 열장해를 받았기 때문으로 판단되며, 금후 더 연구하여 적정 열풍온도 및 방사체 크기를 구명해야 할 것이다.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옻나무 유래 F는 포유동물의 생식기능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사료된다.된다.정량 분석한 결과이다. 시편의 조성은 33.6 at% U, 66.4 at% O의 결과를 얻었다. 산화물 핵연료의 표면 관찰 및 정량 분석 시험시 시편 표면을 전도성 물질로 증착시키지 않고, Silver Paint 에 시편을 접착하는 방법으로도 만족한 시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째, 회복기 중에 일어나는 입자들의 유입은 자기폭풍의 지속시간을 연장시키는 경향을 보이며 큰 자기폭풍일수록 현저했다. 주상에서 관측된 이러한 특성은 서브스톰 확장기 활동이 자기폭풍의 발달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시사한다.se that were all low in two aspects, named "the Nonsignificant group". And th

  • PDF

발효온도가 진양주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 김철암;김태영;정희종;은종방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ostharvest Science and Technology of Agricultural Products Conference
    • /
    • 2003.10a
    • /
    • pp.202.2-203
    • /
    • 2003
  • 전통주의 계승발전을 위해 전통주의 개선과 재현의 필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지난날 맛 좋았던 우리의 전통주의 연구와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최근 미곡의 과잉생산으로 인한 과잉쌀 생산에 대한 수요체 창출을 위한 쌀가공품의 개발이 매우 시급한 실정이다. 최근 알콜농도가 낮은 술을 선호하는 경향과 전통주의 특수한 풍미로 인하여 현재 전통주는 많은 사람들로부터 각광을 받고 있어서 현재 몇몇 지역에서 민속주와 토속주가 허가되어 시판되고 있다. 진양주는 전남 해남지역의 전통민속주로서 해남지역에서 생산되는 찹쌀을 원료로 하여 상온에서 발효시키는 독특한 방법으로 제조되는데 이 진양주는 발효과정에서 외부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된다. 그중 외부온도는 진양주의 품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아직까지는 진양주제조과정에서 최적발효온도에 대한 연구는 보고된 것이 없다. 본 연구에서는 발효온도를 2$0^{\circ}C$$25^{\circ}C$로 하였을 때 발효과정에서 술의 품온, pH, 당도, 알콜함량, 총산의 변화를 조사하였으며 관능검사를 통하여 종합적인 기호도를 평가하여 최적의 발효온도를 탐색하고자 했다. 발효과정에서 술의 품온은 온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pH는 pH-meter로 측정하였으며 당도는 당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알콜함량과 총산은 국세청의 주류분석규정에 따라 증류법과 중화적정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관능검사는 식품공학과 대학원생과 학부생 10명을 대상으로 종합적인 기호도에 대하여 5단계 평점법으로 실시하였다. 2$0^{\circ}C$에서 발효시 품온은 20.2~23.8$^{\circ}C$사이에서, $25^{\circ}C$에서 발효시 품온은 25.2$^{\circ}C$~28.2$^{\circ}C$사이에서 변화되었고 pH는 2$0^{\circ}C$ 발효시 3.47~4.62 사이에서, $25^{\circ}C$ 발효시 pH는 3.28~4.65사이에서 변화되었고 최종 pH는 2$0^{\circ}C$에서 발효시 3.71로써 $25^{\circ}C$ 발효시 3.58보다 높았다. 최종당도는 2$0^{\circ}C$, $25^{\circ}C$ 발효시 각각 10.2。Brix와 8.4。Brix 였고 알콜농도는 2$0^{\circ}C$발효시 13.8%로 $25^{\circ}C$ 발효시 14.8% 낮았으며 총산은 2$0^{\circ}C$ 발효시 1.32%로 $25^{\circ}C$ 발효시 1.62%보다 낮게 나타났다. 관능검사를 통한 종합적인 기호도는 2$0^{\circ}C$에서 발효시킨 진양주가 4.2로써 $25^{\circ}C$에 발효시킨 진양주 3.5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시 $25^{\circ}C$에서 발효한 진양주는 신맛이 많이 난다는 결과로 볼 때 최종 pH가 3.58로 낮고 총산이 1.62%로 높아서 나온 결과라고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진양주를 제조할 시 발효온도는 2$0^{\circ}C$가 발효온도 $25^{\circ}C$보다 더 적합하다고 생각된다.

  • PDF

Study of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Seasoning Oil as Red Pepper Seed Oil Substituted: Manufacturing of oil soluble natural black pigment from Gardenia and Kaoliang (고추씨 기름 대체 향미유 개발에 관한 연구: 치자, 고량을 이용한 유용성 천연 검정색소의 제조)

  • 구본순;김덕숙
    • Food Science and Preservation
    • /
    • v.11 no.1
    • /
    • pp.42-46
    • /
    • 2004
  • Each pigments were obtained by ethyl alcohol extraction method, blue and yellow pigment from Gardenia as well as dark brown pigment from Kaoliang. Concentration of these pigments are all 60 Brix, the extraction yields were 0.68, 1.97, 0.63 %(w/w), respectively. Oil soluble natural black pigment (OSNBP) was composed of soybean oil, water, emulsifier, Gardenia blue and yellow, Kaoliang dark brown etc. Blending ratio of these was 8: 22: 42: 10: 15: 13 (w/w), this mixture was carried out homogenized. Solubility of this OSNBP in soybean oil was appeared the maximum level at about 30∼40$^{\circ}C$ range. OSNBP solubilized black oil was not reseparated at below 20$^{\circ}C$.

Characteristics of Takju with Different Varieties of Rice and Particle Size (쌀의 품종과 입도를 달리한 탁주의 품질특성)

  • Lee, Hyo-Jeong;Lee, In-Sook;Jeong, Hee-Sun
    • Culinary science and hospitality research
    • /
    • v.18 no.3
    • /
    • pp.191-205
    • /
    • 2012
  • Due to a surplus of rice on the market,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developing better processed rice products, especially rice liquor or spirits which are popular and have a large market value. In this study, Takju was made with different varieties of rice and rice powder particle sizes, after which a taste survey was performed and measurements were taken on the characteristics of Takju including the temperature of the fermenting material, sugar content, alcohol content, acidity, amino acid types, colors, etc. The varieties of rice used in the study included Chucheong, Hiami and Anda. The temperature of the brew for each kind of Takju reached its highest point 48 hours after preparation. Differences among rice varieties were only apparent in the acidity and taste evaluations. The acidity was found to be highest with Anda, followed by Chuchoeng and Hiami. Chuchoeng had the highest taste evaluation scores. With regards to particle sizes, the alcohol content and acidity were found to be highest with coarse rice powder while ultra fine rice powder showed the highest fermenting temperature, sugar content, acidity, amino acid type, pH level, color and taste scores right after prepar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mong the kinds of Takju made from different rice varieties and particle sizes, the one made from Chucheong ultra fine rice powder is the most preferable over other variatio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