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표준 단위

Search Result 1,025,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Establishment of the ′Standard Hangul Phoneme into Character Conversion Rule′ (한국어 음가/ 한글 표기 변환을 위한 표준 규칙 제정)

  • 이계영;임재걸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2.05c
    • /
    • pp.128-132
    • /
    • 2002
  • 한글 표기를 음가로 변환하는 규칙을 역으로 적용하여 음가를 한글 표기로 전환시키는 표준 규칙을 고안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표다. 이러한 표준 규칙은 음성인식에 반드시 필요한 귀중한 자료가 된다. 음성 인식은 표준으로 기록된 음성의 패턴과 입력을 비교하여 가장 유사한 패턴을 찾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때 표준 음성 패턴이 띄어쓰기 단위라면 수백만 개의 표준 패턴이 수록되어야 한다. 이렇게 하면 표준 패턴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도 너무 커지고 비교회수도 너무 많아져서 실용화가 불가능하다. 그래서, 음절단위로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음절단위로 인식하면 인식된 음가가 한글 표기 문법에 맞지 않으므로, 인식 결과를 출력할 때에는 음가를 그대로 출력하는 것이 아니라 한글표기로 변환하여 표기해야 한다 이때, 본 연구의 연구 결과인 표준규칙을 사용한다.

  • PDF

Improve qualifications of broadcast communications jobs for the NCS utilization (NCS 활용을 위한 "방송통신직종"의 자격 개선)

  • Kim, YoungChul;Song, YoungA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5.07a
    • /
    • pp.92-93
    • /
    • 2015
  • 최근 이슈화되고 있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서 "방송통신직종"의 직무분석과 "국가기술자격검정"의 자격시험제도에 관한 실행방안을 알아본다. 국가직무능력표준은 학벌 중심의 사회에서 능력 중심의 사회로 전환하기 위한 정부의 정책방향에 따라 표준을 구성하였고, 표준에 기반 하여 학교교육 직업훈련 및 자격제도 개편을 하고자 시행되고 있다. 방송통신직종은 대분류가 정보통신이고, 중분류가 방송기술, 소분류가 방송제작기술, 방송플랫폼기술, 방송서비스로 분류되고 있다. 방송통신 직종의 각 세 분류 내에 능력단위를 보고 "국가기술자격검정"의 연관성을 검토하였다. 결과적으로 국가직무능력표준의 직무 능력단위의 수준을 검토함으로서 국가기술자격검정의 자격등급별로 타당성을 비교하였으나 능력단위 수준 및 능력단위의 내용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직업군을 자격검정으로 맞추지 못 할 것으로 판단이 되고, 자격제도의 올바른 시행을 위해서는 세부 항목을 검토하여 세분화하거나 자격검정을 새롭게 분류하여 제도화를 하거나 정비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이 된다.

  • PDF

The Layered Structural Tagging Program for Seaching (언어자료 검색을 위한 계층구조형 형태소 분석 프로그램)

  • Kang, Yong-Hee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1.10d
    • /
    • pp.89-96
    • /
    • 2001
  • 1999년 제1회 형태소 분석기 및 품사태거 평가 워크숍 이후 표준안에 대한 새로운 대안이나 문제제기등을 제시한 논문은 전무하다. 본 연구에서는 평가대회 참가 이후 표준안을 수정한 새로운 유형의 형태소 분석 프로그램을 제작하여 그 실용성과 앞으로의 발전 가능성과 문제점을 밝혀, 계층구조형의 형태소분석 시스템을 채택하고 있는 일본의 JUMAN을 참조 새로운 유형의 형태소 분석형식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일본방송협회 방송기술연구소(이하 NHK기술 연구소)의 의뢰에 인한 것이며 어절단위의 표준안과 다른 형태소 단위를 기본요소로 삼고 있으며 활용형을 갖고 있는 용언에 대해서는 활용형의 전개를 하고 있다. 어절단위로 탈피한 이유는 형태소 분석의 기본요소로써 어절단위 보다는 형태소 단위를 기준으로 삼는 것이 생산성이 높다고 생각된다. 어절정보와 문장정보는 XML(extensible makrup language)등의 별도의 정보를 주는 방법을 채택했다. 음절말음이 자음인지 모음인지의 음운 정보에 따라 활용형을 차별했으며 표준안과 달리 명사의 종류와 개념을 세분화했다. 아울러 조사와 어미등의 검색어와 함께 음절을 형성하고 있는 비검색어 대상은 배제하는 프로그램과 표준안의 어절방식으로 출력하는 3가지 프로그램을 작성했다. 본 연구에서는 계층구조의 형태소분석 프로그램의 가능성과 한국어의 특성을 고려한 출력항목등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PDF

An Analysis of Capacity and Weight in the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들이와 무게의 단위에 대한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분석)

  • Kwon, MiSun;Pang, JeongSuk
    • School Mathematics
    • /
    • v.19 no.2
    • /
    • pp.385-403
    • /
    • 2017
  • This paper analyzed the units of capacity and weight in the mathematics textbooks in terms of units, relationship between the units, and the need of standard uni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representation of the units, the notation of units, the types of units, and the representation of basic amount of units in the mathematics textbooks developed by the 5th, 6th, 7th, 2007 revised, and 2009 revised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respectively. The mathematics textbook developed by the 2009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was found to be generally consistent with the International System of Units (SI). However, the way of defining 1kg through the weight of water was found to be different from the SI.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nits was consistently described only with a written sentence in the previous mathematics textbooks, but the 2009 revised mathematics textbook presents questions and pictures to foster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Finally, activities and questions are required for students to recognize the universality and convenience of the standard units through the inconvenience of arbitrary unit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paper provides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s textbooks in the units of capacity and weight.

The Development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NCS) Regarding Casino Operations Management (카지노운영관리 직무에 관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개발)

  • Kim, Dong-Yeon;Oh, Seung-Gyun;Koo, Ja-Gil;Kim, Jinsoo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v.39 no.1
    • /
    • pp.143-163
    • /
    • 2014
  • This study developed a National Competency Standard(NCS) regarding the casino operations management based on the manual for developing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of 13 years and a revised classification system chart of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For the research method, this study developed a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of relevant jobs after going through review, consultation, modification, supplementation, and reporting procedures 10 times with development experts of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the industrial setting professionals, education and training experts, qualification(job analysis) experts, facilitators, and a working group of job verification committee based on the phased range and DACUM procedure of study. The major development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selected and defined duties based on the revised classification system chart of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then drew and developed total 8 ability units based on the applicable duties. Secondly, based on the developed ability units, total 27 ability unit factors were deduced and developed. Thirdly, a standard system by ability unit factor was developed based on the level of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and revised classification system chart, then this study deduced and developed a supra-domain of the standard system by competency units using the standard tranquility value by these competency unit factors. Based on such development contents and guidelines for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ability unit classification number, this study deduced and developed category numbers by relevant competency unit. Fourthly, total 27 relevant performance standard by competency units and knowledge, skill, and attitude were deduced and developed. Fifthly, this study deduced and developed a scope of application, work situation, evaluation guide, core competency, and development history in reference to the total 8 relevant competency units based on the duties.

자기 표준

  • Park, Po-Gyu;Kim, Yeong-Gyun;Kim, Gyu-Tae
    • 전기의세계
    • /
    • v.58 no.11
    • /
    • pp.51-56
    • /
    • 2009
  • 산업이 고도로 발달함에 따라 자기장의 정밀 측정 및 발생 등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정밀 자기장 측정기를 이용하여 생체.의료공학, 지하광물 및 매설물 탐사, 지진 및 전파방해 예측, 지구물리탐사 및 우주 자기장 분포 측정, 항법장치, 국방 및 우주항공분야, 송유관 부식 연구 등에 활용되고 있다. KRISS에서는 첨단 자기분야의 표준/정밀측정 보급 지원을 위해 자기장 범위 $20\;{\mu}T$ ~ 1.2 mT에서 비자성 실험실, 지구자기장 상쇄장치 등을 이용하여 불확도 (4 ~ 21) ${\mu}T$/T, 자기장 범위 1 mT ~ 2.5 T에서는 헬름홀스 코일, 전자석, NMR 자기장 측정기 등을 사용하여 불확도 (10 ~ 80) ${\mu}T$/T의 표준을 유지하고 있다. 자기장는 자속(magnetic flux) 및 자속밀도(magnetic flux density)로 나눌수 있으며, 그 SI 단위는 웨버(Wb, weber)와 테슬러(T, tesla)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자성재료 등의 특성을 측정하는 전문가들은 SI 단위보다는 지금까지 널리 사용되어온 cgs 단위인 맥스웰(Mx, maxwell), 가우스(G, gauss), 외르스테드(Oe, oersted) 등에 익숙해져 있다. 앞으로 자기분야 전문가들도 기본 SI 단위로부터 소급이 유지되는 SI 자기단위의 사용을 기대해 본다.

  • PDF

A Study on the Perception Level of SI and Radiation Units (방사선 관련 국제단위계 인식정도)

  • Jung, Dong-Hyeok;Park, Jong-Bae;Jin, Gye-Hwa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 /
    • v.4 no.2
    • /
    • pp.31-35
    • /
    • 2010
  • In this study, we surveyed students recognition of the base units and radiation related units among international standard units, and determined the necessity of unit educa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questionnaire composed of 18 questions, and in the survey, students at the Radiology Department were asked about recognition and educ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urvey, around 44% of the students answered wrongly on base unit kV, and around 28% answered wrongly on km. Particularly with regard to the relation between units and numbers, around 57% of the students chose wrong answers. As to prefix mega and giga, respectively, 22% and 20% of the students chose wrong answers. To the question on radiation related unit Sv, around 30% gave wrong answers. Recognition of radiation related units was higher in senior students. To the question of whether to have received special education on units, over 50% of the students replied nega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e necessity of education on international standard units.

A Case Study to Estimate the Unit Standard Infrastructure Cost in Levying the Korean Development Impact Fees (기반시설부담구역제에서의 표준단위설치비용 산정 사례연구)

  • Choei, Nae-Yo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9 no.3
    • /
    • pp.127-136
    • /
    • 2011
  • The typical unit infrastructure cost estimation techniques adopted so far in implementing the Korean Impact Fee Zoning have rather been centered around the unilateral simple cost models. The techniques, as such, have frequently been criticized for their lack of flexibility in properly reflecting the regional differences as well as the peculiarities of individual development projects.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MLTM), in this regard, has recently introduced an enhanced alternative technique. Using the NGIS data, the study probes the viability of the MLTM's new technique by testing the entire estimation process based on the case area in Ansung City. Reflecting the City's characteristics, the study assumes a composite land use plan that accommodates the industrial area in addition to typical residential areas. As an extensive empirical case study, the research has found from the new technique considerable technical merits to overcome the existing shortcomings and summarized its significant policy implications.

국제표준화 동향

  • 박동순;최은만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1 no.2
    • /
    • pp.82-90
    • /
    • 1987
  • 모든 과학기술지식은 객관성을 지닌 관찰과 실험과 측정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이렇게함으로써 과학기술지식은 재현성과 영구성을 가져오게 되며, 올바른 전승과 누적적 발전을 가져오는데 이 과학기술지식의 질서체계를 유지하는데 근본적인 역할을 하는 것이 표준이다. 시간, 길이, 온도, 무게 등의 기본 측정단위와 광속, 중력 등의 물리화학적 상수, 법정계량단위, 각종 공업 규격, 안정 규정 등 수 없이 많은 표준은 효과적인 공동 인식과 객관적 판단의 기준으로 활용되고 있다. 현대의 과학기술이 다양하게 발전하고 이에 따라 우리의 생활도 더욱 복잡한 구조를 이루면서 표준에 대한 필요성도 더욱 높아가고 있다. 표준에 대한 깊은 생각없이도 우리는 자동차에 주유할때 표준단위를 통해 원하는 분량을 말하며, 카메라의 필름 종류를 선택할 때도 국제표준기구(ISO: International Standards Organization)의 규격을 사용하는데 익숙해져 있다. 이렇게 표준은 우리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계에 있으나 소비자 입장에서는 그 가치를 절실히 느끼지 못한 것이 사실이며 표준이 없음으로 해서 일어나는 불편과 혼란에 대해서는 무관심한 것이 사실이다.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표준의 역할을 우리가 잘 이해한다면 표준이 왜 필요한가를 쉽게 인식하게 될 것이다. 최근 정보산업이 새로운 물결로 사회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정보의 수집, 가공, 저장 및 배포의 처리 과정에서도 제반 표준화의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었다. 그 결과로 최근 10여년간에 수백종의 기술기준, 지침서 및 기본/기능 표준규격이 제정되어 왔다. 이와 같이 어떤 특별한 영역에서의 표준에 대한 요구가 있을 때 관련 규격이 제정되게 된다. 표준의 제정을 위한 다음 단계는 그 주제에 관한 표준(또는 규격)개발에 관심을 가진 사람들이 모이는 일일 것이다. 통계분야에서도 몇가지 표준화 활동이 ISO 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면 실험과 검증 결과의 표현과 해석, 표본추출 방법 등에 관한 것으로 이들은 통계의 응용분야에서 꼭 필요한 표준이다. 구체적인 예로서 우리나라 국민의 표준체위값을 설정하기 위하여 측정조사할 때 측정방법 뿐 아니라 표본추출 방법과 통계자료 처리과정의 표준화가 이루어 지지 않는다면 각 기관에서 조사 발표하는 체위관계 자료가 상이하여 국가기관의 통계자료에 대한 신뢰성이 저하되고 통계값을 이용하여 의류, 신발 등의 제품을 제조하는 산업계에 혼란을 야기시킬 수 있다. 본 고에서는 ISO의 활동을 정보처리 분야에 초점을 맞춰 간략하게 설명하고 통계분야의 국제 활동을 비전문가인 필자들이 아는대로 소개하는 한편 국내활동의 필요성을 강조하여 관련 기관, 학계 및 산업계 관련전문가들의 ISO 국내활동 참여를 제의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