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ase Study to Estimate the Unit Standard Infrastructure Cost in Levying the Korean Development Impact Fees

기반시설부담구역제에서의 표준단위설치비용 산정 사례연구

  • 최내영 (홍익대학교 공과대학 건설도시공학부 도시공학전공)
  • Received : 2011.08.19
  • Accepted : 2011.09.16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The typical unit infrastructure cost estimation techniques adopted so far in implementing the Korean Impact Fee Zoning have rather been centered around the unilateral simple cost models. The techniques, as such, have frequently been criticized for their lack of flexibility in properly reflecting the regional differences as well as the peculiarities of individual development projects.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MLTM), in this regard, has recently introduced an enhanced alternative technique. Using the NGIS data, the study probes the viability of the MLTM's new technique by testing the entire estimation process based on the case area in Ansung City. Reflecting the City's characteristics, the study assumes a composite land use plan that accommodates the industrial area in addition to typical residential areas. As an extensive empirical case study, the research has found from the new technique considerable technical merits to overcome the existing shortcomings and summarized its significant policy implications.

지금까지의 기반시설부담금 관련 기반시설설치비용 산정방식은 표준비용모델을 응용한 획일적 단위설치비용을 적용한 것으로서 이러한 획일적 원단위 적용은 비용산정에 있어 지역적 차별화와 개별사업단위 특수성 반영 등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 국토연구원 연구를 통해 국토해양부는 새로운 표준단위설치비용 산정방식을 제안한 바, 본 연구는 이러한 개선안에 대해 국가지리정보체계 공간정보를 활용해 사례분석 최적지를 선별하고 GIS 기능을 통해 사례 토지이용계획안을 정밀 구축하여 표준단위설치비용 산정 전 과정을 계량적으로 분석해 보았으며, 특히 안성시를 사례대상지로 하여 시가화지역 외곽에 산업시설이 산재한 지자체 특성을 감안해 주거지역과 공업지역이 혼재한 복합형 단지개발방식을 설정해 사례를 분석해 보고 이를 통해 제도 개선사항의 특장점과 시의성을 확인해 보았다는 데 실증적 의미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산업자원부, 한국토지공사, 1998. 산업입지 원단위 산정에 관한 연구.
  2. 건설교통부, 2004. 기반시설연동제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3. 건설교통부, 2006. 기반시설부담금에 관한 법률 산정기준 마련을 위한 연구.
  4. 국토해양부, 2008a, 기반시설부담구역제도 시행 및 운영활성화를 위한 연구.
  5. 국토해양부, 2008b, 기반시설부담구역제도 운영편람.
  6. 국토연구원, 2010. 도시성장관리를 고려한 기반시설부담 구역제도 개선방안 연구.
  7. 김형복, 홍철진, 2003, "개발에 따른 기반시설부담비용의 적정배분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제38권, 3호, pp.259-74.
  8. 서현석, 최내영, 2007. "규모의 경제효과를 고려한 비면적 기반시설 설치비용 산정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 계획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pp.1013-1020.
  9. 이명훈, 김철, 2002, "도시개발사업에 있어 도시기반 시설의 비용부담실태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제37권 제1호, pp.219-29.
  10. 이희연, 2008. "도시성장관리를 위한 기성시가지의 개발용량 분석," 한국도시지리학회지, 제11권 제1호, pp.1-18.
  11. 최내영, 2009. "기반시설부담구역 지정을 위한 격자분석방법 연구: 산업형 개발유형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지리학회지, 제12권 제2호, pp.65-75.
  12. 최막중, 김진유, 1999. "기발시설 제약조건에서의 도시 개발용량과 토지이용밀도," 국토계획, 제34권 제3호, pp.61-72.
  13. 최준영, 최내영, 2008. "기반시설부담금제의 용지환산계수 산정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제43권 제 2호: pp.73-85.
  14. 환경부, 2007. 환경개선비용 부담법 시행령, 별표4.
  15. Baden, M. and Coursey, D., 1998, "An Examination of the Effects of Impact Fees on Chicago's Suburbs," A Discussion Paper for the Workshop in Economic Policy and Public Finance, University of Chcago Department of Economics.
  16. Burge, G. and Ihlanfeldt, K., 2006, "Impact Fees and Single-family Home Construction," Journal of Urban Economics, Vol. 60, pp. 284-306. https://doi.org/10.1016/j.jue.2006.03.002
  17. Moody, M. and Nelson, A., 2002, "Impact Fees: the Grease That Sustains Local Economic Development," A Discussion Paper prepared for the Brookings Institution Center on Urban and Metropolitan Poli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