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표본크기

검색결과 580건 처리시간 0.172초

Generalized Logistic 분포형의 최우도법을 이용한 확률홍수량의 근사적 분산 (Asymptotic Variance of Flood Quantiles from the Generalized Logistic Distribution using the Method of Maximum Likelihood)

  • 신홍준;허준행;김영일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7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522-1526
    • /
    • 2007
  • 최근 영국의 Institute of Hydrology에서는 Generalized logistic (GL) 분포형을 홍수빈도해석시 GEV 분포형을 대체하는 분포형으로 추천한 바 있으며, 그로 인해 GL 분포형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아직 그 사용빈도에 반하여 분포형 자체의 특성, 그 중에서도 확률홍수량의 근사적 분산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우도법을 이용하여 GL 분포형의 확률홍수량에 대한 근사적 분산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이를 표본 크기, 재현기간, 매개변수들의 함수로 나타내었다. 또한 확률홍수량의 근사적 분산의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해 Monte Carlo 모의실험을 수행하였으며, 모의실험은 형상 매개변수$(\beta)$$\pm0.5$이면 gamma function으로 인하여 표본 크기에 관계없이 분산값이 무한대에 가까워지므로 형상매개변수의 범위는 $-0.5{\leq}{\beta}{\leq}+0.5$로 제한하였다. 모의결과 최우도법에 의해 계산된 분산식은 형상매개변수 $-0.25{\leq}{\beta}{\leq}+0.5$의 범위에서 비교적 잘 맞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기존에 알려진 대로 표본크기가 크면 클수록 정확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표본크기가 작은 경우 형상매개변수 전 범위에서 정확도가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최우도법의 경우 표본크기가 작은 경우를 제외하고 $-0.25{\leq}{\beta}{\leq}+0.5$ 범위에서 quantile 산정시 quantile이 약간 과다추정되는 경향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분산이 과다 추정되는 결과를 초래하며 이로 인해 해석해보다 약간씩 큰 값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되었다..이 극단적인 선정적인 폭력성에 탐닉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현실은 결코 아름답지 못하고, 행복하게 살 수 없다는 것에 대한 깨달음에서 기인한다. 욕구불만의 강도가 심해질수록 폭력성은 더욱 강하게 나타나는데 개인에게서 뿐만 아니라 가족, 동료, 사회 단체나 종교, 국가간에도 집단적으로도 발생하게 된다. 사회적으로 볼 때 폭력은 용인되는 것이 아니므로 도덕적으로 절제를 하거나 상대방과 적절한 타협과 조정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절제의 한계를 넘어선다고 생각되거나, 조정의 노력이 불가능하거나, 실패했을 때 폭력적인 행동으로 나타나게 된다. 리차즈(I.A Richards)는 분노와 공포는 일단 겉잡을 수 없는 경향이 있다고 하면서 오늘날 폭력에 대한 요구가 일상의 정서 생활에 있어, 억압을 통한, 빈곤함을 반영하고 있지 않은지 생각해봐야 할 것이라고 충고한다. 조성 가이드라인(안)을 제시하였다.EX>$\ulcorner$세종실록$\lrcorner$(世宗實錄) $\ulcorner$지리지$\lrcorner$(地理志)와의 비교를 해보면 상 중 하품의 통합 9개소가 삭제되어 있고, $\ulcorner$동국여지승람$\lrcorner$(東國與地勝覽) 에서는 자기소와 도기소의 위치가 완전히 삭제되어 있다. 이러한 현상은 첫째, 15세기 중엽 경제적 태평과 함께 백자의 수요 생산이 증가하자 군신의 변별(辨別)과 사치를 이유로 강력하게 규제하여 백자의 확대와 발전에 걸림돌이 되었다. 둘째, 동기(銅器)의 대체품으로 자기를 만들어 충당해야할 강제성 당위성 상실로 인한 자기수요 감소를 초래하였을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경기도 광주에서 백자관요가 운영되었으므로 지방인 상주지역에도 더 이상 백자를 조달받을 필요가 없이, 일반 지방관아와 서민들의

  • PDF

변량가중치를 이용한 EWMA 관리도

  • 이재헌;한정희
    • 한국통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통계학회 2005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67-72
    • /
    • 2005
  • 이 논문은 표본크기와 표본추출간격 이외의 관리모수인 EWMA 관리도의 가중치를 이전 시점의 관리통계량 값에 기초하여 변화시키는 VW(variable weight)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이 방법을 VSR(variable sampling rate)과 병행하는 절차를 제안하고, 절차의 효율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 PDF

왜도(Skewness)가 심한 모집단에서의 절사법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the efficiency of the cut-off method in highly skewed populations)

  • 한근식;김용철
    • 응용통계연구
    • /
    • 제9권2호
    • /
    • pp.161-169
    • /
    • 1996
  • 표본크기 결정은 표본설계시 중요한 부분이며 정도(Precision)를 높이면서 비용, 시간 등을 고려하여 최적화(Optimal)된 표본의 크기를 구하려 할 때 모집단 분포가 심한 왜도(highly skewed)를 보이거나 소수의 모집단요소들이 모집단총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대해 Neyman의 최적할당법과 절사법(cut-off method) 응용 방법의 효율성을 사례를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 PDF

임상시험에서의 통계 활용 (Usage of Statistics in Clinical Trials)

  • 안홍엽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3권1호
    • /
    • pp.1-6
    • /
    • 2010
  • 임상시험은 인간을 대상으로 약물 또는 치료법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성공적인 임상시험을 위해서는 단순한 자료분석에만 통계의 이용을 제한하지 않고 다양한 영역으로 활용의 폭을 넓히는 것이 필요하다. 연구계획단계에서부터 구체적이고 체계적으로 통계의 활용을 고려하기 위해 효과에 대한 정의, 적정한 표본크기 산정, 통계분석 방법 등 전반적인 통계의 응용을 고찰한다.

수학 교수 효능감 척도의 개발 및 정당화: 확인적 요인분석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Scal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 량도형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3권2호
    • /
    • pp.185-200
    • /
    • 2014
  • 교사의 자기 효능감은 그 교사가 실제로 잘 가르칠지를 예측하는 매우 강력한 구인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초등 예비교사들이 수학을 가르치는데 대한 효능감을 측정하는 정당한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먼저, 문헌조사로부터 개인효능감과 결과기대감의 두 개 변인에서 58개의 문항을 개발하였고, 표본 크기 919인 자료 위에서 정규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다음에 전체 자료를 크기가 각각 419와 500인 두 개의 표본으로 나누었고, 첫째 표본에서 신뢰도 검사 및 탐색적 요인 분석을, 둘째 표본에서 확인적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개인효능감 변인에서 12 문항, 결과기대감 변인에서 6 문항 등 총 18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수학교수효능감척도(MTES)를 개발하였다.

거시교통류 모니터링 지표산출을 위한 적정 프로브차량 비율 결정에 관한 연구 (An Application of Sampling to Determine a Proper Rate of Probe Vehicles for Macroscopic Traffic Flow Monitoring Indices)

  • 심정숙;허현무;엄기종;이청원;안수한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33-40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거시교통류 모니터링을 위한 세 가지 지표를 다루고 신뢰성 있는 지표산출에 필요한 적정 프로브차량 비율을 결정하기 위해 샘플링 기법을 이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한다. 모니터링 세 가지 지표로는 Travel Time Index(TTI), Acceleration Noise(AN) 그리고 Two Fluid(TF)를 살펴보고, 적정 프로브 차량 비율의 결정방법으로는 절대오차를 이용한 표본크기의 결정방법과 상대오차를 이용한 표본크기의 결정방법에 대하여 고찰한다. 그리고 표본추출비율에 따른 지표 값 변동을 비교 검토하기 위해 서울시 강남지역의 대규모 자료를 이용하여 모의실험을 실시하였다. 모의실험 결과 교통수요 단계(Demand Level)가 증가함에 따라 상대오차를 이용한 표본 추출비율이 줄어들며, 추출비율은 허용오차, 링크통과차량의 수와 반비례 관계이므로 추출비율을 증가시킬수록 허용오차를 줄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간호학 연구에서의 표본크기 결정 방법에 대한 고찰 (A Review on the Methods of Sample Size Determination in Nursing Research)

  • 이재원;박미라;이정복;이숙자;박은숙;박영주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375-387
    • /
    • 1998
  • In clinical trials of nursing research, the sample size determina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 Although sample size must be considered at the design stage, it has been disregarded in most clinical trials. The power analysis is usually performed before study begins to compute sample size and the power can also be calculated at the end of study in order to justify study result. The power analysis is essential especially when the clinical trials can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is paper, we review the statistical methods for power analysis and sample size formulae in nursing research. Sample size formulae and the corresponding examples are discussed according to the six types of studies ; mean for one sample, proportion for one sample, means in two samples, proportions in two sample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ANOVA.

  • PDF

사회조사에서 표본의 왜곡과 가중치 보정의 결과: 18개 사례연구 (Sample Distortion in Social Surveys and Effects of Weighting Adjustment: A Study of 18 Cases)

  • 허명회;윤영아;이용구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5권2호
    • /
    • pp.31-48
    • /
    • 2004
  • 우리나라에서 수행되는 사회조사들은 대부분 지역, 성과 나이대를 고려한 할당추출법(quota sampling)을 사용하며 전화번호부를 표집틀로 한 전화조사가 주류를 이룬다. 이러한 표본들이 지역, 성, 나이대 외의 인구사회적 속성 측면에서 모집단을 잘 대표하는지, 아니면 일정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는지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또한 표본 편향을 줄이기 위하여 가중법을 적용하는 경우 조사 결과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2000년부터 2003년 사이에 전화조사로 수행된 18례의 사회조사에서 표본의 모집단 대표성을 지역, 성. 나이대, 학력과 직업 측면에서 살펴본 것이다. 사례들을 종합한 결과, 지역, 성과 나이대를 보정한다고 하더라도 표본들에서 고학력자와 가정주부가 과다하고 반면 저학력자와 자영업/블루칼러, 화이트칼러가 과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과 직업에서의 왜곡은 많은 사회조사에서 본조사 항목의 편향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반복비례가중법으로 이러한 표본왜곡을 시정하여 보았더니 본조사 항목에서 원조사 결과와 상당한 차이가 나타났다. 가중치 보정을 하면 유효표본크기가 감소하는 결과가 초래되는데, 각 조사가 명목적으로 제시하는 일정 수준의 오차한계를 지키기 위해서는 현재보다 20~4-% 정도 표본을 크게 해야 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 PDF

가구 패널조사에서의 가중치 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eight Adjustment Method for Household Panel Survey)

  • 남궁평;변종석;임찬수
    • 응용통계연구
    • /
    • 제22권6호
    • /
    • pp.1315-1329
    • /
    • 2009
  • 미국 노동통계청에서 사용하고 있는 BLS 방법의 효율성과 민감성에 관한 연구 결과에 의하면 표본 틀(Sample frame) 자료와 조사된 자료의 상관관계가 높을수록 BLS 무응답 보정 효과는 커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석진과 신기일, 2008). 그러나 표본 틀 자료와 조사된 자료의 상관계수가 층별로 크기가 다른 경우, BLS 보정 효과는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실시되는 표본 설계에서는 층화추출 방법이 사용되기 때문에 각 층의 표본 크기와 상관계수가 다른 경우의 BLS 보정 효과률 살펴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층의 표본 크기와 상관계수 그리고 무응답 비율에 따른 BLS 무응답 보정 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사용된 자료는 노동부의 월별 자료인 2007년 매월노동통계 자료이다.

차동 양자화를 사용한 QD-ROM 압축 방식의 직접 디지털 주파수 합성기 (The direct digital frequency synthesizer of QD-ROM reduction using the differential quantization)

  • 김종일;임소영;이호진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192-198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ROM의 크기를 줄여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DDFS를 제안하였다. 새롭게 제안된 ROM 압축방식은 두 개의 ROM을 사용하여 원하는 주파수를 합성함으로써 전체적인 ROM들의 크기를 줄여준다. 표본화된 사인파의 양자화 값은 양자화 ROM(Quantized ROM : Q-ROM)과 차동 ROM(Differential ROM : D-ROM)에 저장된다. ROM 크기를 줄이기 위해 사인파를 양자화 할 때 일련의 차동 양자화 기술을 응용, 변형하여 두 개의 ROM을 사용한 QD-ROM 압축방식을 제안한다. 1/4주기의 사인파를 $2^L$개의 블록으로 나누어 양자화하고 이를 Q-ROM에 저장한다. D-ROM에는 Q-ROM의 표본화 간격을 $2^M$으로 나누어 표본화하고 양자화된 값은 그 블록의 표본화된 Q-ROM과의 차이만을 양자화하여 저장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D-ROM에 저장되는 양자화 값의 최대 크기는 Q-ROM에 저장되는 양자화 값보다 작은 양이기 때문에 적은 데이터 길이로도 저장이 가능하다. 이를 사용함으로써 최대 67.5%의 ROM 크기를 감소시켜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