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표본오차

Search Result 347,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품질관리표본(Quality Control Sample)의 리인터뷰에 의한 사업체조사의 응답오차 측정

  • Kim, Seol-Hui;Park, Hyeon-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53-58
    • /
    • 2003
  • 최근 경제 사회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개인의 활동분야가 다양해지고 개인비밀보호 인식이 커지면서 응답자들이 통계조사에 잘 협조하지 않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통계를 현장조사에 의존하여 생산하고 있는 통계청에서는 현장조사 결과물의 품질상태에 좀 더 관심을 가져야만 하게 되었다. 이러한 현장조사에 대한 풀질관리의 일환으로 현재 통계청에서는 통계별 조사대상으로부터 품질관리표본(Quality Control Sample)을 추출하고 이를 대상으로 리인터뷰를 실시함으로써 응답오차측정, 조사현장의 실터파악, 응답자 의견수렴 등에 활용하고 있다. 리인터뷰는 조사직원의 고의적인 자료조작 또는 보충교육 필요성 등 현장조사업무를 평가하거나 응답분산(simple response variation), 응답편의(response bias) 등을 산출하고, 이를 분석하는 모델을 이용하여 응답결과의 신뢰도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품질관리표본(QC Sample) 설계 및 추출, 리인터뷰 시나리오개발, CATI(Computer Assisted Telephone Interviewing)를 이용한 리인터뷰 기법 등을 통계청 사업체조사 모니터링 사례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조사직원 특성별 응답오차 측정 및 비교, 정확성 항목에 대한 차이분석 등 격과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Link Travel Time Estimating Methodology for Traffic Information Service (Determination of an Adequate Sample Size) (교통정보제공을 위한 구간통행시간 산출 방법론 연구 (적정표본수 결정방법을 중심으로))

  • 이영인;이정희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0 no.3
    • /
    • pp.55-67
    • /
    • 2002
  • 구간검지체계를 기반으로 한 첨단교통정보제공시스템(Advanced Traveler Information Systems)은 그 기능 수행시 다음의 중요 고려사항을 지닌다. 첫째는 제공 정보의 신뢰성이며, 둘째는 정보수집비용에 관련한 수집자료수의 한계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한계성 극복을 위해 보다 대표성 있는 교통정보 형태의 설정 및 통계적으로 신뢰성 있는 정보산출을 위해 요구되는 적정표본수의 결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도시고속도로(올림픽대로)와 도시간선도로(천호대로)의 실측 구간통행시간분포 분석결과 단일교차로 구간의 경우 다른 구간들의 단일봉(unimodal)의 정규분포형태와는 다른 두 개의 봉우리를 지닌 분포형태(bimodal)가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구간은 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교통정보 형태가 필요하며, 본 논문에서는 모든 통과차량들의 평균통행시간으로 정의되는 한 개의 대표치가 아닌 신호주기에 의한 정지여부에 따라 분리되는 주행시간과 지체시간 또는 주행속도와 통행속도 개념의 세분화된 정보형태를 설정하였다. 또한 중심극한정리를 기초로 한 통계적인 표본수 결정식을 이용하여 설정된 신뢰수준 하에서의 정보산출을 위해 요구되는 적정 표본수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교통이 혼잡할수록 요구되는 표본수는 적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적정 표본수 만큼의 표본추출을 하고 제안된 정보산출 방법에 의해 교통정보를 산출한 후 실측치와의 오차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산출된 교통정보는 신뢰수준 95%와 허용오차 5㎞/h를 만족하였다. 다음으로 구간검지체계를 이용하여 정보를 산출하는 타시스템 교통정보와의 오차율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실측치와 본 연구의 산출방법에 의한 교통정보, 로티스교통정보 및 차량번호판 인식시스템의 교통정보와의 비교 결과 제안된 교통정보형태의 타당성을 볼 수 있었다.

A Complex Sampling Design for the Estimation of Korean Livestock Production Cost (축산물생산비조사를 위한 복합표본설계)

  • Kim, Soo-Taek;Kim, Young-Won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21 no.4
    • /
    • pp.675-694
    • /
    • 2008
  • We propose a new sampling design for the Korean Livestock Production Cost Survey. In this sampling design, the survey population is derived from the 2005’s agricultural census of Korea. And coefficient of variation(CV) is estimated from the current livestock production cost survey data, and the estimated CV’s are used to find the optimal sample size which satisfies the predetermined precision of estimation. In order to save the enumeration cost, the agriculture enumeration districts are used as a primary sampling unit(psu). Final sample is selected by double sampling. Also, we propose the estimator which is able to reflect the change of the population of livestock production households.

Sources of Data for Wital Statisitcs in the Republic of Korea (인구동태통계 자료원의 고찰)

  • 최봉호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14 no.1
    • /
    • pp.104-120
    • /
    • 1991
  • 현재 우리나라에서 인구동태(출생, 사망, 임신, 결혼, 이동) 통계를 생산할 수 있는 제도로는 호적신고, 주민등록의 이환, 전출입 신고, 그리고 표본가구를 대상으로 하는 인구동태표본조사의 세가지로 볼 수 있다. 원칙적으로 인구동태통계는 신고제도로 부터 작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는 경제, 사회발전 및 최근 의료보험제도의 도입 등으로 신고의 질적 수준이 크게 향상되었지만, 신고로부터 완벽한 인구동태통계를 작성하기에는 다음과 같은 자료로 다소 미흡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첫째로, 유아사망의 경우, 출생 및 사망신고를 안하는 비율이 상당히 높다. 둘째로, 사망신고시 사망의견서를 첨부하지 않고 인우보증으로 대신하는 비중이 높기 때문에 정확한 사인통계작성에 지장을 주고 있다. 셋째로, 결혼, 이혼의 경우 혼전동거나 동거하다가 헤어지는 경우 신고에서 파악되지 못하고 있다. 넷째로, 이동의 경우 무단전출입 또는 서류상으로만 전출입신고를 하는 경우 이동량 및 흐름을 왜곡시킬 수 있다. 다섯째, 인구동태 계산시 신고자료는 주소지로 집계되는 반면, 분모가 되는 인구센서스 자료는 상주지로 집계되기 때문에 지역별로 동태율을 분석함에 있어 어려움을 주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고 정확한 인구동태통계의 작성에 기여하고자 통계청에서는 전국에서 32,000표본가구를 대상으로 인구동태표본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동 표본조사에서는 조사원이 매월 표본가구를 방문하여 지난 한달 동안 발생한 출생, 사망, 결혼 , 이혼, 이동에 관한 사항을 조사하는바 표본오차를 제외하고 비표본오차는 거의 없는 중요한 자료원이 되고 있다. 결과적으로 인구동태통계와 관련하여서 관련기관에서는 그 중요성을 인식, 신고 제도의 문제점을 계속 보완하고 개선하기 위한 방안이 만들어져 수행되어야 하며 인구동태표본조사실도 더욱 발전시켜야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 Sampling Design for the 2001 National Health.Nutrition Survey (200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표본설계)

  • 류제복;이계오;김영원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14 no.2
    • /
    • pp.289-304
    • /
    • 2001
  • 2001년에 실시할 $\ulcorner$국민건강.영양조사$\lrcorner$를 위한 새로운 표본설계를 하였다. 본 표본설계에서는 표본의 대표성을 높이기 위해서 기존의 표본가구수는 유지하면서 표본조사구를 증가시키고 새로운 지역 층화변수를 추가로 도입하였다. 또한 추정량의 추정오차 공식을 유도하여 추정의 신뢰성을 측정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 PDF

An Architecture of the Resampler for DVB-T2 Demodulation (DVB-T2 복조기를 위한 재표본화기 구조)

  • Kim, See-hyun
    • Journal of IKEEE
    • /
    • v.15 no.4
    • /
    • pp.281-286
    • /
    • 2011
  • DVB-T2 is a next generation DTV transmission standard, which supports various channel bandwidths. Since the symbol rate of the DVB-T2 signal is changed according to its bandwidth, the received signal needs to be sampled at a different frequency. The sampling frequency should be also adjusted depending on the sampling frequency offset due to the frequency error in the local oscillator. The sampling frequency can be locked into the symbol frequency by resampling the sampled data by ADC running at a fixed frequency. In this paper a resampler architecture for DVB-T2 is proposed. And the simulation results reveal the spectral characteristics of each subcarriers used in DVB-T2 system.

Study on Optimization of Look-Up Table to Reduce Error of Three-dimensional Interpolation (3차원 보간 오차를 개선하기 위한 룩업 테이블의 최적화에 관한 연구)

  • Kim, Joo-Young;Lee, Hak-Sung;Han, Dong-Il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P
    • /
    • v.44 no.2 s.314
    • /
    • pp.12-18
    • /
    • 2007
  • The three dimensional interpolation is widely used for many kinds of color signal transformation such as real-time color gamut mapping. Given input color signal, the output color signal is approximately calculated by the interpolation with the input point and extracted values from a lookup table which is constructed by storing the values of transformation at regularly packed sample points. Apparently, errors of the interpolated approximation heavily depend on the selection of the lookup table. In this paper, a least square method is applied to assigning values of the lookup table with fixed size in order to minimize error of three-dimensional interpolation. The experimental result shows that the proposed method has better interpolation performance.

Decision of Sample Size on Successive Occasions (계속조사에서의 표본크기 결정)

  • Park, Hyeonah;Na, Seongryong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27 no.4
    • /
    • pp.513-521
    • /
    • 2014
  • If the target error of an estimator at the present time is greater than the coefficient of variation(CV) of the estimator at the previous time, sample size at this point should be decreased. Various papers have researched sample size determination methods using the CV of an estimator at the previous time, variation of population size and target error of the estimator at this time in sampling on successive occasions. We research a new sample size determination method additionally using change of population CV. We compare the proposed method with existing ones in various simulation settings.

Design-Based Properties of Least Square Estimators of Panel Regression Coefficients Based on Complex Panel Data (복합패널 데이터에 기초한 최소제곱 패널회귀추정량의 설계기반 성질)

  • Kim, Kyu-Seong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v.17 no.4
    • /
    • pp.515-525
    • /
    • 2010
  • We investigated design-based properties of the ordinary least square estimator(OLSE) and the weighted least square estimator(WLSE) in a panel regression model. Given a complex data we derive the magnitude of the design-based bias of two estimators and show that the bias of WLSE is smaller than that of OLSE. We also conducted a simulation study using Korean welfare panel data in order to compare design-based properties of two estimators numerically. In the study we found the followings. First, the relative bias of OLSE is nearly two times larger than that of WLSE and the bias ratio of OLSE is greater than that of WLSE. Also the relative bias of OLSE remains steady but that of WLSE becomes smaller as the sample size increases. Next, both the variance and mean square error(MSE) of two estimators decrease when the sample size increases. Also there is a tendency that the proportion of squared bias in MSE of OLSE increases as the sample size increase, but that of WLSE decreases. Finally, the variance of OLSE is smaller than that of WLSE in almost all cases and the MSE of OLSE is smaller in many cases. However, the number of cases of larger MSE of OLSE increases when the sample size increases.

조사연구를 위한 표본크기 결정

  • Park, Jin-U;Jeong, Mi-S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urvey Research Conference
    • /
    • 2007.06a
    • /
    • pp.139-149
    • /
    • 2007
  • 사회조사를 위한 표본설계를 할 때 표본의 크기를 얼마로 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문제는 조사연구자에게 고민거리가 된다. 사회조사 중에서 4점 또는 5점 척도로 된 여러 개의 개별 문항들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경우 개개의 문항 자체를 직접적으로 하나의 변수로 사용하지 않고 여러 개 문항들을 결합하여 새로운 척도를 만들어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리커트 척도가 관심변수인 조사연구에서 표본크기를 결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리커트 척도를 만들고자 할 때 4점 혹은 5점 척도로 구성된 여러 문항변수들은 일반적으로 서로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개별 문항변수들은 각각 동일한 분포를 가지며, 각각의 변수들은 서로 동일한 크기의 상관관계를 갖는다는 가정을 한다. 주어진 가정 하에서 새로운 척도의 표본분포를 유도한 후 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상황에서의 표본의 크기를 계산한 결과를 표로 제시하게 되는데 표본이론을 잘 모르는 조사연구자들은 이 표를 이용하여 원하는 표본크기를 결정 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