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표면미세경도

검색결과 230건 처리시간 0.046초

Ni-Pd 합금 전해도금의 기계적 특성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the Ni-Pd alloy electroplating)

  • 조은상;조진기
    • 한국표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표면공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67-267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에틸렌디아민을 착화제로 사용하여 전해도금으로 Ni-Pd 합금피막을 형성하였다. 염화팔라듐 농도 1~5 mM, 전류밀도 $0.2{\sim}1.5A/dm^2$ 구간에서 고용체 합금피막이 형성되었으며, 이의 격자상수는 X선회절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Pd 함량은 전류밀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경도는 전류밀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다가 전류밀도 $1.3A/dm^2$ 이후 급격히 감소하였다. 경도증가 원인은 결정립미세화이고, 전류밀도 $1.3A/dm^2$ 이후에서 잔류응력으로 인한 크랙 발생으로 사료되었다.

  • PDF

나노질화 처리를 통한 사출금형 특성 연구

  • 신홍철;이경황;김대욱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09년도 제38회 동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05-105
    • /
    • 2010
  • 자동차 차체부품에 적용되는 플라스틱 소재는 강도와 내마모성, 내충격성의 충분한 물성확보가 필요하며, 이에 플라스틱 소재의 기계적 특성 향상을 위해 유리 섬유가 다량 함유된 복합소재적용이 증가하고 있다. 반면 플라스틱이 고강도화함에 따라 제품 성형을 위한 사출 금형을 손상시키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소재의 유동성 저하에 따른 사출 불량이 증가하고 있어 고강성 플라스틱 복합소재에 대응하는 고경도, 고내마모 특성이 부여된 사출 금형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특히 사출 금형에 사용되는 소재는 기존 소재에 비해 우수한 내마모성과 함께 고광택을 유지하는 것이 더욱 중요해졌으며, 이에 따라 유럽, 일본과 국내 연구진에 의해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일본에서 개발되어 국내에도 소개된 래디칼 질화는 기존 질화법에 표면의 화합물 층만을 제어하는 것으로 다소의 표면 광택 효과는 있으나, 플라스틱 사출에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따르므로 그 용도가 극히 제한적이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나노 질화기술은 0.1torr 이하의 고진공에서 고밀도의 플라즈마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방법으로 화합물층이 없는 나노 크기의 질화층을 소재 표면에 형성시키는 기술로서, 처리 후에도 표면의 색상 및 광택의 변화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표면 경도 및 피로 특성을 향상시킴으로써 금형의 내구 수명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KP4 금형 소재를 사용하여 플라즈마 이온 질화 시험 조건에 따른 소재의 경도 및 내마모 특성을 파악하고, 미세 조직 분석 및 XRD 분석 등을 통해 내마모 특성 향상에 대한 기본 특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인장시험을 통해 인장강도, 항복강도 및 연신율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고주기 피로시험을 실시함으로써 S-N curve를 얻고, 이를 통해 피로 강도 및 피로 수명에 미치는 나노 질화 처리의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플라즈마 이온 질화 시험은 질소와 수소 비율($N_2:H_2$), 진공도, Screen bias voltage, Bias voltage를 변화시켰으며, 챔버 온도는 $400^{\circ}C$로 고정하였으며, 처리시간도 3시간으로 고정하였다. 질소와 수소의 비율은 3:1일 때 최고의 내마모 특성을 보였으며, 진공도는 내마모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KP4의 초기 경도값은 약 302 Hv인 반면 최적의 나노 질화처리를 거친 시편에서는 800Hv 이상의 Vickers 경도값을 보였다. SEM 미세조직 분석과 EPMA를 통한 성분 분석을 시행한 결과 표층으로부터 약 $1.5{\mu}m$의 나노질화층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나노필러가 함유된 표면보호재가 글라스 아이오노머 시멘트의 미세경도와 마모저항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Nano-filled Protective Coating on Microhardness and Wear Resistance of Glass-ionomer Cements)

  • 유원정;박호원;이주현;서현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226-232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글라스 아이오노머 시멘트의 표면 보호가 미세경도와 마모저항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글라스 아이오노머와 레진강화형 글라스 아이오노머를 사용하려 각각 60개의 시편을 제작하였다. 각 시편을 표면 보호를 시행하지 않은 경우, 나노필러가 함유된 표면 보호재, 필러가 함유되어 있지 않은 표면 보호재에 따라 20개씩 나누었다. $37^{\circ}C$ 증류수에 24시간 보관한 후 각 군당 10개의 시편은 비커스 미세경도를 측정하였고, 10개의 시편은 마모 시험을 시행한 후 마모된 깊이를 측정하였다. 표면보호를 시행한 군들보다 표면 보호를 시행하지 않은 군들이 높은 표면경도를 보였다. 글라스아이오노머와 레진강화형 글라스아이오노머 모두에서 표면 보호를 시행한 경우에 마모저항성이 더 증가하였지만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 나노필러의 유무는 마모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불화나트륨 바니쉬와 요오드화 칼륨이 Silver Diamine Fluoride의 재광화 효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dium Fluoride Varnish and Potassium Iodide on Remineralization Efficacy of Silver Diamine Fluoride)

  • 이건호;안준용;김종수;한미란;이준행;신지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467-475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silver diamine fluoride(SDF)를 도포할 때 불화나트륨(sodium fluoride, NaF) 바니쉬와 요오드화 칼륨(potassium iodide, KI)이 SDF의 재광화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유치의 법랑질 인공 우식 병소에서 미세경도의 변화를 통해 측정하고, 도포 전과 후의 표면 형태를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을 통해 관찰하여 비교하는 것이다. 발치된 유구치의 인접면에 법랑질 인공 우식병소를 형성하고 비커스 미세경도를 측정한 후, 4개의 군으로 나누어 I군에는 SDF, II군에는 SDF와 NaF 바니쉬, III군에는 SDF와 KI, 그리고 IV군에는 증류수를 처리하였다. 8일 간 pH cycling을 시행한 후 비커스 미세경도를 다시 한번 측정하여 미세경도의 변화량을 계산하였다. 또한 치아 연마 후, 인공 우식 유발 후, 그리고 pH cycling 이후 각 군에 대하여 각각 2개의 시편을 이용하여 SEM를 촬영하여 표면의 형태를 관찰하였다. 연구결과 미세경도는 III군에서 가장 크게 증가했다. I군과 II군 모두 미세경도의 증가를 보였으나 두 군 사이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IV군에서도 미세경도의 증가를 보였으나 그 변화 정도는 가장 적게 나타났다. SEM 관찰 결과 I, II, III군이 우식 유발 직후나 IV군과 비교하여 표면이 더 균일해지고 불규칙성이 감소된 양상을 보였으며, III군에서 무정형의 피막 형태의 침착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보면 SDF만을 도포한 군과 SDF와 NaF, SDF와 KI를 함께 도포한 경우 모두 표면 형태가 균일해지고 미세경도가 증가하였으며 이와 같은 결과를 기반으로 구강 내의 환경에서도 재광화 효과를 가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또한 이 연구의 제한된 조건 하에서 NaF 바니쉬를 사용하였을 때에는 SDF의 재광화 효과를 증가시키지 못했으며, SDF와 KI를 함께 도포한 경우 SDF의 재광화가 효과가 증가되는 결과를 보였으나 추후 실제 구강 내에서의 다양한 상황을 고려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lasma Arc와 35% Carbamaide Peroxide의 미백효과와 법랑질 표면에 미치는 영향 (The Bleaching Effect of Plasma Are and 35% Carbamaide Peroxide and its Influence on the Enamel Surface)

  • 구효진;송근배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9권5호
    • /
    • pp.525-530
    • /
    • 2009
  • 이 연구는 35% 과산화요소를 이용한 전문가 치아미백술에 플라즈마 아크를 함께 적용하여 플라즈마 아크가 법랑질의 색조변화에 미치는 효과와 비커스경도와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법랑질 표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in vitro 평가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미백 횟수의 증가에 따라 색조변화량(${\Delta}E^*$)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미백 제만 단독으로 적용한 대조군 보다 플라즈마 아프를 함께 적용하여 미백처리를 한 실험군의 색조변화량(${\Delta}E^*$)이 더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 미백처리 전 후 법랑질의 미세경도 측정 값을 분석한 결과 미백 처치를 함으로써 미세경도 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되었고, 미백제에 플라즈마 아크를 함께 적용한 실험군에서 더 큰 미세경도의 감소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 주사전자현미경 관찰에서 미백 처치를 한 시료에서 법랑질 표면이 상당히 거칠어진 양상을 나타내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전문가 치아미백술에서 플라즈마 아크를 함께 적용함으로써 색조변화를 더욱 상승시킬 수 있으나, 법랑질 표면의 미세경도와 형태변화를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미백 효과는 증가시키면서 법랑질의 형태와 구조는 변화시키지 않는 안전한 미백 방법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 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고주파 유도경화처리한 중탄소강의 회전접촉 피로거동에 미치는 탄소함량의 영향 (Influence of Carbon Content on Rolling Contact Fatigue of High Frequency Induction-Hardened Medium Carbon Steels)

  • 최병영;이동민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7권9호
    • /
    • pp.744-749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고주파 유도경화처리한 중탄소강의 회전접촉 피로거동을 0.44wt.%C강과 0.55wt.%C강을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회전접촉 피로시험은 Polymet RCF-1 시험기에서 탄성유체 윤활 조건으로 회전속도 8,000rpm, 최대 Hertz응력 492kg/m$m^2$을 가하면서 실시하였다. 미세한 lath마르텐사이트가 고주파 유도경화한 0.44wt.%C강과 0.55wt.%C강의 표면경화층에 형성되었고 소량의 페라이트가 일부 형성되었으며 0.44wt.%C강과 0.55wt.%C에 비해 비교적 큰 페라이트가 나타났다. 회전접촉 피로시험 후 표면경도가 거의 유지되는 표면경화층에서 회전접촉 피로시험전에 비해 경도가 상승하였다. 이 경도증가량의 최대치($\Delta$ Hv$_{max}$)와 피로수명과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0.55wt.%C강이 0.44wt.%C강에 비해 회전접촉 피로중에 일어나는 소변형에 대한 높은 저항성에 주로 기인하여 $\Delta$ Hv$_{max}$값은 낮게 나타나고 피로수명은 높게 나타났다.

  • PDF

MoN 코팅막의 미세구조와 그 특성 연구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MoN coatings by Arc Ion Plating)

  • 박지훈;김광호
    • 한국표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표면공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25-127
    • /
    • 2007
  • MoN 코팅막은 Ar과 $N_2$가 섞인 가스 상태 안에서 몰리브덴(Mo) 타겟을 사용해서 아크 이온 플레이팅법을 사용하여 stainless steel 표면 위에 증착을 시켰다. MoN 코팅막의 미세 결정 구조의 특징은 X-선 회절 분석(X-ray Diffractormeter, Phillips co. X'pert)과 XPS를 사용해서 측정하였다. MoN 코팅막은 순수 Mo 코팅막의 13GPa 보다 높은 25 GPa의 미세경도값을 나타냈으며, 또한 Mo 코팅막에 N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마찰계수가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번 연구에서는 MoN 코팅막에서 질소 함량을 변화 시켜 MoN 코팅막의 미세구조와 그 특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 PDF

CFUBM 시스템으로 합성한 CrN / CrAlN 초격자 박막의 마찰 특성 (Tribological properties of CrN / CrAlN superlattice thin films by CFUBMS)

  • 변태준;김연준;한전건
    • 한국표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표면공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0-131
    • /
    • 2007
  • 초고경도 박막을 얻기 위해 질화물을 이용한 CrN / CrAlN 초격자 박막을 CFUBM 시스템을 통해 합성하였다. 초격자 박막의 각층의 두께 (${\lambda}$)는 기판의 회전 속도를 이용하여 제어하여 4.4 에서 44.1 nm 까지 합성하였다. 박막의 결정구조 및 미세구조를 분석하기 위하여 고분해능 X선 회절 분석기 (HR-XRD)를 이용하였으며, 박막의 기계적 성질은 나노 인덴터와 ball on disk tester를 통해 분석하였다. CrN / CrAlN 초격자 박막은 각층의 두께 (${\lambda}$)에 따라 28.77 GPa에서 31.97 GPa의 경도 값을 나타내었으며, 미세구조와 기계적 특성이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비대칭 마그네트론을 이용한 CrTiAlN 나노복합 박막의 미세구조와 기계적 특성 (Microstructur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CrTiAlN Nanocomposite thin films synthesis by Closed Field Unbalanced Magnetron Sputtering)

  • 김연준;이호영;변태준;김갑석;한전건
    • 한국표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표면공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65-66
    • /
    • 2007
  • 비대칭 마그네트론을 이용하여 사원계 CrTiAlN 나노 복합 박막을 합성하였고 합성된 박막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CrTiAlN 나노복합 박막의 미세구조는 CrN (111)과 CrN (200)방향으로 성장하였고 기계적 특성은 $30\;{\sim}\;39\;GPa$의 경도 값을 얻었다. 질소 분압이 0.33 Pa에서 가장 높은 경도 값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불소 테이프의 법랑질 탈회 억제 효과에 관한 실험적 평가 (IN VITRO EVALUATION OF EXPERIMENTAL FLUORIDE TAPE IN INHIBITION OF ENAMEL DEMINERALIZATION)

  • 김민정;이상호;이난영;박승효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29-138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법랑질 표면 미세경도의 측정과 주사전자현미경 관찰을 통해 본 교실에서 개발한 2.26%의 불소를 함유한 폴리비닐알코올 테잎 (F-PVA tape)의 법랑질 탈회 억제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60개의 법랑질 표본을 각 군당 15개 씩, 임의로 대조군, F-PVA tape 군, 불소바니쉬 군, CPP-ACFP 군으로 나누고, 각각의 재광화 제재를 도포한 후 pH-cycling 과정 거쳤다. 표본의 표면 미세경도를 측정하고 표면 미세경도 소실량을 계산하였다. 주사전자현미경 관찰을 위해, 각 군에서 5개의 표본을 추출하고 형태학적 특징을 분석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pH-cycling 후, F-PVA tape 군과 불소바니쉬 군의 법랑질 표면 미세경도 값은 CPP-ACFP 군과 비교 시 유의하게 높았으며, F-PVA tape 군과 불소바니쉬 군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주사전자현미경 관찰 시, F-PVA tape 군과 불소바니쉬 군에서는 법랑질 표면에 형성된 수많은 구형 및 난원형의 결정 입자들이 관찰되었으며, 결정 입자의 밀도는 대조군 및 CPP-ACFP 군에서 보다 높았다. F-PVA tape은 법랑질의 탈회를 억제하는데 효과적이며, 그 효과는 불소바니쉬와 견줄만하고, CPP-ACFP 보다 우수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