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폴리염화비페닐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18초

절연유 중 폴리염화비페닐류의 정량법 비교 (Comparison the quantification method of PCBs in waste transformer oils)

  • 김교근
    • 분석과학
    • /
    • 제18권3호
    • /
    • pp.206-215
    • /
    • 2005
  • 1929년부터 상업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폴리염화비페닐류(PCBs)는 Aroclor (미국), Kanechlor (일본), Sovol (러시아) 등 다양하게 상업적으로 시판되었다. PCBs는 209종의 동족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변압기, 축전기의 절연유, 윤활유, 가소제, 도료, 복사지 등의 여러 용도로 사용되어 온 산업용 화학물질이다. 본 연구에서는 시판되는 PCBs Aroclor 제품을 구입하여, 표준물질을 사용하여 피크패턴법에 의한 정량방법과 계수비교법에 의한 정량방법을 비교하고, 시료에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대상 시료의 피크패턴은 Aroclor 1242:1254:1260의 세 종류가 혼합된 경우와, Aroclor 1242:1254, Aroclor 1254:1260이 혼합된 경우 그리고 Aroclor 1242, 1254 및 1260이 혼합된 시료가 다양한 비율로 검출되었다. 또한, 두 정량법에 따른 분석 결과는 혼합된 PCBs 제품의 종류가 한 종류인 경우 보다 여러 종류일수록 두 정량값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용품 기술기준 개정

  • 한국전력기술인협회
    • 전기기술인
    • /
    • 통권123호
    • /
    • pp.10-12
    • /
    • 1992
  • 공진청은 최근 전기용품의 기술기준을 일부 개정했다. 이번에 개정된 전기용품의 기술기준은 우리나라가 국제전기인증위원회(IECEE)에 정회원으로 가입됨에 따라 국제간 상호인증을 대비해 기술기준에 국제안전규격을 반영하기 위해서이다. 개정내용을 보면 시험항목에 소형 단상 변압기류의 잡음세기, 충전식인 것을 충전성능시험, 기계적 강도시험, 전동기 내장제품의 시동특성 등을 추가했으며 시험기준에 있어서는 합성수지 성형품의 내열성능시험과 절연저항 시험기준을 강화했다. 또 전기적인 안정성과 무관한 시험항목은 국제규격에도 없기 때문에 삭제했는데, 형광등기구는 열률을, 전기스탠드는 차광$\cdot$조도시험 열률을, 휴대전등은 집광시험 등을 조정했다. 이밖에도 재료에 있어 폴리염화비페닐 사용을 금지시켰다. 품목별 개정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다. 시험항목에 추가된 품목 및 기준이 상향조정된 기술기준은 기난 9월 15일부터 적용되고 있다.

  • PDF

부산 남항 해저퇴적물 중 유기오염물질 분포 특성에 관한 연구 (The Spatial Distribution of Harmful Chemical Substance in Sediment Around Busan Southern Port)

  • 민병규;이종혁;주미조;조천래;조현서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06-218
    • /
    • 2020
  • 부산 남항은 도심 속의 다기능 항만으로 공동어시장, 선박수리소, 연근해 및 원양어선 접안시설 등이 설치되어 산업 활동이 활발하다. 산업 활동으로 인해 발생한 유해화학물질이 해저퇴적물에 지속적으로 유입되어 축적되면 수생생태계와 인간에게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따라서 부산 남항에서 2013년 11월(1차), 2014년 11월(2차)에 8개 정점을 선정하여, 해저퇴적물 중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PAHs), 폴리염화비페닐(PCBs), 부틸계유기주석화합물(BTs)를 분석하여 부산 남항의 농도분포 특성 및 유입원을 밝혀내고자 하였다. 연구 지역에서 PAHs의 평균 농도는 1차, 2차 조사에서 각각 4174.0 ng/g-d.w., 1919.0 ng/g-d.w., PCBs의 평균 농도는 1차, 2차 조사에서 각각 166.3 ng/g-d.w., 21 ng/g-d.w.를 보였으며, BTs의 평균 농도는 1차, 2차 조사에서 각각 50.9 ng/g-d.w., 30.8 ng/g-d.w.를 나타내었다. 유기오염물질의 검출농도는 1차에 비해 2차에서 해저퇴적물 수거로 인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본 조사에서 PAHs, PCBs, BTs 유입원은 각각 연소기원, 육상기원, 도시하수 또는 산업폐수에 의한 기원을 확인 할 수 있었다.

ZVI/TIO2를 이용한 폴리염화비페닐로 오염된 토양 정화 (Application of ZVI/TiO2 towards Clean-up of the Contaminated Soil with Polychlorinated Biphenyls)

  • 박재욱;조윤진;이동근
    • 청정기술
    • /
    • 제29권2호
    • /
    • pp.118-125
    • /
    • 2023
  • 부지가 폴리염화비페닐(polychlorinated biphenyls, PCBs)로 오염되면, 심각한 환경 및 건강 위해를 피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혁신적이지만 경제성을 지니는 제자리 복원 기술이 오염 부지에 즉시 적용되어야 한다. TCE, PCE 및 DDT와 같은 염소계 유기화합물의 탈염소화를 위하여 최근에는 나노 규모의 영가-철(zero-valent iron, ZVI)이 성공적으로 적용되었고, 지구 지각에서도 풍부하게 존재하는 철은 환경적으로 안전한 것으로 통상적으로 간주된다. 입상 ZVI에 비해 나노 규모 ZVI의 반응성은 훨씬 높지만, 높은 표면에너지와 자기적 물성 때문에 나노 규모 ZVI 입자들은 서로 응결된다. 서로 응결되어 큰 입자로 전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먼저 생성된 나노 ZVI 입자들을 가능한 고정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TiO2 분말에 나노 ZVI를 담지하였다. FeSO4와 TiO2 분말의 수용액상 슬러리에 NaBH4를 천천히 첨가하여10wt% ZVI/TiO2를 제조하였다. 입자 크기의 불균일성에도 불구하고, 나노 ZVI 입자들이 TiO2 외부 표면에 성공적으로 분산되었다. 제조된 ZVI/TiO2는 PCBs의 표준 물질 일종인 Aroclor 1242로 인위적으로 오염시킨 토양의 PCBs 분해 실험에 적용되었고, Aroclor 1242 분해 성능을 관찰하였다. 제조된 ZVI/TiO2는 Aroclor 1242 분해에 꽤 높은 반응성을 보였지만, 분자량이 큰 탄화수소로 판단되는 화합물이 부산물로 생성되어 토양에 잔류하는 것은 피할 수 없었다.

도심하천유역의 PCBs 농도 분포 (Concentration Distribution of Polychlorinated Biphenyls(PCBs) in Urban Watershed)

  • 김현승;김일규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757-766
    • /
    • 2012
  • In this study, we have examined concentration distribution and patterns of PCBs in waters, sediments and soils in an agricultural area of South Korea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CBs sources and concentration levels. The concentration of PCBs in water samples were ranged from lower values below detection limit to 8.25 ug/L and the concentration of PCBs in sediment samples were ranged from lower values below detection limit to 76.67 ug/Kg. The concentration of PCBs in soil samples were ranged from lower values below detection limit to 23.51 ug/Kg. These contamination levels were far below the guideline values suggested for environmental quality assessment. The homologue patterns in samples varied from sample to sample, but isomer patterns were very similar with each other. PCB-138 and PCB-153 were predominant congeners in the soil and sediment, which were similar to the results obtained from previous studies. With these results, the assessment of potential sources of PCBs contamination in the sediments of the Nakdong river basin was performed. The principal components were extracted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PCA). As the result of PCA, it could be expected that PCBs in samples of this study were more affected by PCB products than combustion processes and mostly affected by already-known sources. The PCBs in the soil and sediment samples were related with commercial PCB products.

역류산화공정을 이용한 고농도 PCBs 함유 절연유의 처리 (Treatment of Highly Concentrated PCB Containing Insulating Oil by Countercurrent Oxidation Process)

  • 이창순;김대익;유건상
    • 대한화학회지
    • /
    • 제61권4호
    • /
    • pp.143-150
    • /
    • 2017
  • 절연유에 높은 농도로 함유되어 있는 폴리염화바이페닐(PCB)을 처리하기 위해서 역류산화공정이 개발되었고 그 평가가 이루어졌다. 학산금속공업(주)로부터 구한 절연유 중의 PCBs의 함량은 1,512 ppm이었다. 역류산화공정은 산소의 흐름 속도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자기 스스로 이동하는 자발적인 불꽃을 이용한다. 불꽃은 활성탄에 흡착되어 있는 PCBs를 제거함과 동시에 활성탄을 재생시킨다. 불꽃의 온도는 활성탄의 질량 손실과 역류산화공정 동안 배출되는 CO와 $CO_2$의 상대적인 비에 의해 결정하였고, 온도는 $650{\sim}850^{\circ}C$의 범위를 보였다. PCBs의 제거 효율은 무게비로 활성탄에 5%가 적재된 절연유를 1번의 역류산화공정을 거쳤을 때 99.99%이상을 나타내었다. 또한 60%의 절연유를 활성탄에 적재하여 3번의 연속적인 역류산화공정을 거쳤을 때 같은 제거 효율을 얻었다. 덧붙여서, 역류산화공정 동안 활성탄의 비표면적은 신탄의 수치와 비슷한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역류산화반응은 쉽고 경제적으로 절연유에 있는 고농도의 PCBs를 제거하는데 대단히 효과적이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국내의 다양한 장소에서 채취된 수질, 토양 및 저질시료의 폴리염화비페닐에 의한 오염도 (Polychlorinated Biphenyl Contaminations of Water, Soils and Sediments Sampled from Various Places of Korea)

  • 박현미;류재천;김영만;이강봉
    • 분석과학
    • /
    • 제13권6호
    • /
    • pp.802-809
    • /
    • 2000
  • 국내의 다양한 장소에서 채취된 수질 43종, 토양 35종 및 저질 11종 중에 포함 되어있는 polychlorinated biphenyls (PCBs)의 congeners 성분들을 GC/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수질시료의 평균 회수율은 $83.8{\pm}10.4%$이며, 토양 및 저질시료의 평균 회수율은 $94.9{\pm}12.2%$였으며, $^{13}C{_{12}}$-PCBs(Surlegate)에 대한 회수율도 $80.2{\pm}8.7%$로 비교적 양호하였다. 검출 한계는 수질의 경우 0.01 ng/ml이며, 토양 및 저질의 경우 0.05 ng/g로 결정되었다. 수질시료는 정량한계 범위 내에서 검출되지 않았으나, 토양 및 저질시료에서는 대부분의 시료에서 한 개 이상의 PCBs congener가 검출되었다. 이번 국내의 PCBs 생태계 오염 실태조사 결과는 미국, 유럽 및 일본과 같은 선진국에 비해 PCBs의 오염도가 상당히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도심 지역의 다이옥신류 폴리염화비페닐류의 침적 플럭스 (Deposition flux of dioxin-like polychlorinated biphenyls(DLPCBs) in urban environment of Busan)

  • 문효방;이수정;최희구;옥곤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469-478
    • /
    • 2004
  • Atmospheric bulk (wet and dry) samples were monthly collected in an urban environment (Daeyeon-dong) of Busan over a year, to assess the deposition flux and seasonality of dioxin-like polychlorinated biphenyls (DLPCBs) using stainless steel pots. Deposition fluxes of DLPCBs in bulk samples were determined using high resolution gas chromatography coupled to high resolution mass spectrometry (HRGC/HRMS). Particle deposition fluxes in the urban environment varied from 23 to 98 $mg^2$/year (mean 41 $gm^2$/year). DLPCB deposition fluxes in atmospheric bulk samples ranged from 0.09 to 0.77 ng-$TEQ/m^2$/year (mean 0.35 ng-$TEQ/m^2$/year). Seasonal atmospheric deposition fluxes of DLPCBs were high in winter and low in summer. Atmospheric deposition fluxes of particles and DLPCBs in this study were comparable to or slightly lower values than those of different locations in the world. Monthly DLPCB profiles in deposition bulk samples were similar over a year. Non-ortho PCBs were higher contributions to the total DLPCBs fluxes than mono-ortho PCBs. In particular, PCB 126 had the highest concentrartion (>75%) in all deposition samples, followed by PCB 169 and PCB 156. A highly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among the deposition fluxes of DLPCB species, suggesting the possibility of that the DLPCB contamination originated from one source. The deposition fluxes of DLPCBs were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emperature and the amount of precipitation even though the summer season with the highest temperature and the largest amount of precipitation showed the lowest DLPCB deposition flux.

오염원 해석을 위한 폴리염화비페닐류(PCBs) 209 이성체의 컬럼별 분리 특성과 Aroclor 표준품의 이성체 확인 (Separation properties of 209 PCB congeners on capillary columns and identification of PCBs congeners in aroclor standards for source identification)

  • 김경수;김교근;김종국
    • 분석과학
    • /
    • 제19권4호
    • /
    • pp.352-364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다이옥신 분석에 주로 사용되는 DB-5MS 컬럼을 포함하여 PCBs 분석에 사용되는 DB-1, SPB-Octyl의 가스크로마토그래피 컬럼에 대해서 Accustandard사의 M-1668A-0.01X-SET 표준물질을 이용하여 PCBs 209개 이성체의 컬럼별 용출순서 및 분리특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현재 PCBs의 정량방법에 사용되는 피크패턴법에서 각 정량피크를 확인하기 위해, 각 Aroclor 표준물질별(Aroclor-1242, 1248, 1254 및 1260) 함유된 PCBs 이성체의 IUPAC 번호를 확인하였다. 각 컬럼별 dioxin-like PCBs 이성체의 분리능은 SP-2331, DB-5MS가 우수하였으며, DB-1 및 SPB-Octyl 컬럼은 다른 컬럼과 조합 사용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과 일본의 환경대기 중 폴리염화비페닐(PCB)의 농도수준 및 발생원 해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ollution Levels and Source of Polychlorinated Biphenyl (PCB) in the Ambient Air of Korea and Japan)

  • 김정수;송병주;김종국;김교근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70-176
    • /
    • 2005
  • 한국과 일본의 환경대기 시료를 대상으로 PCB 전이성질체 분석을 통하여, 오염정도 및 이성질체 분포 특성을 파악하고 통계적 처리기법을 통하여 발생원을 추정하였다. 환경대기 중 PCB 농도는 한국이 $0.003{\sim}1.01\;pgTEQ/m^3$ (평균 $0.22\;pgTEQ/m^3$), 일본이 $0.002{\sim}0.014\;pgTEQ/m^3$(평균 $0.007\;pgTEQ/m^3$)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환경대기 중 PCB 농도는 공단지역이 도시지역간의 농도 변화폭이 매우 크게 나타났다. 이성질체 분포에 있어서는 대체로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한국의 공단 지역에서는 $7{\sim}10CB$의 고염소화 동족체가 검출되어 특정한 오염원이 존재할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주성분 분석을 통하여 한국과 일본의 환경대기 중 PCB 오염원을 추정한 결과 한국 환경대기 시료가 일본 환경대기 시료에 비하여 소각로 영향을 많이 받고 있으며 PCB 제품 영향은 일본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