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폭염특보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4초

기후변화 적응과 기상특보의 역할 (Climate Change Adaptation and the Role of Special Weather Warning)

  • 박종길;정우식;오진아;김은별;최수진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11년도 정기 학술발표대회
    • /
    • pp.173-173
    • /
    • 2011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기상재해 중 건조와 관련하여 인플루엔자, 호흡기질환 등과 같은 질병과 산불발생빈도의 증가로 인해 건강 및 재산상의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한반도의 주택지역은 산림지역과 근접하여 산불 발생시 그 피해와 복구비용이 막대한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향후 지구온난화가 가속화 될 경우 건조와 관련한 환자와 산불로 인한 피해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이에 대한 사전방재계획 및 복구계획 등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건조현상 등의 자연재해에 대한 방재계획이 효과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방재 정보를 인지하고 실천하는 개인의 적극적인 활용이 필요하다. 특히, 개인의 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피해는 정부적인 대책보다 개인이 스스로 인지하여 대비함으로써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재해에 대한 개인의 인지정도는 대책마련에 있어 중요한 요인이 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건조로 인한 질병 및 산불 발생 등 기상재해 증가에 대한 사전방재계획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하여 설문조사분석을 통한 일반인의 건조특보 인지도 및 활용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기후가 변화함에 따라 더운 낮과 밤의 증가로 건조현상뿐만 아니라 폭염의 발생빈도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기후변화 적응측면에서 국민들의 건조특보 및 폭염특보와 관련한 정보 습득이 잘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에서 대학생의 주된 폭염특보 관련 정보습득경로가 TV와 인터넷인 점을 참고하여,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건조특보와 폭염특보 발표일수와 TV, 인터넷의 대중매체를 통한 보도회수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대학생집단과, 10대, 20대의 저연령층의 인지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이는 대중 매체를 통한 건조특보와 관련한 정보전달의 부족으로 나타났다. 폭염특보와 관련한 언론보도는 기상전달뿐만 아니라, 폭염의 위험성, 폭염으로 인한 피해상황, 폭염특보제 홍보, 폭염과 관련한 대비책 등 다양한 내용으로 기재되었다. 반면에, 건조특보의 경우에는 대부분이 단순 기상전달로 폭염특보에 비해 보도의 다양성이 결여되어 있었다. 차후 대중매체를 통한 이용자들의 접근성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전달이 필요하다. 산불 및 화재예방과 관련하여 기상청의 정확한 기상정보 제공과 사전방재계획 수립에 대한 필요성을 직업별, 연령별로 구성된 각 집단의 50%이상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기상정보 전달의 핵심인 기상청을 중심으로 온라인/오프라인 상의 기초교육부터 체계적인 사전방재계획 및 안전교육 프로그램 마련이 필요하다.

  • PDF

2016년 서울과 부산지역 폭염특보 정보의 경제적 가치 평가 -폭염대책 비용과 환자 자료를 중심으로- (Evaluating Economic Value of Heat Wave Watch/Warning Information in Seoul and Busan in 2016: Focused on a Cost of Heat Wave Action Plan and Sample of Patients)

  • 김인겸;이승욱;김혜민;이대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525-535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부문에서 활용되는 기상청의 여름철 폭염특보 정보의 가치를 평가하는 것이다. 폭염특보는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매년 발생하는 고온 피해를 저감하기 위한 대비계획의 행동 수준을 결정하는 주요 투입변수로 활용되고 있다. 비 시장재인 폭염특보 정보의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 비용-손실을 고려한 의사결정모델을 수립하였다. 의사결정모델 변수인 비용과 손실은 각각 서울과 부산에서 2016년 사용한 폭염 대책 예산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제공하는 65세 이상 고령자의 건강보험 청구금액으로 설정하였다. 분석 결과 2016년 기상청 폭염특보는 서울과 부산에 각각 41.3억 원과 10.9억 원의 가치를 제공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기상청이 폭염특보의 False Alarm (FA) 오류를 1회 줄이면 서울과 부산에서 각각 76.6백만 원, 16.8백만 원의 가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는 공공부문에서 활용되는 폭염특보의 가치를 정량적으로 추정한데 의의가 있다.

한국형 폭염특보기준에 대한 일최고기온과 열지수의 비교에 관한 연구

  • 박종길;정우식;김백조;최병철;김은별;송정희;이정은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2007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45-48
    • /
    • 2007
  • 한반도에 발생한 폭염을 전반적으로 잘 나타내고 있는지에 대하여 제안된 한국형 폭염특보기준과 현재 기상청에서 사용하고 있는 열지수(Heat Index, HI)를 비교${\cdot}$검토한 결과, 같은 조건인 Case 1 기준과 Case 3 기준을 비교한 결과, Case 1 기준이 Case 3 기준에 비해서 거의 절반 수준의 초과 발생 빈도 범위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발생지점의 위치에는 거의 차이를 보이고 있진 않지만 발생빈도수에서는 두 배 가량의 큰 차이를 보이고 있으므로, 추후 14년 동안의 지점별 초과사망자의 빈도수와 그에 따른 연구가 더 필요하다.

  • PDF

이상기후가 과수 생산성에 미치는 악영향 - 기상특보 발효횟수를 중심으로 - (Negative Effect of Abnormal Climate on the Fruits Productivity - Focusing on the Special Weather Report -)

  • 정재원;김성섭;이인규;소남호;고현석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05-312
    • /
    • 2018
  • 기후변화에 대한 논의가 지속되면서 다양한 영역에서 이와 관련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농업은 기후와 가장 밀접하게 관련된 산업으로, 기후변화와 그에 따른 이상기후에 의해 생산성이 크게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및 이상기후에 따른 작목별 농산물의 생산성 변화를 살펴보고, 이상기후 종류별 발효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비효율성이 증가하는 작목을 분류하였다. 이상기후를 대리할 수 있는 자료로 기상청에서 발표하는 기상특보의 발효횟수를 활용하였고, 분석에 고려된 기상특보의 종류에는 강풍특보, 호우특보, 대설특보, 건조특보, 한파특보, 태풍특보, 폭염특보가 있다. 8개 과수 작목의 생산 효율성 대해 각 기상특보의 발효횟수가 미치는 영향을 확률적 프런티어 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한파특보와 대설특보가 많은 수의 과수작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진흥청의 농산물 소득조사 자료를 활용한 상기 분석결과는 기후변화와 다양한 이상기후에 대한 국내 농업의 대응전략을 효율적으로 수립하는 데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폭염시기 인명 피해 예방을 위한 폭염특보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xtreme heat health watch warning system threshold for personal injury prevention)

  • 박종길;정우식;김은별;송정희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8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385-388
    • /
    • 2008
  • Recently, occurrence frequency of natural disaster decrease but scale of damage increase remarkably by the Climate change due to global warming. Especially, extreme heat become more critical wether problem in the Korean Peninsula. But, we don't have exact threshold about extreme heat. Therefore, to assess the influences by the extreme heat on personal injury, we analyzed statistics on the causes of the daily mortality. And we developed a threshold for extreme heat health watch warning system.

  • PDF

폭염특보 인지도와 기상특보 활용도 분석 ; 대학생들의 인지 (Analysis of the Perception of Extreme Heat Watch Warning and Usefulness of Special Weather Reports ; Focus on the Perception of University Students)

  • 박종길;오진아;정우식;김은별;최수진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9권10호
    • /
    • pp.1237-1246
    • /
    • 2010
  •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university students for the extreme heat watch warning and suggest the usefulness of special weather reports. For this, we have made up a descriptive questionnaires including the perception, mass media, usefulness and satisfaction of special weather report. Using the SPSS 17.0 program,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Scheffe test were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 are as follows; The perception of extreme heat watch warning was some low as 59.1 percentile, we think it needs education and public relations about the extreme heat watch warning. The usefulness of special weather report was 66.6 percentile and of girl students of university that was educated about health care was higher than one of boy students of university, it needs continuous education of these students in order to upgrade satisfaction of special report and mitigate the hazard of extreme heat according to climate change. The main media to get the meteorological information of university undergraduate students were TV and Internet, it needed education and development of new contents. From these findings, suggestions are presented to help improve the extreme heat watch warning.

보건기상정보 제공을 위한 폭염특보 운영현황 및 개선방안 조사 (Investigation of Operation and Improvement for Heat Watch Warning System to Provide Health-Weather Information)

  • 황미경;강윤희;김성민;김유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77-285
    • /
    • 2019
  • Heat watch warning systems are operating in Korea and several other countries (China, the United Kingdom, France, the United States, Germany, Australia, and Japan). The heat wave indices used in this system are the heat index, perceived temperature, the wet bulb globe temperature, and the daily maximum temperature. To improve the heat wave advisory and warning system, some suggestions have been made. The meteorological-health index (i.e., indirect index), has especially been proposed in previous studies. This information should be provided not only to vulnerable groups (seniors, infants, and children), but also to outdoor workers who may be particularly exposed to heat waves. In addition, to have sufficient preemptive response times, the need for an extension of the heat watch warning period was suggested. Finally, the subdivision of administrative units and risk stages was proposed.

기상위험 조기경보를 위한 웹기반 표출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a Web-Based Early Warning System for Meteorological Hazards)

  • 공인학;김홍중;오재호;이양원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1-28
    • /
    • 2016
  • 호우, 폭염, 한파와 같은 기상재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는 기상예측이 매우 중요하다. 우리나라 기상청에서는 현재시점의 기상특보를 제공하고 있고, 농촌진흥청에서는 농장재해에 대한 2일 예보를 일부 지역에 대해 시범서비스 하고 있다. 이러한 기상위험 조기경보 시스템의 발전을 위해서는 전국적인 고해상도 예측자료와 Web GIS가 통합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1시간 간격, 1km 해상도의 수치예보 자료와 Web GIS가 통합된 형태의 기상위험 조기경보 서비스의 프로토타입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전지구모델 GME의 다운스케일링을 통해 시공간분해능이 향상된 기상위험 예측자료가 Web GIS를 통해 표출되도록 하였으며, 오픈소스 기반의 지도 API와 JavaScript 라이브러리의 시각화기법을 결합하여 동적 인터액션이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였다. 711,504개 격자점에 대하여 1시간 간격의 위도, 경도, 기온, 강수량 등 9개 항목으로 이루어진 대량의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하여 오픈소스 기반의 DBMS인 PostgreSQL을 사용하였으며, Spring과 myBatis를 연동하여 전자정부 프레임웍기반의 웹서비스를 구성하였다. 이 시스템은 현재의 기상위험 상황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향후 7일간의 호우, 폭염, 한파 등 기상위험 예측정보가 1시간 간격 및 읍면동 단위로 제공된다. 이 시스템이 현업운용 되기 위해서는 수치예보의 정확도 향상과 함께 래스터 및 벡터 자료의 전처리시간 단축이 향후과제로서 해결되어야 할 것이다.

인명.재해 피해 저감을 위한 폭염특보기준 검토 및 보완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examination and revision about the standard level of the Extreme heat watch warning system for reduction of personal or property injury)

  • 박종길;정우식;송정희;김은별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8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89-92
    • /
    • 2008
  • The extreme heat watch warning system(EHWWS) that Korea Meterological Administration carried out a preliminary from July 1, 2007, considered both daily maximum temperature and daily maximum heat index simultaneously. It was requested revision of the standard level of EHWWS to solve the difficulty of forecasting occurred when we were considering two parameters simultaneously and we did not considering heat index according to areas. For this, we established three type standard, such as type 1 that considered both daily maximum temperature and daily maximum heat index, Under the extreme heat day that daily minimum temperature was more than $25^{\circ}C$, type 2 that considered daily maximum temperature and type 3 that considered only daily maximum heat index and then analyzed whether these 3 types satisfies the excess mortality of the extreme heat warning or not. As a results, type 1 and 2 were more explain away excess mortality each warning step than type 3. type 2 could also apply case of not to consider heat index according to areas and had a merit for extreme heat forecasting easily because the standard was simple. Therefore we think type 2 is more suitable and reasonable standard for Korea extreme heat watch warning system(KEHWWS) than type 1. In addition, we need to develop model that exactly predicts the excess mortality will be take place during the extreme heat warning and construct KEHWWS.

  • PDF

뉴스 데이터 기반 농업 가뭄 전조 감지 및 확산 분석 (Detection and spread of agricultural drought warning based on news data)

  • 김민진;남원호;양미혜;이지완;김성준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3년도 학술발표회
    • /
    • pp.339-339
    • /
    • 2023
  • 2018년도 연강수량은 1,386.9 mm로 평년 수준의 비가 내렸으나, 7-8월에 발생한 폭염 및 가뭄으로 인해 강원, 전남, 경북, 충남 지역에서 밭작물 중심으로 22,767 ha 피해가 발생하였다. 2019년도 연강수량은 1,171.9 mm로 평년보다 약 10% 적은 수준의 비가 내렸으며, 동일시기에 인천, 강원, 충남 지역에서 논·밭작물 중심으로 3,112 ha 피해가 발생하였다. 기후변화로 인해 강수량이 지역별로 편중되어 국지적 가뭄이 빈발하여 지역별로 가뭄의 영향, 피해, 체감 정도가 상이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가뭄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서는 가뭄 모니터링과 선제적 대응이 중요하며, 현재 가뭄의 특징, 상황 등의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가뭄 모니터링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가뭄의 피해와 영향 정도는 지역 간의 차이가 나타나 지역별로 가뭄을 체감하는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하나의 결과로 나타내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가뭄의 발생 시기와 확산 정도를 분석하여 특보 발효 시점과 가뭄 대응 방안에 대한 기준 마련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현대 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로써 활용되고 있는 빅데이터 중 비정형 데이터로 분류되는 뉴스데이터와 논·밭의 가뭄을 나타내는 농업 가뭄과 관련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농업 가뭄의 전조를 파악해보고자 한다. 2018년부터 2019년까지 전국을 대상으로 농업 가뭄에 관한 키워드 선정 후, 웹 크롤링을 통해 뉴스데이터를 수집해 논 가뭄과 밭 가뭄을 구별하여 각 지역에서 최초로 가뭄 기사가 발행된 시기와 지역별 기사의 빈도를 산출하였다. 뉴스데이터의 농업 가뭄 전조 감지 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해 국가가뭄정보통계집에서 논 물마름 시기와 밭 시듦 시기 자료를 활용하였다. 가뭄 피해 발생시기와 관련 기사 발행 시기 비교, 농업용수 대상 비상용수 지원 자료를 활용하여 실제 농업 가뭄확산 감지 여부를 분석하여 농업 가뭄 관련 뉴스데이터 간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