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폭경차이

검색결과 73건 처리시간 0.019초

측모두부 방사선사진을 이용한 골격성 II급 부정교합 청소년의 성장 단계별 상기도부의 계측 분석 (Pharyngeal Airway Dimensions in Skeletal Class II Young Adolescents : Cephalometric Study)

  • 천민경;양선미;김재환;김선미;최남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98-108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소아 및 청소년의 성장단계별(성장급증기 이전, 성장급증기, 성장급증기 이후) 골격성 II급 1류 및 2류 환자의 비인후 및 구강인후 부위인 상기도부의 기도 폭경을 평가하기 위함이다. 골격성 I급 청소년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전남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소아 및 청소년환자 159명(골격성 I급 70명, 골격성 II급 1류 51명, II급 2류 3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측모두부 방사선사진과 수완부 방사선사진을 이용하여 성장단계별로 분류하였다(성장급증기 전, 성장급증기, 성장급증기 후). 상기도부의 해부학적 폭경을 측정하기 위해서 13개의 계측점, 5개의 계측각, 5개의 계측선, 3개의 비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비인후 및 구강인후 부위의 전후방 폭경은 조사된 모든 그룹에서 성장과 함께 증가하였다. 부정교합에 따른 비인후 기도부위와 상부 구강인후 기도 부위 폭경의 통계적 차이를 밝히지는 못하였으나, 하부 구강인후 기도부의 전후방 폭경은 골격적 II급 부정교합군이 1급 부정교합군보다 더 좁게 나타났다.

석고 모형, 레이저 스캔 디지털 모형, 콘 빔 CT 영상 간의 모형 분석 계측치 비교 (Comparison of model analysis measurements among plaster model, laser scan digital model, and cone beam CT image)

  • 임미영;임성훈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6-17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레이저 스캔 디지털 모형과 콘 빔 CT (CBCT) 영상을 모형 분석에 사용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인접면에 금속 수복물을 갖지 않는 영구치열기의 20명의 교정환자에서 CBCT 영상, 석고 모형, 디지털 모형을 제작하여 각각에서 모형 분석을 시행한 후 그 계측치들을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디지털 모형과 석고 모형을 비교 시, 치아 폭경 계측치 차이의 평균은 0.01-0.20 mm였으며, 치열궁 길이 부조화 계측치 차이의 평균은 상악 0.41 mm, 하악 0.82 mm였고, Bolton 부조화 값 차이의 평균은 전치부에서 0.17 mm, 전체에서 0.44 mm로 나타났다. CBCT 영상과 석고 모형을 비교 시 치아 폭경 계측치 차이의 평균은 0.01-0.22 mm였으며, 치열궁 길이 부조화 계측치 차이의 평균은 상악 0.43 mm, 하악 0.32 mm였고, Bolton 부조화 값 차이의 평균은 전치부에서 0.35 mm, 전체에서 1.25 mm로 나타났다. 디지털 모형과 CBCT 영상의 모형 분석을 석고 모형의 모형 분석에 비교해 볼 때 몇몇 계측치 들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그 차이가 크지 않으므로 임상에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성장기 반대교합자의 FR III 효과에 관한 임상적 고찰 (A CLINICAL CONSIDERATION ON THE EFFECT OF FR III IN GROWING PATIENTS WITH ANTERIOR CROSS-BITE)

  • 송경;성재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30-143
    • /
    • 1989
  • FR III에 의해 전치부 반대교합이 개선된 성장기 반대교합자 7명을 대상으로 치료전과 전치부 반대교합개선 즉시의 측모두부방사선 규격사진 및 모형을 분석 검토한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으나, 악골형태, 성장형태, 부정교합상태등에 따라 아주 다양한 결과를 나타내어 FR III에 의한 악안면의 변화를 한마디로 요약하는 것은 상당히 힘든 것으로 사료된다. 1. 상악골은 미약한 전상방으로의 회전 경향과 전방성장을 보였다. 2. 하악골은 개체간의 차이는 있으나 미약한 수직적 위치변화와 함께 하안면고가 증가되었다. 3. 상악전치는 치체이동 또는 순측경사되었다. 4. 모든 증례에서 하악전치는 설측경사를 보였다. 5. 상악치열궁 폭경은 증가되었으며, 하악치열궁 폭경은 개체간의 차이는 있으나 대체적으로 거의 변화되지 않았다.

  • PDF

한국인 정상교합자의 치아크키와 치열궁 계측치에 관한 연구 (Tooth size and arch parameters of normal occlusion in a Iarge Korean sample)

  • 이신재;문성철;김태우;남동석;장영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473-480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정상교합자의 치아 크기와 치열궁 척도를 재평가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296명(남자 179명, 여자 117명)의 정상교합자 모형을 분석하였는데, 이 정상교합자 표본은 1999년부터 2002년까지 시행된 대규모의 구강 검진 사업에 대상이 되었던 15,836명의 성인 중에서 선발되었다. 0.01mm정밀성을 보이는 슬라이딩 디지털 캘리퍼스를 이용하여 치아의 근원심 폭경과 치열궁 폭경, 치열궁 기저부 폭경 및 치열궁 장경을 측정하였으며, 구치부 폭경 비율과 Bolton의 지수를 도출하였다. 계측의 신뢰성 증진을 위한 방안들을 면밀히 고려하였으며, 측정시의 실험자내 및 실험자간의 신뢰성 지수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자료의 신뢰성은 매우 우수하였으며, 측정된 자료에서는 명백한 성차가 다시금 확인되었다. 20년전의 자료와 비교한 결과 의미있는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각종의 선형 계측치의 경우 명백한 성차 및 인종간의 차이가 인정되지만 각종 비율 척도의 경우 성별 및 인종에 상관없이 같은 값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물은 임상적으로 부정교합 환자에게 적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미맹출 영구 견치 및 소구치 근원심 폭경 추정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PREDICTION OF THE MESIODISTAL DIAMETERS OF UNERUPTED CANINES AND PREMOLARS IN KOREAN MALE AND FEMALE)

  • 황민성;김정욱;장기택;이상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15-124
    • /
    • 2002
  • 본 연구는 서울시 치과의사회에서 주관한 건치아동 선발대회 후보의 경석고모형 162쌍을 분석하여 성별에 따라 하악 영구 4전치 근원심 치관 폭경합의 계측치에서 상악 및 하악의 편측 영구 견치 및 제 1, 2소구치 근원심 폭경합을 추정하는 회귀방정식과 확률표를 구하였다. 그리고 성별간 차이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남자와 여자 모두 동일한 악궁 내에서 좌우측 영구 견치 및 소구치의 폭경합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남녀간의 상하악 좌우측 영구 견치 및 소구치의 폭경합을 비교한 결과 남자가 여자보다 크게 나타났다(p<0.01). 2. 성별에 따라 하악 영구 4전치의 근원심 치관 폭경합의 계측치(x)에서 상악 및 하악의 편측 영구 견치 및 제 1, 2소구치의 근원심 폭경합(y)을 추정하기 위한 회귀 방정식은 다음과 같았다. 남자 상악 영구 견치 및 소구치 폭경합 : y=10.45+0.53x 남자 하악 영구 견치 및 소구치 폭경합 : y=10.07+0.51x 여자상악 영구 견치 및 소구치 폭경합 : y=12.65+0.42x 여자 하악 영구 견치 및 소구치 폭경합 : y=11.70+0.42x 남자+여자상악 영구견치 및 소구치 폭경합 : y=11.01+0.50x 남자+여자하악 영구견치 및 소구치 폭경합 : y=9.87+0.51x.

  • PDF

한국인 소아에서 제2유구치에 대한 러버댐 클램프의 적합도에 관한 연구 (STUDY ON ADAPTABILITY OF RUBBER DAM CLAMPS ON PRIMARY SECOND MOLARS IN KOREAN CHILDREN)

  • 박미래;마연주;안병덕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98-105
    • /
    • 2013
  • 질 높은 치료를 제공하고 안전한 치료환경을 만들기 위한 러버댐 사용의 중요성은 소아치과에서 더욱 강조된다. 한편 잘못된 클램프의 장착으로 발생하는 통증과 불완전한 방습은 협조도를 떨어뜨리고 진정 치료 중 방해가 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혼합치열기 아동 110명의 경석고 모형을 통해 제2유구치의 치경부 근원심 폭경을 측정하고 이를 #203/204, #10/11, #205 클램프(Dentech, Japan)의 근원심 폭경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제2유구치의 치경부 근원심 폭경은 하악이 상악보다 크고, 협측이 설측 보다 컸다. 모든 위치의 계측값이 클램프 폭경과 비교 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그 차이값이 상악 제2유구치에서는 작은 반면 하악 제2유구치에서는 1 mm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상악 제2유구치는 #203/204 및 #10/11 클램프와 비교적 잘 맞는 반면 하악 제2유구치를 위해서는 보다 적절한 크기의 클램프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정모 두부 방사선 사진 촬영시 Head Posture Aligner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The Validity of Head Posture Aligner in Posteroanterior Cephalometry)

  • 김은희;황현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543-552
    • /
    • 2000
  • 본 연구는 natural head posture(NHP)를 이용하여 정모 두부 방사선 규격사진 촬영시 재현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두개 안면부의 기형이 없는 25세 전후의 성인 남녀 30명을 대상으로 통상적인 방법(술자 유도법)과 NHP에서 Head Posture Aligner를 이용한 방법(HPA법)으로 정모 두부 방사선 사진을 각기 2주 간격으로 촬영한 후 5개의 고경 계측항목과 9개의 폭경 계측항목을 선정하여 t 검정으로 각 계측항목의 재현도를 비교하는 한편, 정모와 측모 두부 방사선 사진으로3차원 상을 합성시 오차의 요인이 되는 두부의 상하회전 정도 차이를 촬영 방법별로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시간 간격을 두고 술자 유도법으로 2회 촬영한 정모 두부 방사선 사진의 계측치는 모든 고경 계측항목에서 서로 차이를 나타내어 낮은 재현도를 보였다. 2. 시간 간격을 두고 HPA법으로 2회 촬영한 정모 두부 방사선 사진의 계측치는 모든 고경 계측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재현도가 높음을 보였다. 3. 폭경 계측항목의 경우 2회 계측치의 차이를 통하여 살펴 본 재현도에서 술자유도법과HPA방법간에 두드러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정모 및 측모 두부 방사선사진으로 3차원상을 합성하기 위한 수직적 두부 위치 보정각을 계산한 결과, 술자 유도법의 경우 $2.5^{\circ}$인 반면, HPA법은 $0.8^{\circ}$로 작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정모 두부 방사선 규격 사진 촬영시 두부 위치의 재현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HPA의 사용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 PDF

III급 부정교합의 수술-교정 치료시 상악 소구치 발치가 치열궁 폭경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axillary premolar extraction on transverse arch dimension in Class III surgical-orthodontic treatment)

  • 이신재;홍성준;김영호;백승학;서정훈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23-34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III급 수술-교정 치료 방법에 영향을 미치는 치열 상의 요소를 파악함으로써 술전 교정시 상악 소구치 발치와 비발치의 판단에 필요한 임상적 정보를 얻고자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의 수술-교정 치료시 흔히 선택되는 상악 제1소구치 발치로 치료된 군과 비발치로 치료된 군 간의 치료전/후 상/하악 개별 치아 이동 양상과 치열궁 폭경의 변화 양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비발치로 III급 수술-교정 치료를 마친 환자 (24명) 와 술전교정 치료시 상악 제1소구치가 발치된 환자 (31 명)의 치료 전/후 모형 상에서 개개 치아의 근원심/협설측 각도 변화와 상/하 치열궁 폭경의 변화를 측정한 후, 두 군 사이의 교정적 치아 이동 양상을 비교 분석한 후 상/하 치열궁의 조화를 이루는데 필요한 치열궁 폭경의 변화와 이에 기여하는 치아 변위와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상관 분석과 회귀 분석을 시행한 결과 발치 군은 비발치 군에 비하여 상악 치열궁 폭경의 감소가 컸으며 이는 상악 구치의 inclination 감소에 크게 영향 받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하악 치열에서는 inclination의 증가와 폭경의 증가가 있었으나, 비발치/발치군간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 결론적으로 III급 수술-교정 치료시 술전 상악 소구치 발치는 상악 구치부 치열궁 폭경의 감소에 크게 영향을 미치므로, 상악 소구치 발치에 대한 판단은 상/하악 치열궁의 폭경 및 구치부 경사도 문제와 연계하여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생각되었다.

In-Ceram 전부도재관의 shoulder 폭경에 따른 변연적합도 (Marginal fit of In-Ceram crown according to shoulder width)

  • 천승근;이청희;조광헌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16권2호
    • /
    • pp.105-112
    • /
    • 2000
  • 본 연구는 치아형성시 shoulder 폭경이 변연 적합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지대치의 치경부쪽의 shoulder 폭경을 0.6 mm, 0.9 mm, 1.2 mm로 나누어 각각 9개씩, 총 27개의 모형을 제작하여 통법에 따라 In-Ceram 전부 도재관을 제작한 후 시멘트 접착하고 근심, 원심, 협, 설측 중앙 부위를 200배 확대하여 변연 적합도의 측정한 후 각 군과, 측정부위에 따른 변연 적합도 비교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shoulder 폭경이 0.6 mm인 경우 $81.28{\mu}m$, 0.9 mm인 경우는 $70.78{\mu}m$, 1.2mm 인 경우는 $67.75{\mu}m$의 변연간극을 보였다. 2. shoulder 폭경이 0.6 mm인 경우가 0.9 mm, 1.2 mm인 경우보다 변연간극이 유의한 차이를 크게 나탔났으며(p<0.05), 0.9 mm인 경우와 1.2 mm인 경우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3. In-Ceram 시편의 변연부에서 근심측, 원심측, 순측, 설측의 측정위치에 따른 변연적합도의 비교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 PDF

유리치근 자가이식술의 방법 및 증례보고 (Autogenous Free Gingival Graft)

  • 손성희;이재현;김우성;김충건;이정호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11권10호
    • /
    • pp.675-679
    • /
    • 1973
  • 저자들은 Vestibular fornix의 연장, 노출된 치근의 치근회복 또는 부착치근의 폭경을 증가시켜주기 위해서 유리치근 자가이식수술을 6례는 하악전치부에, 2례는 하악구치부에 시행하여 성공하였다. 수술후 3개월 6개월에 완전치유결과를 나타냈으며 수술후의 후유증으로 이식부위의 조직의 색조가 인접조직과 비교해서 약간 차이가 있을 뿐이다. 본 수술은 비교적 간단하고 또한 치유가 빠르며 예후가 양호하므로 치주영역에 추천할만한 수술법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