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포유동물

검색결과 297건 처리시간 0.028초

N-Phosphinothioyl carbofuran 유도체의 합성 및 살충 활성 검정 (Synthesis and Insecticidal Activities of N-Phosphinothioyl Carbofuran Derivatives)

  • 박홍열;김성문;한대성;허장현
    • 농약과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27-33
    • /
    • 2000
  • N-Dimethoxyphosphinothioyl carbofuran(PSC)는 대부분의 해충과 포유동물에 대하여 뛰어난 선택독성을 갖지만 몇몇 해충에 대해서는 낮은 살충력을 갖는다. PSC에 N-phosphinocioyl 기를 도입하여 10종의 N-phosphinothioyl carbofuran 유도체를 합성하였고, 이들의 살충활성을 벼멸구(brown plant hopper, Nilaparvata lugens), 복숭아혹진딧물(green peach aphid, Myzus persicae), 배추좀나방(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와 두점박이응애 (two-spotted spider mite, Tetranychus urticae)를 대상으로 검정하였다. 대조약제인 carbosulfan의 경우 125 ppm, 125 ppm과 63 ppm 처리시 각각 복숭아혹진딧물, 배추좀나방과 벼멸구에 대하여 90% 이상의 살충활성을 나타내었다. 신규 합성된 대부분의 화합물들은 250 ppm 처리시 배추좀나방과 벼멸구에 대하여 공히 90% 이상의 살충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화합물 10은 복숭아혹진딧물, 배추좀나방과 벼멸구를 각각 125 ppm, 125 ppm과 31 ppm에서 90% 이상 치사시켰는데, 이러한 화합물 10의 살충효과는 carbosulfan의 살충효과와 비슷한 것이었다. 본 실험의 결과는 N-phosphinothioyl carbofuran 유도체들이 새로운 살충제 개발을 위한 선도물질로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 PDF

포유동물 세포에서 Human Immunodeficiency Virus-1의 Oligomeric gp140 단백의 발현 및 특성 (Expression and Characterization of Human Immunodeficiency Virus-1 Oligomerized gp140 Protein in Mammalian Cells)

  • 김은옥;김은;김현수;신광순;김철중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55-64
    • /
    • 2002
  • HIV-1의 envelope glycoprotein은 중화항체에 의한 체액성 면역반응의 중요한 target으로 surface glycoprotein인 gp120과 transmembrane glycoprotein인 gp41로 이루어져 있다. gp120과 gp41의 ectodomain으로 이루어진 gp140 유전자를 PCR의 방법으로 증폭하고 Semliki Forest virus(SFV) 유래 expression system을 이용하여 mammalian 세포에서 발현하였다. 발현된 gp140은 natural HIV-1에서와 같이 oligomer를 형성하였다. 발현된 gp140을 정제하여 BALB/c 마우스에 접종하여 항체가 형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돼지 미성숙 난자 모계 유전자 발현이 체외성숙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aternal gene expression on porcine oocytes in vitro maturation)

  • 이재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3532-3536
    • /
    • 2012
  • 난자 세포의 정상적인 성숙과정을 이해하려면 모계유래 유전자 발현 증가의 분자 생물학적 기전을 밝혀내야 한다. 이것은 모계 유전자의 염기서열의 변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전 연구결과에 의하면 돼지 난자 체외 성숙과정에서의 모계 유전자 mRNA 발현은 통상적으로 poly(A) 꼬리 길이와 아데닐산 중합반응에 의하여 검증된다. 하지만 포유동물 체외성숙 과정에서는 아직까지 밝혀진 것이 없다. 따라서 본 연구목적은 성숙단계 난모세포에서의 분자생물학적 기전을 해명하고자, 4개의 중요한 모계유전자발현을 real-time PCR기법으로 확인하여 poly(A) 꼬리 길이와 아데닐산중합반응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접합체 유전자 활성화 단계에서 모계 유전자의 비정상적인 발현과 이것에 상응하는 단백질 수준의 억제는 일부 혹은 대부분 유전자 손실에 의하여 초래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상적인 모계 유전자 발현은 난자 세포의 성숙 및 더 나가서 초기 배아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임을 확인 하였다.

가버 웨이블릿을 이용한 원시 시각 피질 모델 구현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Primitive Visual Cortex Model in Retina Using Gabor Wavelet)

  • 이영석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477-482
    • /
    • 2020
  • 인간의 시각피질의 특징은 특별한 방향성을 갖거나 시간적인 주파수 변화를 동반하는 자극에는 민감하게 반응하지만, 공간 위상의 선택적 자극에는 둔감하게 작용한다는 것이 고등 포유동물의 시각 피질에 대한 생리학적 실험으로 증명되었다. 이 결과는 위치에 민감한 단순 세포의 분포가 복잡 세포의 분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생리학적 특징에 기인한 것으로 본 논문에서는 원시 시각 피질을 구성하는 단순 세포와 복잡 세포 가운데 더 넓은 분포의 복잡 세포 모델링을 가버 웨이블릿 변환을 이용한 영상추정 반복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구현하였다. 구현된 모델은 영상의 경계 및 모서리의 검출 평가와 함께 기존의 생리학적 실험논문과 구현한 모델의 결과 사이의 일관성을 확인하였다. 구현된 모델은 단순 세포와 복잡 세포가 함께 분포하는 망막의 수용 장을 완전한 형태를 구현할 수 없는 제한이 있지만, 시각 피질을 일부를 담당하는 복잡 세포를 알고리즘의 관점에서 구현하여 더 완전한 시각 피질 모델의 기초로 활용할 수 있다.

동시화된 포유동물세포에서 돌연변이원에 의해 유발된 DNA 회복합성 및 염색체이상에 미치는 3-Aminobenzamide의 영향 (Effect of 3-Aminobenzamide on DNA Repair Synthesis and Chromosome Aberrations Induced by Mutagens in Synchronized Mammalian Cells)

  • 신은주;강인영;엄경일
    • 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07-117
    • /
    • 1991
  • The effect of 3-aminobenzamide (3AB), an inhibitor of poly (ADP-ribose) polymerase, on ethyl methanesulfonate (EMS)-or bleomycin (BLM)-induced DNA repair synthesis and chromosome aberrations was examined during the cell cycle of Chinese hamster ovary (CHO)-K$_1$ cells. The synchronized cells were obtained by using thymidine double block method and mitotic selection method. Three assays were employed in this study: unscheduled DNA synthesis, alkaline elution and chromosome aberrations. 3AB alone did not induce DNA repair and chromosome aberrations in all phases. The post-treatment with 3AB inhibited DNA repair synthesis induced by EMS or BLM in G$_2$ phase, whereas 3AB did not affect chromosome aberrations induced by EMS or BLM in all phas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3AB aggravates the cell cycle disturbance which occur after DNA damage, and leads to an accumulation of cells at G$_2$ phase, and inhibits DNA repair synthesis, while the effect 3AB on chromosome aberrations may need reevaluated.

  • PDF

신경전달물질 조절효소의 절제 및 특성 연구

  • 최수영;김인;송민선;장상호;최의열;조성우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and 제3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 /
    • pp.181-181
    • /
    • 1994
  • 포유 동물의 중추 신경계에서 주 억제성 신경전달물질로 알려진 4-aminobutyrate(GABA) 대사에 관여하는 효소인 GABA transaminase (GhBA-T)와 Succinic semialdehyde reductase(SSR)를 각각 여러 가지 크로마토그래픽 방법을 사용하여 순수 분리 정제하였다 GABA-T는 subunit 분자량 50kDa을 가진 dimer이며 화학 변형(chemical modification), 흡광, 형광스펙트럼 연구에 의하면 cysteinyl잔기가 활성 부위에 존재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SSR은 2-mercaptoethanol이 존재하든 안하든 o-pthalaldehyde(OPA)에 의하여 효소 활성도가 상실되었으며 흡광 및 형광스펙트럼에 의하면 OPA가 효소의 활성 부위의 lysyl잔기와 반응하여 cysteinyl잔기와 함께 intermolecular cross-linking을 이루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SSR은 몇가지 anticonvulsant drug에 의하여 부분적인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유전독성물질의 평가방법과 그 기작에 관한 연구

  • 이정섭;박종근;박종광;박상대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3년도 제2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초록집
    • /
    • pp.170-170
    • /
    • 1993
  • 유전독성물절외 검출과 평가에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모델 시스템의 개발 및 DNA 회복기작을 규명할 목적으로 수종의 돌연변이, 발암원을 이용하여 배양 포유동물세포 및 어류세포에서 세포생존률, DNA 합성 및 복제억제의 양상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MMS및 MNNG 와 같은 알칼라제는 CHO 세포에서 유의한 DNA 합성저해, DNA 복재억제, DNA 단사절단 및 비주기성 DNA 합성률의 증가를 유발하였다. Benzo(a)pyrene과 3-methylcholanthrene좌 같은 DNA 상해 전구물질의 경우 유전독성 여부의 판정에는 반드시 S-9/15과 같은 대사활성계 또는 mouse embryonic fibroblast와 같은 대사 활성능이 있는 세포와의 co-culture system들이 필요함을 확인하였으며, 이들에 의한 DNA 상해와 복재억제 유도의 작용양상은 자외선의 작용양상과 유사하였다. 배양 어류세포에서 자외선에 의한 세포생존율의 측정, 광재활성능의 분석 및 자외선에 의해 유발된 피리미딘 이량체 절제능 검토 및 DNA 합성 저해능의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유전독성 평가를 위한 모델 시스템 구축의 기초결과를 얻었다.

  • PDF

냄새의 인지과정과 후각 센서 (Smell Perception Process and Olfactory Sensor)

  • 박태현;윤응식
    • KSBB Journal
    • /
    • 제13권6호
    • /
    • pp.631-637
    • /
    • 1998
  • 후각은 가장 민감한 감각 기관으로 다른 감각에 비해 아직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있지 않다. 후각의 이론적 접근은 100년도 안되는 역사를 가지고 있고, 후각세포에서 일어나는 전기적 신호를 측정한 것은 50년 전의 일이었다. 최근들어 후각의 산업적 응용에 대한 관심으로 인해 많은 연구가 진행중이다. 본 고에서는 후각의 신호 전달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포유 동물과 곤충의 후각 기관의 구조를 비교하고 각각의 인지 과정을 분자 수준에서 살펴보았다. 또한 후각 기관의 냄새 인지 과정을 이해하여 후각 센서로의 이용 가능성에 대해 검토하고, 현재 후각 센서의 개발 현황을 알아보았다. 후각에 대한 연구는 앞으로 센서산업에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동부 아시아에서 서식하는 흰넓적다리 붉은 쥐, Apodemus peninsulae Thomas(설치목, 포유강), 5아종의 형태적 형질의 지리적 변이 (Geographic Variation of Morphometric Characters in Five Subspecies of Korean Field Mice, Apodemus peninsufae Thomas (Rodentia, Mammalia), in Eastern Asia)

  • Koh, Hung-Sun;Lee, Woo-Jai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33-39
    • /
    • 1994
  • Four external and 27 cranial characters of Korean field mice (Apodemus peninsuluek from nine localities in eastern Asia, representing ave subspecies, were analyzed by multivariate statistical methods. Three forms were recognized: a large-size form from Korea (subspecies peninsulael, southern Manchuria (praeto4, and northern Manchuria (majofi a middle-size form from urestern Siberia (tschergal and southuvestern China (sowerbyi); a small-size form from northeastern China (sowerbyi). It is also revealed that variations among the three forms are clinal rind circular. It is confirmed that Apodemus peninsuloe could be classified into two subspecies (peninsulae and sowerbyl) within the distribution range in the continent of Asia, as noted tv Corbel (1978). However, it is found that subspecies peninsulae includes praetor and moior and that subspecies sowerbyi includes tscherga, indicating that subspecies tscherga is not the synonym of subspecies peninsulae, but that of subspecies sowerbyi.

  • PDF

사람 난포액과 소의 수란관 조직추출액이 생쥐 난구세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uman Follicular Fluid and Bovine Oviductal Tissue Extract on the Mouse Oocyte-Cumulus Complex)

  • 홍민정;김지수;심명선;김해권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6권2호
    • /
    • pp.97-104
    • /
    • 2002
  • 대부분의 포유동물에서 수란관내로 배란된 난자는 정자에 의해 수정이 된 후 개체발생을 시작한다. 그러나 수정이 되지 못한 난자들은 난구세포와 함께 수란관내에서 퇴화하여 제거되는데, 그 기작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포유동물의 수란관내 물질이 난자-난구 복합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사람의 난포액과 소의 수란관 조직 추출액을 생쥐의 난자-난구 복합체에 처리하고 난자의 생존율 및 난구세포의 세포자연사(apoptosis)를 조사하였다. 수란관 조직 추출액을 처리한 미성숙난자는 난포액만을 처리한 난자와 비교하여 난자의 성숙률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난구세포에서 난포액만을 처리한 경우 확장을 일으키면서 배양접시 바닥에 붙어서 배양 후 72시간까지 분열 증식을 계속하는 것이 관찰된 반면, 수란관 조직 추출액을 처리한 난구세포는 확장이 억제되며 72시간 배양 후 모두 죽었다. 한편 난포액과 수란관 조직 추출액을 함께 처리한 난구세포는 배양 후 24시간에 화장을 일으켰으나 72시간 후에는 수란관 조직 추출액 만을 처리했을 때 와 마찬가지로 모든 난구세포가 죽었다. 이러한 난구세포의 죽음이 세포자연사에 의한 것인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DAPI로 핵을 염색한 후 관찰한 결과 세포자연사의 특징인 응축되고 분절화된 핵을 관찰 할 수 있었고, 특히 수란관 조직 추출액을 처리한 난구세포에서 많이 관찰되었다. 또한 TUNEL 방법으로 세포자연사를 확인한 결과 응축되고 분절화된 핵을 가진 난구세포에서 염색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소의 수란관 조직 추출액에 의한 생쥐 난구세포의 죽음은 세포자연사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로 미루어 수란관 조직세포에는 난구세포의 세포자연사를 유도할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or teacher educators to re-conceptualize teacher education in Korea. 것이 필요하다.량은 264,000$m^2$, 79,200$m^3$이였으며, 우려기준의 40% 농도 이상의 경우 복원 면적과 물량은 779,000$m^2$, 233,700㎥, 배경치 농도 이상의 복원 목표 설정의 경우에는 각각 969,200$m^2$, 290,760$m^3$ 이였다. 토양오염 우려기준 농도의 40%를 복원 목표로 하는 경우와 배경치 농도를 복원 목표로 하는 경우, 복원 물량은 우려기준 농도를 복원 목표로 하는 경우의 3.0배와 3.7배정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복원 목표치 설정시 우려기준 농도의 40%와 배경농도의 차이에 다른 복원 물량의 차이는 적어서, 복원 목표 설정시 배경치 농도로 복원계획을 세우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되었다.amma}$D)안정동위원소값이 광화I시기에는 각각 11∼9.${\textperthansand}$, -92∼-86${\textperthansand}$, 광화 II시기에는 각각 0.3${\textperthansand}$(${\gamma}^{18}O_{H2O}$),-93${\textperthansand}$({\gamma}$D)이며, 리본-호상구조를 보이는 것으로 보아 대봉광상의 광화유체에 대한 기원과 진화과정을 두 가지로 생각할 수 있다. 1) 마그마유체로부터 광화작용이 진행됨에 따라 계속적인 순환수의 혼입이 있었으며 2) 조기 마그마${\pm}$변성유체에서 유체압력의 차에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