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포스트 코로나시대

검색결과 177건 처리시간 0.023초

MZ세대의 언택트 시대 지각이 신체의식과 뷰티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Perception in the MZ Generation's Untact Era on Physical Consciousness and Cosmetological Management Behavior)

  • 나윤영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628-635
    • /
    • 2022
  • This study sought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body awareness, and beauty management behavior in the untact era in their MZ generation's, an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For the empirical analysis of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line(Google questionnaire) in Seoul/Gyeonggi area from June 7 to 26, 2021. Of the 548 questionnaires, 512, excluding 36, were analyzed using SPSS V.21.0. Among the sub-factors of perception in the untact era, it was confirmed that the social environment perception and human relationship perception are key factors that negatively affect body consciousness and beauty management behavior, and so does self-awareness(p<.05). Next, it was confirmed that, among the sub-factors of body consciousness, appearance management awareness and appearance/body care effort were key factors that positively affected beauty management behavior, and that appearance confidence was also an important factor that positively affected beauty management behavior(p<.05). Therefore, through this study, we intend to provide basic data for product development, programs, and marketing strategies that can cope with changes in the beauty consumption market in preparation for the post-COVID era.

디지털 매체와 가상 세계의 시대, 연극-연기 교육 연구 (A Study on the Age of Digital Media and Virtual Reality, Theater and Acting Education)

  • 서나영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251-257
    • /
    • 2024
  • 팬데믹 이후 세계는 디지털 콘텐츠로 연결되는 사회를 더 빨리 가져왔다. 공연 예술계 역시 기술이 작품의 제작 환경은 물론 내용과 형식을 바꿔가고 있다. 또한 디지털 매체와 가상현실과 연계된 프로그램, 공연은 계속 적극적으로 개발되고 늘어나고 있다. 이 논문은 먼저 이러한 변화가 급격하게 진행되는 시기, 연극과 연기 교육은 어떠한 모습으로 수요자들을 만나고 있는지 진단한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있어 기존의 전통적인 방법의 교육에는 균열이 시작되었다. 기존의 문제점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변화의 지점들을 가상 세계와 디지털 매체 환경의 변화로부터 살펴본다. 결론적으로 팬데믹 이후 연극과 연기 교육은 수요자 중심의 패러다임으로 변화해야 한다.

글로벌 메가트렌드와 도서관 트릴레마 담론 (Discourse of Library Trilemma in the Context of Global Megatrend)

  • 윤희윤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1-26
    • /
    • 2021
  • 대다수 국가에서 공공도서관은 지역사회를 위한 지식정보 및 복합문화의 허브이자 만남과 소통을 위한 제3의 장소다. 근래의 공공도서관은 디지털 전환과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부응하기 위해 디지털 기술을 이용한 핵심역량 제고와 서비스 확장에 주력하고 있다. 그런데 COVID-19 팬데믹이 발생한 이후 공공도서관에서 폐관, 재개관, 부분 폐관이 반복되자 비접촉, 디지털, 온라인 대체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모든 자원을 투입하고 있으며 향후에도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미래 공공도서관은 디지털 확장성, 복합문화공간화, 지식정보서비스 장소로서의 중요성이 상충되는 트릴레마에 직면할 수밖에 없다. 본 연구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공공도서관 트릴레마를 담론화하고 극복 방안을 제시하였다. 미래 공공도서관의 지향성은 다중성과 다목적, 장소와 공간, 지식정보와 복합문화, 대면접촉서비스와 비대면 원격서비스를 아우르는 화이부동이다. 공공도서관의 본체는 손가락(디지털과 비접촉)이 아니라 달(지식정보센터)이다.

코로나-19 이후 시대에 생활SOC 시설의 설치·운영을 위한 우리나라 생활권의 설정과 유형 구분 연구 (Studying Life Zone Determination and Classification of South Korea for Providing and Operating Living SOC Facilities in the Post-COVID-19 Era)

  • 김희재;김근영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448-461
    • /
    • 2024
  • 연구목적: 본 연구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생활 SOC 시설을 설치하고, 운영하기 위해 우리나라 특성에 적합한 생활권 위계를 설정하고, 유형을 구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생활권과 관련된 정책과 선행연구들을 통해 생활권의 개념을 정립하였고, 생활권 위계에 따라 생활권의 유형을 인구, 고용, 교통, 경제, 교육 등 다양한 분야의 데이터를 z-score 기법을 이용하여 유형구분을 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 생활권은 규모에 따라 광역생활권, 권역생활권, 도시생활권, 마을생활권, 동네생활권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역할에 따라 중심생활권, 직주균형생활권, 주거생활권, 산업생활권, 저밀생활권으로 유형구분을 할 수 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타당한 생활권 설정과 적절한 생활 SOC공급은 낙후지역의 쇠퇴를 막고, 지역 간 균형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코로나19로 인한 일개 의과 대학의 비대면 의료 면담 실습수업 사례 분석 (Assessment of Emergency Remote Teaching for Clinical Interview Skills due to COVID-19: Its Implication for Future Online Medical Education)

  • 이상옥;김유리;김성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431-443
    • /
    • 2022
  • 본 연구는 코로나19 범유행 동안의 의료 면담 교육 지속을 위하여 화상 회의 방식의 긴급 비대면 수업(Emergency Remote Teaching:이하 ERT)을 도입한 일개 의과 대학의 사례를 보고하는 것이다. ERT 실습과 기존 면대면 실습과의 차이에 초점을 두고 표준화 환자 인터뷰를 통하여 수업 운영 경험을 기술하고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교육 효과를 살펴보았다. 표준화 환자들은 면담 과정에서 원격 상대와 눈 맞춤을 하기 어려우며, 대화 시의 생동감과 재미가 다소 떨어지나, 대면 실습보다 대화 내용에 대한 집중도는 높은 느낌을 받았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비대면 수업의 수강생들은 온라인으로 실시한 단원별 테스트에서 기존 면대면 수업 수강생과 비슷한 성적을 받았으나, 대면으로 치러진 기말고사에서는 유의하게 낮은 성적을 받았는데, 이러한 결과는 면대면 접촉과 비디오 매개 커뮤니케이션의 차이에서 기인한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의 사례가 비대면 의사-환자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을 환기하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비한 원격 의료 면담 훈련법 개발로 확장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코로나19로 인한 두경부 해부학 수강생의 온라인 수업 만족도와 학습몰입도에 관한 연구 - 치위생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 (A Study on Online Class Satisfaction and Learning Commitment of Head and Neck Anatomy Students Due to Corona 19 -For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 최다예;홍민희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168-175
    • /
    • 2021
  • 본 연구는 온라인으로 진행된 두경부 해부학 수업을 수강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강의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고, 지속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 온라인 수업에서 더 좋은 교육 효과를 얻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두경부 해부학 온라인 수업을 수강한 치위생학과 학생 12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강의를 수강하는 시간과 온라인 강의 유형을 조사하였다. 수업 이해도와 학업성취도를 주관적으로 평가하도록 하였으며, 온라인 강의의 학습몰입도, 온라인 강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학업 성취도가 증가할수록 학습 몰입도가 증가하였으며, 과제 시간이 줄어들수록 학습 몰입도가 증가하였다. 수업이해도가 높아질수록 온라인 수업 만족도가 증가하였으며, 과제 시간이 증가할수록 온라인 수업 만족도는 감소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맞아 해부학 분야의 새로운 교육과정을 설계할 때 그 방향을 비추는 역할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 플렉서블 러닝과 첨단기술 활용 중심의 의학교육 전망과 발전 (The Future of Flexible Learning and Emerging Technology in Medical Education: Reflections from the COVID-19 Pandemic)

  • 박지혜
    • 의학교육논단
    • /
    • 제23권3호
    • /
    • pp.147-153
    • /
    • 2021
  •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pandemic made it necessary for medical schools to restructure their curriculum by switching from face-to-face instruction to various forms of flexible learning. Flexible learning is a student-centered approach to learning that has received interest in many educational sectors. It is a critical strategy for expanding access to higher education during the pandemic. As flexible learning includes online, blended, hybrid, and hyflex learning options, learners have the opportunity to select an instruction modality based on their needs and interests. The shift to flexible learning in medical education took place rapidly in response to the COVID-19 pandemic, and learners, instructors, and schools were not prepared for this instructional change. Through the lens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human agency, and a social constructivist perspective, I examine students, instructors,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roles in successfully navigating the digital transformation era. The pandemic has also accelerated the use of advance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and virtual reality, in learning. Through a review of the literature, this paper aimed to reflect on current flexible learning practices from the instructional design and educational technology perspective and explore emerging technologies that may be implemented in future medical education.

AI와 공공서비스: 포스트 코로나 시대 AI 스피커 및 비대면 스마트시티 서비스 시민 인식 분석을 중심으로 (AI and Public Services: Focusing on Analytics on Citizens' Perceptions of AI Speaker and Non-Contact Smart City Services in the Era of Post-Corona)

  • 김병준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43-54
    • /
    • 2021
  • Currently, citizens' expectations and concerns on utiliz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technologies in the public sector are widening with the rapid digital transformation. Furthermore the level of global acceptance on the AI and other intelligent digital technologies is augmenting with the needs of non-face-to-face types of public services more than ever due to the unforeseen and unpredictable pandemic, COVID-19. Thus, this study intended to empirically examine what policy directions for the public should be considered to provide well-designed services as well as to promote the evidence-based public policies in terms of Al speaker technology as a non-contact smart city service. Based on the survey of senior citizens' perceptions on AI (AI Speaker technology), this study conducted structure equation modeling analyses to identify whether technology acceptance models on to the varied dependent variables such as actual use, perception, attitude, and brand royalty.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es showed that AI increased the positive level of citizens' perception, attitude and brand royalty on non-contact public services (smart city services) which are becoming more crucial for developing AI oriented government and providing intelligent public services effectively. In addition,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for understanding the changes of public service in the post-corona.

포스트 코로나 시대 수술 로봇의 역할 및 발전 방향에 관한 전망 (A Perspective on Surgical Robotics and Its Future Directions for the Post-COVID-19 Era)

  • 장하늘;송채희;류석창
    • 로봇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172-178
    • /
    • 2021
  • The COVID-19 pandemic has been reshaping the world by accelerating non-contact services and technologies in various domains. Hospitals as a healthcare system lie at the center of the dramatic change because of their fundamental roles: medical diagnosis and treatments. Leading experts in health, science, and technologies have predicted that robotic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I) can drive such a hospital transformation. Accordingly, several government-led projects have been developed and started toward smarter hospitals, where robots and AI replace or support healthcare personnel, particularly in the diagnosis and non-surgical treatment procedures. This article inspects the remaining element of healthcare services, i.e., surgical treatment, focusing on evaluating whether or not currently available laparoscopic surgical robotic systems are sufficiently preparing for the era of post-COVID-19 when contactless is the new normal. Challenges and future directions towards an effective, fully non-contact surgery are identified and summarized, including remote surgery assistance, domain-expansion of robotic surgery, and seamless integration with smart operating rooms, followed by emphasis on robot tranining for surgical staff.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블렌디드 수업 평가준거 타당성 연구: 공학계열 대학을 중심으로 (A Validation Study of Evaluation on Blended Learning in the post-Corona era: A Case Study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 배윤희;원용호
    • 공학교육연구
    • /
    • 제25권5호
    • /
    • pp.75-84
    • /
    • 2022
  • In the post-Corona era, blended learning will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successful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instrument developed in the instructional aspect so that a successful blended learning can take place. This instrument consists of 31 items to evaluate class operatio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online contents, offline class, interaction and overall satisfaction.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in LMS and the responses of 164 students were used f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used to evaluate validation of this instrument and this analysis was run in R studio. As a result of CFA, the standardized factor loadings of all items were 0.930~0.754 an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ll constructs were adequate. The results of this instrument enable universities to manage the quality of their classes and instructors can use them as self-checklist to improve future classes in terms of instructional points. Finally, this instrument can be used in a variety of learner-centered learning environ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