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평면형식

Search Result 108,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 Case Study on Transition of plan-type by Transfiguration of Housing Complexes in Seoul Area (서울지역 집합주거단지의 변모에 따른 평면형식의 변화에 관한 연구)

  • Jun, Byung-Kwun
    •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 /
    • v.16 no.3 s.62
    • /
    • pp.46-57
    • /
    • 2007
  • 본 연구는 현대 집합주택의 개발의 실험적 토대가 되었던 1960년대 이후 1990년대 초반까지의 서울지역 아파트단지들을 중심으로 단지의 측면과 단위평면의 측면에서 시대적 변천과 유형별 특성을 분석하여 국내 집합주거의 양상이 어떻게 전개되어 왔는지를 인식하고, 국내 집합주거의 질적 향상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추후 연구의 한 준거를 제시토록 한다. 이를 위하여 집합주거의 생성과 현황에 대하여 일반적인 고찰을 진행하여, 국내 주거양식이 점차로 고층, 고밀화되어가는 과정을 살펴보고, 이러한 주거양식의 집합화가 점차로 정책적인 차원에서 더욱 고려되어지고 있음을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시대적 틀 속에서 고찰해 본다. 이와 함께 집합화되는 주거양식이 단위평면속에서는 어떻게 변천해 왔는지를 규모와 제실구성, 설비 및 구조방식, 내부공간 구성방식등으로 나누어 분석한다.

Numerical simulation of upper convected maxwell fluid flow through planar 4:1 contraction (평면 4:1 수축을 지나는 어퍼 콘벡티트 맥스웰유체 유동의 수치 시뮬레이션)

  • 송진호;유정열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11 no.1
    • /
    • pp.160-169
    • /
    • 1987
  • Numerical simulation of the flow of upper convected Maxwell fluid through planar 4:1 contraction has been performed using type dependent difference apprximation of vorticity equation. For creeping flow assumption, the numerical convergence has been achieved up to much higher values of elasticity parameter than those obtained by conventional finite difference method. For non-vanishing Reynolds number flow, it is shown that the corner vortices disappear, which is in good qualitative agreement with extant experimental results. In doing so, spatial distributions of stream function, vorticity and stresses are considered in relation to change of type of vorticity.

3차원 육방형 노심 해석을 위한 다항식전개법(PEN)

  • 조진영;김창효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5.10a
    • /
    • pp.61-66
    • /
    • 1995
  • 이 논문의 목적은 육방형 핵연료집합체로 구성된 3차원 노심을 해석하기 위한 다항식전개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3차원 육방형 핵연료 집합체를 6개의 3차원 프리즘노드로 분할하였다. 그리고 각 꼭지점에서의 점중성자속, 프리즘 각면의 면중성자속과 노드평균중성자속을 미지변수로 하여 다항식전개법에 의해 프리즘노드내의 중성자속분포를 근사하였다. 각 중성자속간의 관계식으로서 프리즘노드내에서의 노달중성자평형식, 두 노드사이의 면에서의 중성자류 연속관계식, 각 꼭지점에서의 중성자누설평형식을 사용하였다. 다항식전개법은 해석함수 전개법에 비해 약 3배정도 빠르며 4군확산방정식에도 훌륭이 적용되었다. 그리고 VVBR-1000 3차원 벤치마크 문제에서 최대출력오차 2.6%, VVER-440 3차원 벤치마크 문제에서 12 평면과 24평면으로 나눈 경우 각각 최대출력오차 15%와 6.6%, SNR 3차원 문제에서 8 평면과 16 평면으로 나눈 경우 각각 최대오차 5.4%와 2,6%를 보였다.

  • PDF

A Study on the Plan Composition and Plan Types of the Yanan Village of Toudao Town in Helong City, Jilin Province, China (중국 길림성 화룡시 두도진 연안촌 주거의 평면구성과 평면형식)

  • Jin, Chang-Jie;Kim, Wang-jik
    •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 /
    • v.28 no.1
    • /
    • pp.17-24
    • /
    • 2019
  • Korean-Chinese is one of the 56 minority groups in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Korean-Chinese is the same origin as the Korean Peninsula. In the mid of 19th century, they, who lived in a part of Joseon, suffered with nature disasters and poverty, therefore they offended against the law, immigrated, and started farming in Ching Dynasty, which is northeast China in the present. Later, Korean's individual and mass migrations were happened around coastland of Tumen River and Yalu River with the connivance of the law. This thesis is a consideration of how the Korean-Chinese has adapted before and after the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era to the Chinese socialism and What their Residential Plan Composition and Plan Types in the village. Based on the field research and literature research, introduces the village history, Plan Composition and sample Plan types. Then, Based on this research, it will be the foundation of the future study of the Korean-Chinese's villages and planning study to conserve the villages.

A Localized Multiquadric (MQ) Interpolation Method on the Hyperbolic Plane (하이퍼볼릭 평면에서의 지역적 MQ 보간법)

  • Park, Hwa-Jin
    • The KIPS Transactions:PartA
    • /
    • v.8A no.4
    • /
    • pp.489-498
    • /
    • 2001
  • A new method for local control of arbitrary scattered data interpolation in the hyperbolic plane is developed in this paper. The issue associated with local control is very critical in the interactive in the interactive design field. Especially the suggested method in this paper could be effectively applied to the interactive shape modeling of genus-N objects, which are constructed on the hyperbolic plane. Since the effects of the changed data affects only the limited area around itself, it is more convenient for end-users to design a genus-N object interactively. Therefore, by improving the global interpolation on the hyperbolic plane where the genus-N object is constructed, this research is aiming at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local interpolation on the hyperbolic plane. It is implemented using the following process. First, for localizing the interpolating functions, the hyperbolic domain is tessellated into arbitrary triangle patches and the group of adjacent triangle patches of each data point is defined as a sub-domain. On each sub-domain, a weight function is defined. Last, by blending of three weight functions on the overlapped triangles, local MQ interpolation is completed. Consequently, it is compared with the global MQ interpolation using several sample data and functions.

  • PDF

A Study on the period of the Mireuk Temple stone pagoda plane type (미륵사지석탑(彌勒寺址石塔) 평면형식(平面形式) 시대위치(時代位置))

  • Kim, Duk-Mun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37
    • /
    • pp.151-168
    • /
    • 2004
  • The Mireuk Temple Stone pagoda is the largest scale of the existing Stone Pagoda in Korea. A research until now postulates that the Stone pagoda at Mireuk Temple site is composed of nine stories total. However it does not have any records of the detail, dimension, and related methods, etc, even though it is a tectonically large scale building. Only one source of the description is based upon a story which is a sort of Korean myth or traditional story (Samkukyousa, Mu dynasty), although a historical description from a myth or a story is a polemical issue and still needed research in order to prove the truth. One of the ways to make a proof of the truth is an architectural research from the typology of the plane. The types of the plane are differentiated from each era. Therefore, the typology of the plane presents a reason or a proof for the age of the pagoda. Furthermore, the typology of the plane is crucial part in the research of the historical style and it could help the historical style of the Mireuk temple stone pagoda. Research until now shows that the Mireuk temple stone pagoda is the genesis of the stone pagoda shaped after wooden one. It is impossible to find any previous one from the stone pagoda at Mireuk Temple site in Korea. So it is easier to find any previous example from the history of China because Buddhist pagoda-most pagodas are something to do with Buddhism-in Korea is introduced by India via China. This research presents the periodical variation of stone and brick pagoda in both countries. It concludes that the Mireuk temple stone pagoda has $7^{th}$ century's plane type.

한국 주택의 공간구조 변천에 대하여 -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평면분석

  • No, Hyeong-Rae
    • Korean Architects
    • /
    • no.2 s.382
    • /
    • pp.60-66
    • /
    • 2001
  • 우리나라 주거양식의 근대화는 단순히 전통한옥에서 현대의 주택, 아파트로의 교체가 아니라 일련의 연속적인 변화과정 속에서 시대를 살아온 사람들의 생활양식과 문화를 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주택이란 삶을 담는 그릇'이라는 표현에서 볼 수 있듯이 주택이란 거주자의 가치관을 포함한 주생활양식과의 대응 속에서 주거환경의 질적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주거양식의 변화에 관한 연구 또한 이러한 삶과 문화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의 배경 하에 과거 전통주택에서부터 근대화 이후의 여러 주택유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유형을 포함한 우리 나라 주택이 가지는 공간구조의 변천을 시대적으로 조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통사회의 양반주택, 도시형한옥, 표준주택, 일반단독주택, 작가주택, 아파트에 이르는 다양한 주택유형을 포함하여 총 104개의 주택평면을 대상으로 공간구조의 변화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다양한 주택유형들이 보여주는 공간구조와 그 통시적 변화를 객관적이고 계량적인 방법론을 이용하여 관찰하고자 공간구문론의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주택형식에 따른 기능적 형상학을 뛰어넘는 사회학적 형태학의 관점에서 우리나라 주거의 변천과정을 고찰하고자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개개의 주택형식에 대한 고려보다는 시대적 상황과 배경을 설명해주는데 용이한 대상을 중심으로 전반적인 변화의 양상과 그러한 변화에 내재한 사회적 동인과 배경을 파악하고 이해하고자 하였다.

  • PDF

Spatio-Temporal Visualization of Cultural Heritage Collections (문화유산 데이터의 시공간상 시각화 연구)

  • Park, Narae;Jeon, Moong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7a
    • /
    • pp.55-57
    • /
    • 2020
  • 본 연구는 문화유산 데이터의 효과적 정보 시각화 방안을 탐색한다. 문화유산 데이터는 역사적 사회적 맥락 속에서 충실히 이해될 수 있기에, 지리적 평면과 시간 축으로 이루어지는 3차원 시공간 큐브상에 문화유산 데이터들을 배치하는 것은 문화유산의 특성을 반영하면서도 통시적·공시적 조망을 동시에 제공하는 유익한 시각화 방안이 될 수 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문화유산 컬렉션 데이터를 지도 평면과 시간 축으로 구성된 시공간 큐브 상에서 탐색·체험할 수 있는 웹 어플리케이션과 AR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하고, 이에 대한 사용자 평가를 실시했다. 평가 분석 결과 문화유산 데이터의 3차원 시각화는 데이터에 대한 총체적 시야를 제공하고 새로운 체험에 대한 관심과 호기심을 유발하는 한편, 낯선 형식으로 인한 인지적 피로가 뒤따를 수 있어 대상 데이터의 특성, 매체 형식의 특성, 사용자의 경험적 이해, 인간의 지각방식을 고려한 다각적 정보 체험 설계가 필요할 것으로 파악되었다.

  • PDF

A Method of Evaluating the Spatial Difference between Two Numerical Surfaces (두 개의 수치 평면에 대한 공간적 차이의 측정 방법)

  • Lee Jung-Eun;Sadahiro Yukio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1 no.2 s.113
    • /
    • pp.212-226
    • /
    • 2006
  • Surface data generally represent continuous distribution of geographical or social phenomena of a region in urban analysis. Instances include distribution of temperature, population of region, and various distributions related to human activities. When spatial data are given in the form of surface, surface comparison is required as a way of comprehending the surface change or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surfaces. As for previous approaches of surface comparison, there are visualization, quantitative methods and qualitative method. All those approaches, however, show the difference between two surfaces in a limited way. Especially, they are not able to distinguish spatial difference between two surfaces. To overcome such problem,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of comparing two surfaces in terms of their spatial structure. Main concept of the method comes from earth moving problem and the method is named minimum surface transformation, here. When a surface is transformed into another, total surface volume moved in the process of transformation should be the minimum. Both quantitative and spatial differences between two surfaces are evaluted by total surface volume moved and the distribution of moved surface volume of each cell respectively. The method is applied to hypothetical and actual data. From the former, it is understood that the method explains how two surfaces are quantitatively and spatially different. The result of the latter shows that moved total surface volume decreases as time goes by which fits the actual situation that population change rate gets smaller. Concerning the other measure of surface difference, the distribution of $X_{ij}$ describes detailed flow of surface volume than that of simply subtracting surface volume by indicating to what direction the population change occu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