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xpertise of mathematic teachers in development of designing assessment items, derived from development of assessing tools, which is a part of assessing competence of mathematic teachers. Analysis was made upon the difference between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in terms of self-perception on assessment items. The assessing references of self-perception on developing in designing assessment items consist of followings: one's Beliefs and Self-Rating in designing assessment items. This investigation on self-perception was carried out by both pre-service teachers who are currently enrolled students in college and in-service teachers who are currently incumbent in secondary schools. This analysis based on 310 teachers' answers on self-perception of designing assessment items, both in- and preservice.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
2010.08a
/
pp.157-172
/
2010
본 연구는 현행 초등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서술형 평가의 유형과 문제점을 분석해 보고 2007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서술형 예시 평가 문항을 개발해 보는데 목표가 있다. 학교에서 시행되고 있는 평가 자료의 분석은 수학교과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지, 서울시 교육청 보급 2010 장학자료집, 서울시내 학교에서 시행되고 있는 평가 문항을 분석해 보았다. 그리고 예시 서술형 평가 문항개발은 2007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4학년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가 문항 분석의 결과는 문항 유형이 단순하고 교과서와 장학자료집의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창의성 영역의 평가는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았다. 서술형 예시평가 문항의 개발은 수학과의 내용영역과 인지적 영역뿐 아니라 교육계의 화두가 되고 있는 창의성 영역까지 평가내용으로 포함시키고자 노력하였으며 영역별 1-2 문항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평가 방안으로 소개되는 수행평가의 정의 및 의의, 특징과 수행평가의 여러 가지방법 등을 간략히 살펴보고, 수행평가의 채점방법, 수행평가에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문항을 예시한다. 특히, 수행평가의 예시 문항들은 수행평가의 여러 가지 방법에 따라 개발하되, 어떤 한 가지 방법에 의하지 않고 여러 가지 방법으로 평가가 가능한 문항, 학생들의 조작과 생활 속에 관련된 수학을 발견하도록 하는 문항들을 개발 예시하였다.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v.40
no.4
/
pp.93-111
/
2009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eacher librarians'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frequency of their roles inherent in the indicators and items for teacher evaluation and to determine their appropriateness. The results revealed that most indicators and items are appropriate for evaluating teacher librarians' job performance, but some items need to be revised to properly reflect teacher librarians' job tasks. Specific recommendations for their improvement were discussed.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
v.18
no.3
/
pp.505-518
/
201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develop mathematical tasks in the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program.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revise their tasks in clarifying representation, reflecting curriculum, modifying mathematical errors.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perspective on assessment has been changed from focusing on tasks to focusing on student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v.32
no.3
/
pp.135-159
/
2020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items of an essay response assessment that could align with the instructions and assessments in the high school home economics curriculum. The conten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o establish an assessment plan, 14 achievement standards were analyzed in the assessment area, and the elements of the questions were developed including the content elements of a total of 29 questions. Second, to develop the assessment tools, preliminary questions suited to the structure of essay questions were developed, and the method of presenting data and scoring criteria to be utilized in the questions was selected. Third, to prepare the answers and the scoring criteria tables, the answers to the sample questions for each score were prepared in form of a scoring criteria table, and the objectives of the assessment, the scoring items, and the scores for each item were reviewed. Fourth, the developed questions and answers were revised and supplemented by teachers of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through preliminary and mutual review on the components of the questions, the embodiment of the assessment objectives, the implementation of the assessment intent, and the grading. This study can be used as a foundational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essay-type questions and scoring criteria in essay assessment in the field of education. Furtherm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help teachers enhance their learners' ability to apply knowledge in the futur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
v.17
no.2
/
pp.181-193
/
2024
Summative assessment provides information on how well students have achieved learning objectives, making the development of high-quality assessment items essential for accurate evaluation. This is one of the competencies that teachers must possess. This study aims to analyze summative assessment items created by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examining their intentions and the difficulties encountered in the item development process. The study involved 45 second-year students enrolled in an elementary teacher training university. They were grouped into teams of three and tasked with developing ten items, documenting the purpose of each item, the answer key, and the challenges faced during item creation. The collected summative assessment items were analyzed using a two-dimensional purpose classification table that includes Klopfer'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The intentions behind the summative assessments and the difficulties faced during item development were inductively organized and analyzed through qualitative data analysis. The results revealed that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dequately reflected scientific content elements but did not evenly cover assessment domains. The most challenging aspect for them was adjusting the difficulty level. Although they considered most factors that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during item development, these considerations were not reflected in the actual item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knowledge and experience are crucial in developing summative assessment items, and systematic lectures are necessary for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ssessment in the school should be done consistently in accordance with the national curriculum. This study analyzed the process that preservice teachers developed the question items. The preservice teachers already equipped with the knowledge about the curriculum, didn't reflect it to items at first. However, in the review and modification process with colleague discussions, they get the curriculum coherence faithfully. And the item completeness gets higher such as to conform to the item intent, to help the students easily understand the item and to have the consistency between item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v.24
no.3
/
pp.519-531
/
2004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n increased emphasis on performance assessment to evaluate students' abilities. Our nation has introduced a change in testing and assessment. Additional work on the efficacy, reliability, and comparability in order to develop the performance assessment item has been needed in the enforcement of the 7th National Science Curriculum. Also, criteria for professional and technical standards has been needed to be develop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raw out various key concepts and to develop achievement standards, assessment standards and performance assessment items based on the 7th National Science Curriculum on the subject matter of reproduction(chapter 13) and biological accumulation(chapter 17). And also, this study examined the validity of completed performance assessment items based on classical test theory and polytomous item response theory. Twelve key concepts in chapter 13(reproduction) and four from chapter 17(biological accumulation) were abstracted. Twenty-six achievement standards in chapter 13(reproduction), and nine in chapter 17(biological accumulation) were developed. The achievement standards were determined in terms of knowledge(K), process skill(P) and attitude(A). Twenty-five assessment standards in chapter 13(reproduction) and nine in chapter 17(biological accumulation) were developed. Based on the developed achievement standards and assessment standards, twenty-two performance assessment items(seventeen open-ended questions, three essays, and two portfolios) with concrete grading criteria were developed. Eight open-ended items were applied to 240 10th graders to evaluate reliabilities of the test which consisted of four items per each chapter. The results would be suggested that the applied items were valid for performance assessment because item difficulties and item discriminations were proper. There was not much differences in item discrimination between interpretation from classical test theory and that from polytomous item response theory. However,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item difficulties between the interpretations of two theories because the characteristics of examinees were reflected in classical test theor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v.18
no.4
/
pp.617-626
/
1998
Inquiry approach in teaching science has been widespread in Korea since the Third National Curriculum in 1970's. But the effect of the approach has never been evaluated systematically in Korea, so the science educators do not know if the inquiry approach really works and if any critical problems inhibit the effect of the approach. In this context, the NAEP of the Unied States and the APU of the United Kingdom were model programs for assessing the effect of the inquiry approach in teaching sci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assessment system for evaluating the effect of inquiry teaching in elementary and secandary schools. For this purpose, an assessment framework and 240 test items were developed and tried with a sample of 8,906 students. The results say that the developed tests are reliable. The average Cronbach $\alpha$ reliability coefficient of the tests was 0.69. The discrimination index(point-biserial correlation coefficient) ranged from 0.39 to 0.54 with a mean of 0.49, which indiate they are excellent in discriminating students in terms of their inquiry achievement. The test items were also analyzed by "item response theory." The results also say that the items are successfully developed.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