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편차(便次)

Search Result 5,430, Processing Time 0.047 seconds

Performance Analysis of OFDM Systems in the Presence of DC Offset and Frequency Offset (직류 성분 편차 및 주파수 편차가 존재하는 OFDM 시스템의 성능 분석)

  • Choi, Seung-Ku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2 no.5
    • /
    • pp.900-905
    • /
    • 2008
  • I perform bit error rate(BER) analysis of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OFDM) systems impaired by both direct current(DC) offset and carrier frequency offset. By analyzing the BER performance for real OFDM systems employing 16-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QAM) and pilot symbol estimation, the dependency of BER on the DC offset and carrier frequency offset is quantified and compared to ideal performance. Results show that the magnitude of frequency offset and DC offset are required to be less than 0.01 and 0.007, respectively.

The Cause of Abnormal Tidal Residuals Along the Coast of the Yellow Sea in November 2013 (황해연안의 2013년 11월 이상조위편차 발생 원인)

  • Kim, Ho-Kyun;Kim, Young Taeg;Lee, Dong Hwa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2 no.4
    • /
    • pp.344-353
    • /
    • 2016
  • The cause of abnormal tidal residuals was examined by analyzing sea levels, sea surface atmospheric pressures, winds at ten tide stations, and current, measured at the coast of the Yellow Sea from the night of November $24^{th}$ to the morning of the $25^{th}$ in 2013, along with weather chart. Additionally, the cross-correlations among the measured data were also examined. The 'abnormal tidal residuals' mentioned in this study refer to differences between maximum and minium tidal residuals. The largest abnormal tidal residual was identified to be a difference of 176 cm occurring over 4 hours and 1 minute at YeongJongDo (YJD) with a maximum tidal residual of 111 cm and minimum of -65 cm. The smallest abnormal tidal residual was 68 cm at MoSeulPo (MSP) during 8 hours 52 minutes. The cause of these abnormal tidal residuals was not a meteo-tsunami generated by an atmospheric pressure jump but wind generated by the pressure patterns. The flow speed due to these abnormal tidal residuals as measured at ten tide stations was not negligible, representing 16 ~ 41 % of the annual average ebb current speed. From the cross correlation among the tidal residuals, winds, and tidal residual currents, we learned the northern flow, due to southerly winds, raised the sea level at Incheon when a low pressure center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Korean Peninsula. After passing the Korean Peninsula, a southern flow due to northerly winds decreased the sea level.

A Study on the Comparison among Deflections of the Vertical Computed from Astronomical Coordinates and Geoid Models (천문경위도와 중력지로이드 모델로부터 구한 연직선 편차의 비교에 관한 연구)

  • 김용일;송창현;어양담;김형태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17 no.1
    • /
    • pp.87-95
    • /
    • 1999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methods of computing deflection of the vertical and compared the results of deflections of the vertical computed from astronomical coordinates and GPS observations, and computed from PNU95, EGM96 geoid model. By comparing the results of the deflections of the vertical, we found out the followings; 1) The deflections of the vertical computed from astronomical coordinates and geoid models are similar to each other. 2)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flections of the vertical computed from each geoid models was smaller than the difference of those computed from astronomic coordinates and geoid models. 3) The effects of distribution of the points on the results are less than those of the data used in the computation. If there exists reference data about the deflection of the vertical, it would be possible to evaluate the accuracy of the geoid model using this method.

  • PDF

A Study on Stochastic Radar Rainfall Estimation (추계학적 레이더 강수산정에 관한 연구)

  • Kim, Jin-Hoon;Bae, Deg-Hy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311-315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칼만필터(Kalman filter) 개념을 도입한 추계학적 편차보정 기법을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레이더 및 관측강우에 대한 불확실성을 줄일 수 있는 레이더 최적강수 산정기법 개발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개발된 레이더 강우량 추정기법은 한강유역을 대상으로 적용되었으며, 여기서 사용된 레이더 자료는 기상청에서 수집한 레이더 합성 CAPPI(Constant Altitude Plan Position Indicator) 자료이다. 자료기간은 2004년 7월 및 2006년 7월의 각 한달치 10분 간격의 레이더 자료가 사용되었고, 본 기간에 대응하는 약 130여개 지점의 기상청 AWS(Automatic Weather Station) 강우 관측자료가 편차보정을 위해 사용되었다. 매개변수별 편차추정 분석을 수행한 결과, 한강유역의 주어진 자료기간에 대한 적절한 편차추정을 위해 N=10, $i_T=2mm/h$의 매개변수를 선정하여 레이더 강수추정 오차에 대한 편차를 계산하여 개발 보정기법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추계동역학적 편차보정 기법은 Marshall-Palmer 기법의 높은 편차를 1에 가깝게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홍수기 급박한 재해상황에서 보다 신속히 레이더 강수장을 제공할 수 있는 현업적 보정기법으로써의 유용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The application to the numerical model of two dimension for the examination of the high water level of cardinal points at the junction of the river (합류부 하천의 기점홍수위 검토를 위한 2차원 수치모형의 적용)

  • Park, Soo-Jin;Choi, Seung-Yun;Jung, Young-Duk;Baek, Kyung-Won;Choi, Han-Kuy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837-842
    • /
    • 2009
  • 북한강 수계는 여러 하천을 지류로 갖고 유하하고 있으며 하천의 크기 및 본류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지류하천이 합류하고 있으나 기존의 지류하천 홍수위 산정방법은 일률적으로 본류의 계획홍수위를 기점홍수위으로 산정하여 계획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는 다양한 지류하천에 대하여 2차원 수치해석을 이용 합류부 지점의 수면형을 해석함으로써 지류 하천의 기존 기점홍수위 적용방법의 적정성에 대하여 검증하였다. 연구방법은 11개 연구대상 지류 하천에 대하여 유입각, 본류와 지류의 유량비 및 하천폭, 본류의 하천 곡선방법에 대하여 수치해석결과를 비교하였다. 유입각에 따른 수위편차를 검토한 결과, 유입각 $90^{\circ}$이하인 지류하천에서 2차원 수치해석 값이 기존 기점홍수위보다 크게 산정되었다. 본류 하천과 지류 하천과의 유량비를 산정하여 수위편차를 검토한 결과 수치적인 경향은 확인할 수 없었다. 본류 하천과 지류 하천의 하폭비를 산정하여 수위편차를 비교한 결과 하폭비가 7이상인 경우 수위편차가 작고, 기존 기점홍수위보다 2차원 수치해석값이 작게 산정되었으며, 하폭비가 $3^{\sim}6$ 범위에서는 수위편차가 가장 크게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류 하천의 곡선반경을 수위편차와 비교한 결과 곡선반경이 550m이하인 만곡지점의 경우 수위편차가 크게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Development of Correction Method for Weather Forecast Data considering Characteristics Rainfall (강수의 특성을 고려한 기상 예측자료의 보정 기법 개발)

  • Lee, Seon-Jeong;Yoon, Seong-Sim;Bae, Deg-Hy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3-33
    • /
    • 2011
  • 현재 우리나라 기상청에서는 단기, 중기 및 장기 예보자료를 생산하고 있으나, 이들 자료는 단순히 일기 예보에 치중되어 생산되고 있어 강우-유출해석에 직접 적용하기에는 시 공간 해상도가 크고 정량적 강수예측의 정확도가 미흡하다. 이에 기상 및 수자원분야에서는 정확도 개선을 위해서 관측강우와 예측강우의 비교 분석을 통해 편차를 산정하여 예측강수를 보정하는 기법을 적용하고 있다. 다만, 기존의 편차보정방법은 보정인자로 강수량만을 고려하기 때문에 정확도 개선에는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자원분야의 수치예보자료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규모, 발생영역에 대한 강수의 특성을 고려한 강수예측자료의 편차보정 방법을 제안하고 이를 강우-유출모델에 적용하여 개선정도를 평가하고자 한다. 이에 적용유역을 춘천댐상류유역으로 선정하고 국내 기상청의 RDAPS(Regional Data Assimilation and Prediction System)수치예보자료, 지점강우자료, radar자료의 수문기상자료와 지형자료를 수집하였다. 화천, 평화의 댐 일부 미계측유역의 관측자료로 radar자료를 이용하였다. 이상의 자료를 토대로 강우강도 및 규모, 영향범위를 고려한 예측강우의 편차를 산정하여 RDAPS 수치예보자료의 정확도를 개선하고 평가하였다. 이는 해당 유역뿐만 아니라 주변 유역의 정보를 이용하여 예측강우의 발생위치에 대한 오차를 고려한 방법으로, 각 영역별로 예측강우의 편차보정계수를 산정하여 적용하였다. 또한, 이전시간대의 강우 편차에 대한 오차를 줄이기 위해 정규분포방법을 이용한 Ensemble 편차보정계수를 산정하고 최근 생산된 수치예보자료에 적용하여 확률예측강우를 산정하였다.

  • PDF

Range estimation with receiving hydrophones Subject to spatially correlated random motion (상관관계를 가진 센서 요동에 의한 표적거리평가)

  • 이효근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84.12a
    • /
    • pp.107-112
    • /
    • 1984
  • 수동 Wave-front curvature ranging 방법의 통계적성능에 대한 일반적 결과가 유도된다. 센서들의 비선형 및 부동간격 센서들의 운동효과로 인한 표적거리의 편의(bias) 및 편차9variance)가 센서간의 운동이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을 때 유도된다. 이 논문은 센서운동이 정규분포(normal distribution)를 가지며 평균이 0, 같은 편차 및 투시할 수 있는 higher moment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한다. 유도된 일반적 결과를 이용하여 거리편의 및 편차는 표적거리, 방위, 센서운동의 상관계수 및 방향각(heading)표준편차 변화에 대해 그림으로 나타나 있다. 표적거리가 센서간격보다 아주 큰 경우 센서간격이 감소할수록, 표적거리가 증가할수록, 거리편의 및 편차는 증가한다. 상관계수가 증가할수록 거리편의는 직선적으로 감소하며, 거리편차는 센서 방향각 오차가 클 때 최소가 되는 상관계수가 존재하며 이는 표적거리, 방위 및 센서간격의 복합함수이다.

  • PDF

A Didactic Analysis of Sample Standard Deviation (표본표준편차의 교수학적 분석)

  • Lee, Kyung-Hwa;Shin, Bo-Mi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 /
    • v.15 no.4
    • /
    • pp.445-459
    • /
    • 2005
  • Statistics education is considered within the mathematics curriculum and, thus, can be integrated into other areas of mathematics. However, statistical concepts and thinking skills have to be considered as very different from those of other areas. It is possible to make statistics more meaningful for the learner by making definitions or explanations of concepts in textbooks more clear and consistent. In 'Math I' and 'Probability & Statistics' of the 7th curriculum, the definitions of sample standard deviation are different, which might confuse students. In this study, firstly, some issues relevant to sample standard deviation concept are discussed through the analysis in terms of didactical situation and curriculum. Secondly, the characteristics of sample standard deviation concept as a scholarly knowledge are examined. Finally, the characteristics of didactic transposition of sample standard deviation concept in Japanese, American, and British textbooks are investigated and some suggestions are elicited.

  • PDF

A Study on the Optimization of Temperature Deviation of Loads in Smart Reefer Container (스마트냉동컨테이너의 적재부 온도 편차 최적화에 관한 연구)

  • SangWon Park;TaeHoon Kim;DoMyung Park;DongSeop Han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28 no.6
    • /
    • pp.83-90
    • /
    • 2023
  • In a reefer container, temperature deviation occurs between the front of the loading part with the refrigerator and the rear of the loading part with the container door due to the external environment. In particular, this temperature deviation in the transport of fresh cargo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freshness of the cargo. In this study, we propose a method to minimize the temperature deviation by partially shielding the T-Floor to reduce the temperature deviation and evaluating the effect of the T-Floor shielding rate on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reefer container loading part. The subject of the experiment was a 40 feet smart reefer container, and the T-Floor shielding rates were set to 0%, 50%, 60%, 70%, and 80%.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it occurred differently in the temperature deviation of the reefer container loading part according to the shielding rate,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temperature deviation was the most uniform when the shielding rate was 60%. By minimizing the temperature deviation of the loading part, it is possible to prevent corruption and cold damage of cargo during transportation of fresh cargo by using the smart reefer container.

An Improvement of the Deviation of Response Time on Multimedia Application e-Learning (멀티미디어 활용 e-러닝에서 응답시간 편차 개선)

  • Na Yun-Ji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6 no.6
    • /
    • pp.502-505
    • /
    • 2005
  • According to use of a multimedia content being increased in an e-learning, a size deviation of a content to provide in an e-teaming system is increased. It is becoming a factor to drop efficiency of education because this makes a deviation of response time on an e-learning user. Therefore, studies about a deviation improvement of user response speed is necessary in the e-learning system that used a multimedia content. In this study, we designe the hybrid e-teaming system that used multi-layed structire. A proposed system is based on a characteristics of media and size of a content that a multimedia data had. Also, it proved superiority of performance through experiment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