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펀칭시스템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4초

LED 디스플레이용 유연 보드의 자동 펀칭 시스템 연구 (Study on an Automatic Punching System for a LED Display using Flexible Plates)

  • 최형식;강진일;허재관;한종석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4권5호
    • /
    • pp.711-717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플라스틱 평판에 핀 홀을 생성하여 문자나 이미지를 표현하는 디스플레이 보드를 자동으로 제작하는 펀칭시스템을 개발하였다. 핀 홀을 생성한 평판은 가장자리에 설치한 다양한 색상의 발광다이오드 빛을 반사하여 미려한 디스플레이 보드에 사용된다. 펀칭시스템은 정밀한 위치 및 깊이 생성을 위해 총 4개의 엑추에이터를 사용하였다. 디스플레이 보드 상의 글자나 이미지의 반사효과와 빠른 생산성을 위하여 정밀한 구동 기구부를 개발하고 PID 제어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그리고 사용자가 반사되는 글자의 모양이나 이미지를 구성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GUI 프로그램과 PC기반의 제어시스템을 구성하였다. 또한 펀칭속도와 생성된 핀 홀의 깊이를 검사하여 본 시스템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전단머리 보강 CFT기둥-RC 무량판 접합부의 펀칭전단강도 (Punching Shear Strength of CFT Column to RC Flat Plate Connections Reinforced with Shearhead)

  • 김진원;이철호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4권4호
    • /
    • pp.423-433
    • /
    • 2012
  • 본 논문은 전단머리를 갖는 CFT기둥-RC 무량판 접합부에 대한 실물대 실험연구를 요약한 것이다. CFT구조는 여러 가지 구조 및 시공 상의 장점으로 인하여 국내 건설현장에서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에 폭넓게 수용되고 있다. 한편 RC 무량판 구조는 층고절감 및 공기 단축 측면의 장점으로 국내의 지하주차장이나 주거용 건물에 필수적 구조시스템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두 구조시스템을 조합함으로써 공사기간의 획기적 단축 등 여러 시공 및 구조상의 이점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CFT기둥-RC 무량판 접합부의 효율적인 디테일은 국내 외적으로 아직 충분히 연구된 바가 없어서 이 분야의 연구가 매우 필요한 실정이다. CFT기둥-RC 무량판 접합부의 구조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가지 변수를 고려하여 접합상세를 제안하고 실험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실험결과 본 연구에서 제시된 CFT기둥-RC 무량판 접합상세의 펀칭강도는 ACI에서 규정한 RC 무량판 펀칭강도와 동등하거나 상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결과를 토대로 CFT기둥-RC 무량판의 펀칭전단강도 예측식을 제안하였다.

마이크로 펀칭시스템 구현을 위한 심벌변위확대기구의 설계 (Design of Cymbal Displacement Amplification Device for Micro Punching System)

  • 최종필;이광호;이해진;이낙규;김성욱;주은덕;김병희
    • 한국공작기계학회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36-41
    • /
    • 2009
  • This paper presents the development of a micro punching system with modified cymbal mechanism. To realize the micro punching, we introduced the hybrid system with a macro moving part and micro punching part. The macro moving part consists of a ball screw, a linear guide and the micro step motor and micro punching part includes the PZT actuators and displacement amplification device with modified cymbal mechanism. The PZT actuator is capable of producing very large force, but they provide only limited displacements which are several micro meters. Thus the displacement amplification device is necessary to make those actuators more efficient and useful. For this purpose, a cymbal mechanism in series is proposed. The finite element method was used to design the cymbal mechanism and to analyze the mode shape of the one. The displacement and mode shape error between the FEM results and experiments are within 10%. A considerable design effort has been focused on optimizing the flexure hinge to increase the output displacement and punching force.

CEP 기반의 스마트 홈 IoT 디바이스 원격 제어 정책 관리 시스템 설계 (A Design of Smart Home IoT Device Remote Control Policy Management System based on CEP)

  • 김계영;문대진;조대수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76-578
    • /
    • 2016
  • 사물 인터넷이 발달하면서 다양한 스마트 홈 IoT 디바이스와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스마트 홈 IoT 서비스의 핵심은 사용자가 인터넷 통신을 통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이다. IoT 디바이스들의 통신은 대부분 사설 네트워크 내에서 IP를 가지기 때문에 외부의 네트워크에서 접근하여 제어하는 원격제어에 어려움이 있다. 원격 제어를 위한 방법 중 하나로 서로의 IP를 파악해 통신을 하는 UDP 홀 펀칭이 있다. UDP 홀 펀칭은 100%에 가까운 데이터 통신 성공률을 보장하기 위해 경우에 따라 3단계 과정을 거쳐야한다. 본 논문은 UDP 홀 펀칭을 이용한 IoT 디바이스 원격제어에서 불필요한 단계를 생략시키기 위해 CEP 기반으로 원격 제어 정책을 관리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다이의 미세정렬을 통한 전단 버의 최소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urr Minimization in Punching Process Based on Micro Die Alignment)

  • 홍남표;신용승;신홍규;김헌영;김병희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21권7호
    • /
    • pp.70-75
    • /
    • 2004
  • The shearing process for the sheet metal is normally used in the precision elements such as a lead frame of IC chips. In these precision elements, the burr formation brings a bad effect on the system assembly and demands the additional deburring process. In this paper, we developed the small size precision punching system to investigate burr formation mechanism and to present kinematically punch-die aligning methodology between the rectangular shaped punch and die. The punch is driven by an air cylinder and the sheet metal is moving on the X-Y table system which is driven by two stepping motors. The whole system is controlled by microprocessor and is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by RS232C serial communication protocol. Punching results are measured manually using the SEM photographs and are compared aligning result with miss aligning one.

비전 기반의 FPC용 자동 펀칭시스템 (Automatic Punching System for FPC using Machine Vision)

  • 이영춘;이성철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22권12호
    • /
    • pp.77-86
    • /
    • 2005
  • This paper is about the development of Automatic FPC(flexible printed circuit) punching instrument for the improvement of working condition and cost saving. FPC is used to detect the contact position of keyboard and button like a cellular phone. Depending on the quality of the printed ink and position of reference punching point to the FPC, the resistance and current are varied to the malfunctioning values. The size of reference punching point is 2mm and the above. Because the punching operation is done manually, The punching accuracy is varied with operator's condition. Recently, The punching accuracy has deteriorated severely to the 2mm punching reference hall so that assembly of the K/B has hardly done. To improve this manual punching operation to the FPC, automatic FPC punching system is introduced. Precise mechanical parts like a 5-step stepping motor and ball screw mechanism are designed and tested and low cost PC camera is used fur the sake of cost down instead of using high quality vision systems for the factory automation. Test algorithms and programs showed good results to the designed automatic punching system and led to the increasement of productivity and huge cost down to law material like FPC by avoiding bad quality.

핀홀형 LED 디스플레이 보드 펀칭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 Punching System for Pin-hole Type LED Display Board)

  • 최형식;강진일;허재관;한종석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27권7호
    • /
    • pp.63-70
    • /
    • 2010
  • We developed a new punching system that generates pinholes expressing texts or images on a plastic plate. The pin-holed plate is used as a new glamorous display board reflecting colorful lights from the light emitting diode (LED) installed on the edge side of the plate. The four degree-of-freedom punching system was designed to make same multiple holes on four plastic plates simultaneously. For this motion, we designed a structure for a simultaneous motion of the system. For even reflection of the lights from texts or images on the board and fast production of the pin-holed boards, fast motion including precise position control is very important. We also built a PC-based integrated control system including a GUI program to help users easily design luminous texts or images on the plastic plate. Also, we conducted a performance test of the system to verify the punching speed and position control of the pin holes on the plate.

외부장착물 분리하중에 대한 파일런 구조 정적시험 (Structural Static Test of Pylon for External Attachment Separation Load)

  • 김현기;김성찬;홍승호;최현경;조상환;박형배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04-109
    • /
    • 2022
  • 파일런 내부에 장착되는 외부장착물 분리장치(BRU)는 외부연료탱크나 외부무장 등의 외부장착물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며, 비상시에는 외부장착물을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외부장착물을 분리시킬 때 BRU에 의해 발생하는 하중을 펀칭하중이라고 한다. 본 연구에서는 파일런에 작용하는 BRU 펀칭하중 조건에서 파일런의 구조 건전성을 검증하기 위해 수행한 구조 정적시험 결과를 제시하였다. 구조 정적시험에서 외부장착물의 분리하중에 대한 구현방식과 BRU 펀칭하중 조건에 대한 시험 프로파일을 제시하였고, 각 시험에서 하중제어의 적절성을 판단하기 위해 하중 입력신호와 출력신호 사이의 오차를 비교하였다. 그리고, 파일런의 주요 위치에서 수치해석 결과와 시험에서 계측된 변형률을 비교하였다. 시험 결과, 시험수행 간에 시험하중이 잘 제어되었고, 수치해석이 시험결과를 잘 예측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최종적으로, 설계 제한하중과 설계 극한하중에 의해 수행된 구조 정적시험을 통해 본 연구에서 다루고 있는 항공기용 파일런은 외부장착물 분리하중에 대해 충분한 구조 강도를 보유하고 있음을 검증하였다.

단부 및 중앙부 플랫플레이트의 철근 분배율에 따른 모멘트 재분배 실험 (Tests for Moment Redistribution in Flat Plates with Different Reinforcement Details according to End and Midspan Moment Distributions)

  • 최정욱;송진규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9권5호
    • /
    • pp.603-611
    • /
    • 2007
  • 동일한 총 정적 모멘트를 갖지만 단부 및 중앙부 모멘트 분배가 서로 다른 총 3개의 슬래브-기둥 내부 접합부를 실험하였다. 각 실험체는 4.2m 정사각형 슬래브와 356mm 정사각형 단면을 갖는 기둥으로 구성되며, 슬래브의 두께는 152mm이다. 실험 결과, 플랫플레이트 시스템은 비 균열 상태에서부터 최종 파괴 단계까지 상당히 큰 모멘트 재분배 현상이 나타나고, 극한 상태에서 실험체의 단부 및 중앙부 모멘트 분배는 설계에서의 철근 분배에 의해 크게 좌우되었다. 또한 이러한 모멘트 재분배 현상은 슬래브의 펀칭전단강도에 영향을 준다.

말뚝지지성토지반 내 지반아칭이 발달할 수 있는 한계성토고의 평가 (Estimation of Critical Height of Embankment to Mobilize Soil Arching in Pile-supported Embankment)

  • 홍원표;홍성원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6권11호
    • /
    • pp.89-98
    • /
    • 2010
  • 성토지지말뚝시스템을 적용하여 연약지반 상에 성토를 설계 시공하고자 할 경우 말뚝지지 성토지반 내에 지반아칭이 발달할 수 있도록 한계성토고를 설계하는 방법이 마련되었다. 먼저 말뚝캡보의 간격이 비교적 넓은 경우를 대상으로 일련의 모형실험을 실시하여 성토단계에 따른 성토하중의 하중전이거동을 조사하고 성토지반 속에 지반아칭이 충분히 발달되기 시작할 때의 성토고를 실험적으로 관찰하였다. 모형실험결과, 하중전이거동은 말뚝지지성토지반 내에 지반아칭이 발달될 수 있느냐 여부를 결정지을 수 있는 성토고에 영향을 많이 받음을 알 수 있었다. 저성토단계에서는 성토지반 속에 지반아칭이 아직 발달되지 못한 관계로 펀칭전단파괴모드에 의하여 성토하중이 말뚝캡보에 하중전이가 진행되었고 고성토단계에서는 지반아칭이 발달하여 지반아칭파괴모드에 의하여 하중전이가 진행되었다. 이들 저성토단계와 고성토단계에서 측정된 연직하중의 실험치는 각각의 파괴모드에 의한 하중전이 메커니즘에 근거하여 이전 연구에서 유도 제시된 이론식들로 산정된 예측치와 좋은 일치를 보였다. 또한 모형실험결과 저성토단계의 펀칭전단파괴모드에 의한 하중전이 메커니즘에서 고성토단계의 지반아칭파괴모드에 의한 하중전이 메커니즘으로 변화하는 시점의 한계성토고가 존재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성토지반 속에 지반아칭을 충분히 발달시키려면 성토를 이 한계성토고 보다 높게 설계 시공하여야 함을 알았다. 또한 펀칭전단과 지반아칭에 의한 하중전이 메커니즘에 의거 유도 제안되었던 전이하중 산정 이론식을 같게 놓음으로서 한계성토고를 산정할 수 있는 이론식을 유도할 수 있었고 이 이론식으로 한계성토고의 실험치를 잘 예측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