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패션 시스템

검색결과 242건 처리시간 0.027초

커스터마이징 시스템 개발을 위한 신한복 브랜드 치마 패턴 비교 (A Comparison Study of New Hanbok Brand Skirt Pattern for developing of customizing system)

  • 차수정;안명숙;허승연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0년도 제61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8권1호
    • /
    • pp.269-270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한류의 영향으로 그 관심이 증가되고 있는 신한복 커스터마이징 시스템 개발을 위해 신한복 치마 패턴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시판 6개 신한복 브랜드의 치마 패턴을 비교분석하였다. 같은 디자인의 free사이즈 치마임에도 불구하고 각기 다른 치수로 제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마길이는 17cm, 허리벨트길이는 29cm, 허리벨트폭은 4.5cm, 끈길이는 72.7cm, 치마길이는 17.0cm, 치마폭은 90.5cm의 차이를 나타냈다. 같은 신한복 치마임에도 브랜드에 따라 치수 차이가 큰 것으로 분석되어 치수규격의 정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한국 성인여성의 신체치수를 분석하여 그에 적합한 신한복 치마 패턴 개발이 이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다.

  • PDF

개인색채이미지에 기반한 통합적인 패션색채디자인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Color Design System for Fashion Based on Personal Color Image)

  • 김영인;김희연;한은주
    • 복식
    • /
    • 제60권7호
    • /
    • pp.61-73
    • /
    • 2010
  •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fashion color design system based on personal color and sensorial images. This web-based system has a parallel structure which a user can search her own personal color, sensorial, and fashion images. The fashion image was presented according to the type of personal color image and sensorial image: futuristic fashion image from alluring image on all of personal color images; elegant fashion images from calm with pure/splendid images or faint/calm with alluring images; modern fashion image from pure/calm with alluring images or faint with lively images; plain fashion image from plain images with all personal color images but pure image; romantic fashion image from calm image with all personal color images but calm image. Fashion color and color combination palettes based on personal color images were presented with the each of those fashion images.

디지털 시대의 패션산업 시스템과 패션리더 (Fashion Industry System and Fashion Leaders in the Digital Era)

  • 주신영;하지수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506-515
    • /
    • 2016
  • This study examines the digital era's fashion system and defines fashion leaders in the system. The study was based on a theoretical review and a research survey to verify the theoretical findings. The results are follows. The critical changes in the fashion system are expansion, cyclical direction and closer distance between producer and consumer. By inflow of media to a new channel, a layer of consumers was extended and the range of celebrities participating in the fashion industry has expanded dramatically. Simultaneously with the change from vertical communication to cyclical and interactive, the direction of communication was re-routed through diverse media. Crowd sourcing activated through two-way communication service has increased consumer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production and consumption. Fashion leaders have changed significantly under this new system. The range of celebrities participating in the fashion system has increased and different fashion leaders have appeared. An interactive and cyclical fashion system has been established through media innovation; consequently, the influential power of celebrities and individuals for direct participation in the fashion system directly has increased significantly.

기계학습을 활용한 상하의 의류 자동매칭시스템 구현 (An Implementation of Automatic Upper-Lower Clothes Matching System Using Machine Learning)

  • 김정인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467-474
    • /
    • 2010
  • 인터넷을 이용하는 패션/코디 쇼핑몰은 그 시장이 매년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온라인 패션 쇼핑몰들은 매출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신상품을 눈에 잘 띄는 곳에 배치하거나, 모델을 도입하여 상품을 돋보이게 표시하는 등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온라인 패션 쇼핑몰에서 판매하는 다양한 상품들에 대하여 상의와 하의의 어울리는 정도를 자동으로 계산하여 표기할 수 있다면, 오프라인에서의 점원에 의한 추천을 대신하여 사용자들의 연계 구매가 한층 편리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여성복의 패션 코디네이션 쇼핑몰 구축 시, 내용 기반 필터링 방식(Content-based filtering)의 기계학습을 이용하여 상의와 하의의 어울리는 정도를 자동 계산하여 추천해주는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영 스트리트 패션 형성(形成)에 미친 팝 스타의 패션스타일 연구(硏究) (A Study on the Pop Stars' Fashion Styles Influencing Young Street Fashion)

  • 이희승;조규화
    • 패션비즈니스
    • /
    • 제10권4호
    • /
    • pp.114-129
    • /
    • 2006
  • Thi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on the influence on the creation of young generation's street fashion of pop stars focused on pop music given the fact that fashion can be created by popular culture in this multi-media era. Also, this study is to provide useful data for the activation of the creation of young fashion culture and the fashion industry through pop stars' fashion. The pop stars' fashion that has affected young street fashion is as follows : Elvis Presley's rock'n'roll style, Beatles' mods style, Janis Joplin's hippy style, Sex Pistols's punk style, Madonna's boy-toy and corset style, Michael Jackson's androgynous style, Puff Daddy and L.L Cool J's hip-hop style, Bob Marley's reggae style, Spice Girls, Jennifer Lopez and Britney Spears's sexy style. The young street fashion culture of pop stars and its industrial meaning withdrawn from the above are as follows : Creation of a fashion icon, Creation of anti-fashion, Liberation of a sex role, Costume play culture, Activation of the young fashion industry through star marketing.

천연염색을 활용한 배색감성 패션제품의 개발 (Development of Sensible Color-Coordinate Fashion Products Using Natural Dyeing)

  • 이은주;조주연;박두경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550-553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천연염색 실크직물의 배색 시스템을 활용하여 배색 감성에 기반한 패션의류 제품을 개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천연염색 업계에서 즉시 활용 가능한 국내외 시판용 천연염재를 대상으로 균일화된 기계화 염색 공정을 통해 의류용 실크직물에 다양한 천연염색 색채를 발현한 후 대표 단색군을 선별하여 동일톤과 유사톤의 원리를 이용한 3배색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였다. 나아가 현대적이면서 한국적인 텍스타일 모티브를 개발하여 3배색 데이터를 적용한 배색 디자인을 제시하고, 이들 모티브와 배색 디자인이 적용된 패션 의류 아이템들을 제작하여 천연염색을 활용한 실크직물의 배색 감성을 적용한 현대적 하이-프리미엄 패션의류제품을 제안하였다.

  • PDF

디키의 <예술제도론>의 관점에서 본 예술로서의 패션의 본질 -패션계의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Essentials of Fashion as art from the Perspective of George Dickie's Institutional Theory of Art -Focus on the Structural Elements of the Fashion World-)

  • 서승희
    • 패션비즈니스
    • /
    • 제20권5호
    • /
    • pp.1-15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the artistic nature of fashion from the point of view of George Dickie's Institutional theory of art, which defined art from a sociological context. Five notions to formulate the institutional definition of art were regarding the artist, work of art, public, artworld, and artworld system. These notions were applied to the fashion world, and they deduced the definitions of a fashion designer, a fashion product, a fashion consumer, and the fashion system, which indicated fashion's social status in the art system. Firstly, a fashion designer plays a collective role in the product with an understanding of the consumers, professional knowledge of the design, and knowledge of making images of fashion products. Secondly, a fashion product involves artifactuality in the form of clothes created by collaboration among producers and it is transformed into fashion by collective activity of distributors and consumers. Thirdly, a consumer is a set of people who play a leading role in the assessment and consumption of the fashion product, allow the fashion designer to read his or her taste and reflect it in the fashion product although they are not directly involved in its production. Fourthly, a fashion system is a social framework for the presentation of a fashion product by a fashion designer to a consumer, and a social institution which enables clothes to transform into fashion through design, production, display, distribution, and sales. As a result, fashion is defined as an artifact in the form of clothes created by a fashion designer and presented to a consumer by the fashion system.

서울 구로.가산동 의류패션산업의 가치사슬과 네트워크 (The Value chain and the Networks of Apparel Industry in Guro-Gasan, Seoul)

  • 이상욱;김경민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465-481
    • /
    • 2014
  • 창의산업(creative industry)으로서 의류패션산업은 지역에 착근된 가치사슬을 바탕으로 한 기업 간 협력과 상호 네트워크가 중요한 산업으로, 특정지역을 중심으로 집적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간적 집적을 넘어 서울 의류패션산업의 중심 클러스터로 성장하고 있는 구로 가산동 의류패션산업의 가치사슬을 바탕으로 산업구조를 분석하고 기업간 산업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는지 확인하였다. GIS분석과 현장답사를 통해 구로 가산동 의류패션산업은 가치사슬상의 기획, 디자인의 고부가가치 영역이 전개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심층인터뷰를 통해 구로 가산동 의류패션산업은 가치사슬의 미들스트림을 중심으로 업스트림에 속하는 지역 외부의 대형 브랜드업체의 통제를 받는 외부지향적인 생산구조를 가지고 있음을 밝혔다. 이에 구로 가산동의 산업 집적지는 상호호혜적인 네트워크를 통한 창조적인 산업클러스터로 발전하는데 한계가 존재한다. 하지만, 부가가치가 높은 업스트림의 영역으로 가치무리 이동을 보이고 있어, 현재 일부 기업들이 부가가치가 높은 영역을 넓혀 가고 있는 모습이 존재함을 보였다. 본 연구는 구로 가산동 의류패션산업의 총체적인 시스템을 확인하고, 경제지리적 관점에서 가치사슬의 구조와 공간적 분화패턴을 국지적 차원에서 분석한데에 의미가 있다.

  • PDF

3D 가상 의상 기술을 활용한 캐쥬얼웨어 디자인 연구 - Z 세대를 중심으로 (A study on Design of Casual wear utilizing 3D Virtual Clothing Technology - focus on Generation Z)

  • 신혜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1호
    • /
    • pp.75-81
    • /
    • 2021
  • 첨단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디지털 문화에 익숙한 Z세대는 미래 패션을 재편할 수 있는 패션 산업의 주요 소비층으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기기에 능숙하고 인터넷을 통한 정보 습득 및 모바일 라이프스타일에 친숙한 Z세대를 위한 캐쥬얼웨어를 3D 가상 시뮬레이션에 의해 디자인하여 걸리쉬, 스포티브, 이지, 컨템포러리의 4가지 룩으로 디자인 전개하였다. 의상디자인에 3D 가상 착의 시뮬레이션의 활용은 팬데믹 환경에서 디지털 패션 디자인기획 및 생산 프로세스와의 융합을 통한 미래 패션 산업의 디지털화를 구축하고 온라인 플랫폼의 유통을 강화시킬 수 있다. 언택트 패션 제작 시스템을 도입하여 업무의 효율성 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혁신을 시도하고 있는 기업 환경에서 3D 가상의상 기술의 활용은 3D 샘플 제작, 온라인 피팅, 수정과 보정 및 품평을 통해 업무 프로세스에서 소통이 확대되고 인적, 물적 자원의 경감에 따른 긍정적 효과를 통해 지속 가능한 패션의 가치를 확대시킬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