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Color Design System for Fashion Based on Personal Color Image  

Kim, Young-In (Dept. of Human Environmental Design, Yonsei University)
Kim, Hee-Yeon (Dept. of Human Environmental Design, Yonsei University)
Han, Eun-Joo (Researcher of Human Ecology Research Institute, Yonsei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v.60, no.7, 2010 , pp. 61-73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fashion color design system based on personal color and sensorial images. This web-based system has a parallel structure which a user can search her own personal color, sensorial, and fashion images. The fashion image was presented according to the type of personal color image and sensorial image: futuristic fashion image from alluring image on all of personal color images; elegant fashion images from calm with pure/splendid images or faint/calm with alluring images; modern fashion image from pure/calm with alluring images or faint with lively images; plain fashion image from plain images with all personal color images but pure image; romantic fashion image from calm image with all personal color images but calm image. Fashion color and color combination palettes based on personal color images were presented with the each of those fashion images.
Keywords
fashion color design system; personal color image; sensorial image; fashion image; fashion color; color combina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3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영인, 한은주, 김희연 (2008). 개인색채이미지에 기반한 통합적인 패션색채디자인 시스템 개발연구II-개인의 오감이미지와 패션이미지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4(1), pp. 53.
2 김영인, 한은주, 김희연 (2006). 개인색채이미지에 기반한 통합적인 패션색채디자인 시스템 개발연구I-개인색채이미지와 패션이미지를 중심으로-. 한국색채학회지, 20(4), p. 76.
3 박현숙, 박연선 (2000). 패션디자인의 색채이미지 언어와 색채배색. 한국색채학회지, 14(2), pp. 17-23
4 조주연 (2005). 패션색채의 활용에 있어서 색차에 의한 이미지 배색 방법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27-146
5 박화순 (2002). 개인색채 유형에 따라 어울리는 의복색 경향. 복식, 52(6), pp. 20-24   과학기술학회마을
6 Matsuura, Sumie, 조기여 (2004). 일본에서의 퍼스널 컬러 시스템의 추이, 한국의류산업학회지, 6(5), pp.535-538.
7 김하니 (2001). 1990년대 후반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색채특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34-164.
8 이윤주 (1999). 색채이미지에 기반한 패션 색채 계획도구의 개발.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43-117.
9 추선형 (2000). 색채와 질감에 의한 패션소재 이미지.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66-70 .
10 김수윤 (2001). 1990년대 전반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색채특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21-148.
11 Copestick, Joanna & Lloyd, Meryl (1998). Vital Colour. Ryland Peters & Small, pp. 17-98.
12 김영인, 한은주, 김희연 (2006).개인색채이미지에 기반한 통합적인 패션색채디자인 시스템 개발연구 I-개인색채이미지와 패션이미지를 중심으로-. 한국색채학회지, 20(4), p. 75.
13 Jackson, Carole (1987). Color Me Beautiful Color Make up Book. New York: Ballantine books.
14 Lloyd, Claire (1998). Sensual Living. London: Conran Octopus, pp. 21-116.
15 Love, Gilly (2000). Insideout. Conran Octopus.
16 Rashid, Karim (2001). Karim Rashid-I want to change the world. London: Thames & Hudson, pp. 9-27.
17 Bloom (2004). Bloom November(Issue 12). United Publishers.
18 Bloom (2005). Bloom July(Issue 13). United Publishers.
19 Edelkoort, Li (2001). Bloom. Flammarion, pp. 102-170.
20 Guild, Tricia (1999). White Hot. Quadrille Publishing, pp. 120-188.
21 retrieved 2006. June-August, from http://www.corbis.com
22 Intakul, Sakul & Ayudhya, Wongvipa Devahastin na & Tettoni, Luca Invernizzi (2002). Tropical Colors -The Art of Living with Tropical Flowers. Periplus, pp. 76-103.
23 김영인, 한은주, 김희연 (2008). 개인색채이미지에 기반한 통합적인 패션색채디자인 시스템 개발연구II-개인의 오감이미지와 패션이미지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4(1), p. 49.
24 retrieved 2006. June-August, from http://www.creative.gettyimages.com;
25 김영인, 한은주, 김희연 (2008). 개인색채이미지에 기반한 통합적인 패션색채디자인 시스템 개발연구II-개인의 오감이미지와 패션이미지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4(1), pp. 46-55.
26 retrieved 2006. June-August, from http://www.nationalgeographic.com
27 Beazley, Mitchell (2000). Colour Healing Home. Octopus Publishing Group, pp. 56-110.
28 김영인 (2003). 개인 색채 디자인 시스템(Personal Color Design System) 개발보고서. (주)태평양, pp. 1-25.
29 김영인, 한은주, 김희연 (2006). 개인색채이미지에 기반한 통합적인 패션색채디자인 시스템 개발연구I-개인색채이미지와 패션이미지를 중심으로-. 한국색채학회지, 20(4), p. 72.
30 김영인, 한은주, 김희연 (2006). 개인색채이미지에 기반한 통합적인 패션색채디자인 시스템 개발연구I-개인색채이미지와 패션이미지를 중심으로-. 한국색채학회지, 20(4), pp. 70-78.
31 이윤주 (1999). 색채이미지에 기반한 패션 색채 계획도구의 개발.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25-119.
32 retrieved 2006. June-August, from http://www.firstview.com/
33 나까마찌미쥬오, 김연민 (1994). 감성공학: 감성을 디자인에 활용하는 기술. 울산: 울산대학교출판부, pp.37-76.
34 박혜원, 박회창 (2005). 웹 기반 스트리트 패션디자인 분석시스템 설계 및 구현. 패션비지니스학회지, 9(2), pp. 160-173 .
35 김영인. (2003). 개인 색채 디자인 시스템(Personal Color Design System) 개발보고서. (주)태평양,, pp. 39-82.
36 retrieved 2006. June-August, from http://www.samsungdesign.net
37 retrieved 2006. June-August, from http://www.ifp.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