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패션 상품

Search Result 400, Processing Time 0.049 seconds

Comparative Study on Shopping Behavior of Korean Overseas Tourist Groups Based on Travel Motivation (여행동기에 따른 해외여행자 집단별 쇼핑행동 비교)

  • Jeon, Yangjin
    •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and Costume Design Association
    • /
    • v.17 no.1
    • /
    • pp.25-37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해외여행 동기에 따라 여행자들의 집단을 나누고 각 집단별로 해외여행시 구매하는 상품이나 이용 매장의 특성을 비교하는데 있다. 문헌연구를 통해 여행동기와 구매상품의 종류와 속성, 쇼핑장소의 유형과 속성에 대한 주요 문항들을 추출하였다. 20-50대 해외여행 경험자 43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K-평균 군집분석을 통해, 적극적 집단, 소극적 집단, 자연 쾌락추구 집단, 가족 발견추구 집단의 4개의 군집이 확인되었다. 적극적인 여행자들은 해외에서 구매하는 모든 상품종류에 대해 가장 높은 관심을 보였으며 다른 세 집단보다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 특히 소극적인 여행자나 자연 쾌락추구 여행자들보다 패션 사치품이나 기념품 구매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품 속성에서 디자인과 명성, 실용성, 가격과 품질 등의 요인들을 중요하게 고려하였다. 구매 장소 측면에서는 적극적 집단은 지역 시장, 패션매장, 선물매장 순으로 선호하였으며 소극적인 여행자들은 패션매장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매장소 속성의 중요도는 편의성, 디스플레이, 매장위치 및 판촉활동 순으로 중요시되었으며 적극적인 여행자들은 다른 세 집단 여행자들보다 매장 편의성에 대한 관심이 유의하게 높았다. 가족 발견중심 여행자와 자연 쾌락추구 여행자 집단은 쇼핑행동이 비슷하거나 일부 요인에서만 차이가 있었다. 소극적 여행자들은 나머지 세 집단과 구별되게 모든 쇼핑행동에 대한 관심이 낮았다. 여행동기에 근거한 시장세분화는 서로 다른 쇼핑행동을 예측할 수 있는 변별력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 PDF

특집 - 산업디자인 발전 및 경쟁력을 위한 우수디자인

  • (사)한국포장협회
    • The monthly packaging world
    • /
    • s.215
    • /
    • pp.55-69
    • /
    • 2011
  • 우수디자인(GOOD DESIGN)은 산업디자인진흥법에 의거, 상품의 외관, 기능, 재료, 경제성 등을 종합적으로 심사해 디자인의 우수성이 인정된 상품에 GOOD DESIGN 마크를 부여하는 제도로 지난 1985년부터 시행하고 있다. 지식경제부가 주최하고 한국디자인진흥원이 주관하는 굿 디자인은 우수한 디자인상품을 선정 장려함으로써 상품의 디자인개발을 촉진하고 독창적이고 우수한 상품디자인을 개발하여 상품의 경쟁력 강화를 통한 수출증대와 국민경제 발전에 기여해 나가고 있다. 우수디자인(GOOD DESIGN)은 제품디자인, 포장디자인, 환경디자인, 커뮤니케이션디자인, 소재표면처리디자인, 건축디자인 패션디자인, 패션디자인 등의 부문으로 나뉘어 선정, 시상하고 있다. 포장디자인의 경우 우리 생활에 사용 및 유통되는 모든 포장상품으로 환경보호 측면과 폐기물 처리과정, 재활용성 등을 고려한 포장의 기능과 디자인이 우수한 상품을 중심으로 선정하고 있으며, 제과류, 화장품류, 의약품류, 주류, 음료, 농 축 수산물, 가전제품류, 생활용품류, 잡화 등 기타 유통 중인 상품을 대상으로 시상하고 있다. 매년 대통령상 1점을 포함해 국무총리상 2점, 대상(지식경제부장관상) 6점, 최우수상(조당청장상) 15점, 우수상(한국디자인진흥원장상) 25점이 선정되며, 특별상으로 국민참여 선정 굿디자인 상품에 대한 시상식도 있다. 또한 대통령상, 국무총리상, 지식경제부장관상을 수상한 상품의 주 디자이너 및 디자인팀을 대상으로 우수디자이너상도 시상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지난 해 2010 우수디자인(GD)상품 455점 가운데 포장디자인 부분 수상작들을 살펴보도록 한다.

  • PDF

Mobile phone as a fashion product: Comparing fashion behaviors in clothing and mobile phone (패션상품으로서의 모바일폰: 의상과 모바일폰에서의 패션행동 비교 연구)

  • Park, Kyungae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 /
    • v.22 no.2
    • /
    • pp.329-342
    • /
    • 2013
  • As mobile phone has acquired a status of a fashion item expressing one's character,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fashion needs for this new fashion produ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the fashion orientation construct developed in the clothing research field to mobile phone and explore its validity. The multi-dimensional construct of fashion orientation which most widely represented the fashion aspects was examined for the two product categories of clothing and mobile phone. Data were collected from an online questionnaire survey, and a total of 1,136 responses were analyzed. The construct structure of fashion orientation of mobile phone resulted in individuality, innovation, and fashion was different from that of clothing extracted to interest/importance, fashion/innovation, and individuality. Fashion sensitivity and an early adoption of a new product were two different dimensions in mobile phone while not separable in clothing. Despite a higher predictability of the fashion/innovation orientation of clothing on fashion orientation rather than on innovation orientation of mobile phone, innovation orientation was more important to purchase behaviors of mobile phone. The study still implies that it is valid to use clothing fashion innovative consumers for mobile phone marketing.

Good Design 2015 (지상전시 - 2015 우수디자인(GD)상품)

  • (사)한국포장협회
    • The monthly packaging world
    • /
    • s.273
    • /
    • pp.101-109
    • /
    • 2016
  • 굿디자인(GOOD DESINE)이란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디자인진흥원의 주관 아래, 산업디자인진흥법에 의거하여 상품의 외관, 기능, 재료, 경제성 등을 종합적으로 심사하여 디자인의 우수성이 인정된 상품에 GOOD DESINE 마크를 부여하는 제도로 1985년부터 매년 시행해 오고 있다. GD마크 선정제란 우수한 디자인 상품개발을 장려하여 국가 경쟁력을 확보하고 국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나아가 유니버설디자인, 서비스디자인, 전통시장, 산업단지 디자인을 고도화(우수디자인 선정, 장려 등)함으로써 사회적 문제해결과 지속가능한 창조경제를 실현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선정 대상 품목으로는 제품디자인, 환경디자인, 소재표면처리디자인, 패션디자인, 포장디자인, 커뮤니케이션디자인, 건축디자인 패션디자인으로 대통령상 1점을 비롯해 국무총리상, 대상, 최우수상 등을 시상하고 있다. 굿디자인 상품은 향후 조달청이 시행하는 우수제품선정 및 물품구매 적격심사 시 우대되며, 중소기업청이 시행하는 수출유망중소기업지정 및 수출기업화 사업평가시 우대받을 수 있다. 마크사용에 있어 호주 디자인상(AIDA)과의 상호인증으로 마크 부착이 가능하다. 본 고에서는 2015년 우수디자인(GD)으로 선정된 제품 가운데 생활 포장 및 산업포장 부문 수상작들과 일부 선정된 제품들을 살펴본다.

  • PDF

패션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Virtual Dressing System개발에 관한 연구

  • 김진수;조영재;조재용;이우룡;박병연
    • Proceedings of the Korean DIstribution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9.11a
    • /
    • pp.101-121
    • /
    • 1999
  • 국내 섬유 및 패션산업은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추고 있으나 낙후된 디자인 기술, 비효율적인 생산관리, 다양한 고객 요구변화에 신속한 대응부족, 비효율적인 유통구조 등으로 인하여 경쟁력 향상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정부에서는 패션산업의 경쟁력강화를 위하여 대구지역을 중심으로 밀라노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으나 대부분이 건물 신축 등 하드웨어적인 측면을 강조하고 있어 디자인 기술향상, 생산관리, 전자상거래 활성화 등 의류 및 패션산업 특성을 감안한 소프트웨어적인 전략 및 지원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3D 가상현실 기법을 의류 및 패션산업에 적합하게 개발하여 국내 패션산업의 세계화와 경쟁력강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주요 연구내용을 살펴보면, 소재의 2D, 3D 입체화 표현기술, 3D Virtual 표현기술, 2D, 3D Model 및 의상 DB 개발, Mapping 기술 등을 통합한 Virtual Dressing System(VDS)을 개발하고자 한다. VDS를 통하여 고부가가치 섬유의 신속한 개발, 디자인 기술 향상, 다자간 공동생산지원에 따른 효율적 생산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웹기반 하에 Virtual Dressing System을 개발함으로써 의류 및 패션상품을 3D 형태로 입체적으로 볼 수 있게 함은 물론 가상 코디네이션 연출까지 가능케 함으로써 인터넷 쇼핑몰 상에서 의류, 패션상품의 판매 증대에 기여하고자 한다.

  • PDF

Creation of Fashion Products related to Korean Wave using Court Dance Costume during Joseon Period as Archive (조선시대 궁중정재복식을 아카이브로 한 한류연계 패션상품 개발)

  • Lee, Jae-Yo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2 no.5
    • /
    • pp.261-275
    • /
    • 2022
  • In this stage when K-Pop and K-Fashion have been drawing global attention, it is required to activate the Korean culture and fashion by developing fashion products which reinterpret various items in the Hanbok fields with modern sense in connection with Korean wave. Thus, this study aims to develop fashion products related to Korean wave with court dance costumes used in court banquets, which may be the origin of K-Pop, as the main theme, and to converge and expand culture and fashion fields. To this end, the original court dance costumes and their modern forms continuing in these days were analyzed and the costumes for Musanhyang, Yeonhwadae, Cheoyongmu, Chundaeokchok and Chunaengjeon differentiated from existing daily Hanbok were selected. The fashion products related to Korean wave reflecting the specific elements of those five costumes were designed. Then, the silhouette and sizes of those costumes were checked using the CLO, the 3D virtual clothing program and total 5 fashion products were created.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paper will contribute on making Korean design popular on the design aspects, expanding the scope of Korean wave contents on the industrial aspects and globalizing the K-Fashion on the global aspects.

Creation of Fashion Items Using Traditional Dancheong Patterns - Focused on Bag Designs - (전통 단청문양을 활용한 패션상품 개발 - 가방 디자인을 중심으로 -)

  • Lee, Jae-Yo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0 no.5
    • /
    • pp.545-557
    • /
    • 2020
  • With the increasing interest on K-fashion all over the world, it's the important time to create the items which can express the unique identity of Korea for promoting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ashion.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modern applicability of traditional patterns by designing the bags using the Dancheong patterns(traditional multi-colored decorative painting) which can effectively express Korean images in a variety of shapes and definite visual features and then expand the scope of fashion items. To this end, this study concentrated on expressing the Dancheong patterns to fit to the modern fashion trends by re-interpreting them. The bag was designed using the laser cutting technique, without weaving or digital printing, to imbue the technical emotion and 3D effect to the patterns. In accordance with the analysis results, the features of patterns could be delicately expressed around the shaping and structuring method in terms of the design, and the scope of design for leather goods could be expanded using the laser cutting in technical aspects. For the industrial aspects, it is required to develop differentiated goods expressing the unique emotion of the Korean for globalization of Korean design.

Construction of Fashion Cultural Goods Design Database using Gaya Relics (가야(伽倻) 유물을 활용한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데이터베이스 구축)

  • Song, Mi-Jung;Park, Hye-Won
    • Journal of Fashion Business
    • /
    • v.16 no.1
    • /
    • pp.160-179
    • /
    • 2012
  • One of the representative local cultures in Gyeongnam is Gaya culture. This research aim s to develop fashion cultural goods design applying Gaya relics. Based on the study on cu ltural character,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relics, and questionnaire survey on cultural reco gnition and fashion cultural goods purchasing status of Gaya, the plan of Gaya fashion cul tural goods design was made and progressed. To develop design pattern, TexPro Design CAD was used. As to selection of relics to extract motif, Mounted vessel in the shape of warrior on horseback, Chariot wheel-shaped Pottery, Armor and Shield were selected. The main concept of design was 'Timeless Images of Gaya' to re-illuminate a long forgotten p eriod of Gaya, and to create modernization image of ancient period into modern living. By using oring image scale of IRI C or Lab, the 4 main themes of 'Timeless Images of Gaya' including 'Romantic Gaya', 'Dynamic Gaya', 'E -friendly Gaya', 'Modern Gaya' were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4 themes, basic pattern, repeating pattern, application patter n were developed. And applied cases were developed to seek reality of design in the fashi on cultural goods. Also web page was constructed to develop educational and industrial accessibility and utilization in collaboration with design patterns and fashion cultural goods ap plying ca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