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0.20.05.545

Creation of Fashion Items Using Traditional Dancheong Patterns - Focused on Bag Designs -  

Lee, Jae-Young (평택대학교 패션디자인및브랜딩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With the increasing interest on K-fashion all over the world, it's the important time to create the items which can express the unique identity of Korea for promoting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ashion.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modern applicability of traditional patterns by designing the bags using the Dancheong patterns(traditional multi-colored decorative painting) which can effectively express Korean images in a variety of shapes and definite visual features and then expand the scope of fashion items. To this end, this study concentrated on expressing the Dancheong patterns to fit to the modern fashion trends by re-interpreting them. The bag was designed using the laser cutting technique, without weaving or digital printing, to imbue the technical emotion and 3D effect to the patterns. In accordance with the analysis results, the features of patterns could be delicately expressed around the shaping and structuring method in terms of the design, and the scope of design for leather goods could be expanded using the laser cutting in technical aspects. For the industrial aspects, it is required to develop differentiated goods expressing the unique emotion of the Korean for globalization of Korean design.
Keywords
Dancheong Patterns; Item Creation; Bag Design; Lazer Cutting;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7&cp_code=cp0221&index_id=cp02210022&content_id=cp022100220001&search_left_menu=2, 2020.02.09.
2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62947&cid=46673&categoryId=46673, 2020.02.22.
3 박미례, "한국단청의 전통과 가치," 남북문화예술연구, Vol.11, p.10, 2012.
4 이재영, "삼국시대 금동신발 문양의 의미와 상징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10, p.624, 2018.
5 김은지, 박재연, "단청 금문의 조형성을 응용한 도자벽화 디자인 제안,"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26, pp.107-108, 2018.
6 곽동해, 한국의 단청, 학연문화사, p.145, 2003.
7 이유순, 한국섬유산업연합회 섬유패션산업 동향(2018.2분기)_2018년 한국 패션 소비자 시장규모 , 한국섬유산업연합회, p.76, 2018.
8 곽동해, 한국의 단청, 학연문화사, p.109, 2003.
9 곽동해, 한국의 단청, 학연문화사, p.110, 2003.
10 곽동해, 한국단청의 원류, 학연문화사, p.14, 2011.
11 곽동해, 한국의 단청, 학연문화사, p.115, 2003.
12 임영주, 단청, 대원사, p.19, 2000.
13 곽동해, 한국의 단청, 학연문화사, pp.111-113, 2003.
14 장기인, 한석성, 丹靑, 普成閣, pp.18-21, 1996.
15 곽동해, 한국단청의 원류, 학연문화사, pp.37-41, 2011.
16 곽동해, 한국의 단청, 학연문화사, p.136, 2003.
17 박미례, "한국단청의 전통과 가치," 남북문화예술연구, Vol.11, p.22, 2012.
18 박미례, "한국단청의 전통과 가치," 남북문화예술연구, Vol.11, pp.31-34, 2012.
19 김희정, 한국 단청의 이해, 한티미디어, pp.23-27, 2012.
20 박미례, "한국단청의 전통과 가치," 남북문화예술연구, Vol.11, pp.35-37, 2012.
21 김희정, 한국 단청의 이해, 한티미디어, p.32, 2012.
22 임영주, 전한효, 문양으로 읽어보는 우리나라 단청 I , 태학원, p.113, 2007.
23 임영주, 전한효, 문양으로 읽어보는 우리나라 단청 I, 태학원, p.116, 2007.
24 임혜영, 한국 목조건축 단청문양의 구조적 분석,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17, 2001.
25 김희정, 한국 단청의 이해, 한티미디어, p.33, 2012.
26 장기인, 한석성, 丹靑, 普成閣, p.28, 1996.
27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7&cp_code=cp0221&index_id=cp02210028&content_id=cp022100280001&search_left_menu=2, 2020.02.09.
28 김희정, 한국 단청의 이해, 한티미디어, pp.58-150, 2012.
29 임영주, 전한효, 문양으로 읽어보는 우리나라 단청 I, 태학원, p.120, 2007.
30 임영주, 단청, 대원사, p.66, 2000.
31 임혜영, 한국 목조건축 단청문양의 구조적 분석,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20, 2001.
32 임영주, 전한효, 문양으로 읽어보는 우리나라 단청 I, 태학원, p.125, 2007.
33 임영주, 전한효, 문양으로 읽어보는 우리나라 단청 I, 태학원, p.123, 2007.
34 곽동해, 한국의 단청, 학연문화사, p.176, 2003.
35 임영주, 전한효, 문양으로 읽어보는 우리나라 단청 I, 태학원, p.137, 2007.
36 장기인, 한석성, 丹靑, 普成閣, pp.49-50, 1996.
37 임영주, 전한효, 문양으로 읽어보는 우리나라 단청 I, 태학원, p.171, 2007.
38 장기인, 한석성, 丹靑, 普成閣, p.49, 1996.
39 장기인, 한석성, 丹靑, 普成閣, p.48, 1996.
40 장기인, 한석성, 丹靑, 普成閣, p.51,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