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패션 분석

검색결과 1,013건 처리시간 0.026초

패션브랜드개성이 브랜드 선호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정장, 캐주얼, 스포츠 브랜드의 비교 - (Impact of Fashion Brand Personality on Brand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 Comparison among Formal, Casual, Sports Brands -)

  • 고은주;윤선영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4권
    • /
    • pp.59-80
    • /
    • 2004
  • 본 연구는 패션 제품은 사회심리적 속성이 강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Aaker의 일반적인 제품에 적용한 브랜드 개성 차원과는 다른 차별화된 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는 생각에서 출발하였다. 패션 브랜드 이미지에서 추출한 브랜드 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어휘들을 포함하여, 패션 브랜드 개성 차원을 도출하여 전체적 패션브랜드 개성 차원을 밝혔으며, 또한 패션 제품의 세분화 기준중의 하나인 복종별 (정장, 캐주얼웨어, 스포츠웨어)에 따라 패션 브랜드 개성요인은 어떻게 다르게 도출되는 지를 알아보았다. 이는 패션 제품 카테고리에 맞는 패션브랜드개성 차원을 개발함으로써 차별적 브랜드 마케팅 전략 수립 및 활용을 위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에 의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소비자들에게 있어 브랜드 개성차원의 중요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각의 개성 차원들이 브랜드의 선호도 및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첫째, 패션 브랜드 개성 차원은 유행/ 혁신성, 성실성, 보편/ 안정성, 전문성의 4 가지 차원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복종에 따라 정장에서는 혁신/활동성, 안정성, 전문성, 보편성이, 캐주얼웨어에서는 유행/ 혁신성, 활동성, 성실성, 안정성으로, 스포츠웨어에서는 혁신성, 사교성, 성실성의 개성 차원이 도출되었다. 셋째, 패션 브랜드 개성 요인에 따라 소비자의 브랜드 선호와 구매의도의 영향력은 다르게 나타났다. 패션 브랜드 개성 차원 중에서는 성실성, 보편성, 전문성이 선호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정장 브랜드 개성 차원 중에서는 전문성, 캐주얼웨어 브랜드 개성 차원 중에서는 활동성, 스포츠웨어 브랜드 개성 차원 중에서는 성실성이 선호도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전반적인 패션브랜드 개성과 정장 브랜드 개성에서는 선호도와 동일한 차원들이 각각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캐주얼웨어 브랜드 개성 차원에서는 유행/ 혁신성, 진실성, 안정성이 스포츠 브랜드 개성 차원에서는 혁신성이 각각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서울 패션 위크에 나타난 여성 셀러브리티 패션 스타일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Fashion Style of Female Celebrities in Seoul Fashion Week)

  • 이지연;김장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284-295
    • /
    • 2019
  • 셀러브리티들은 한 시대의 지배적인 문화를 형성하기도 하며, 새로운 유행을 선도할 수 있는 영향력을 가진 대상이다. 서울 패션 위크에 참석하는 국내 여성 셀러브리티들은 자신만의 패션 미학을 대중들에게 노출함으로써 패션 리더로서의 이미지를 구축하기도 하며, 컬렉션을 개최하는 패션디자이너들의 브랜드 홍보 및 판매를 촉진시키는 결과를 창출한다. 본 연구는 최근 5년간 서울 컬렉션에 나타난 여성 셀러브리티들의 패션 스타일의 분석을 토대로 여성 셀러브리티들의 패션 경향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내용분석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선형의 스트레이트 실루엣, 무채색의 활용, 문양이나 장식이 없는 경우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에 따라 셀러브리티들은 모던하면서도 미니멀한 스타일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슬림 실루엣과 프린세스 실루엣, 원피스 드레스나 스커트의 착용, 부드러운 소재나 러플의 장식을 통하여 전통적인 여성미를 드러내는 페미닌 스타일을 선호하고 있었으며, 원피스 드레스에 재킷을 매치한 형태 또한 다수 나타남에 따라 남성미가 절충된 시크 페미닌 스타일로의 변화를 시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박시 실루엣, 화려한 컬러들이 믹스된 멀티 컬러, 반짝이는 소재와 그래픽이나 레터링의 문양, 다수의 디테일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에 따라 유행의 선도자로서의 강렬한 존재감을 드러내는 맥시멀 스타일을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패션쇼핑몰의 성공적 창업에 대한 탐색적 사례연구: 소호쇼핑몰의 기업가적 과정을 중심으로 (An Exploratory Case Study of a Successful Online Start-up Fashion Shopping Store: Focusing on the Entrepreneurial Process of a Soho Shopping Mall)

  • 손미영
    • 감성과학
    • /
    • 제25권3호
    • /
    • pp.91-106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패션시장에서 소호 패션쇼핑몰의 성공적 창업의 성장 과정을 알아보기 위해 현재 성공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4개 소호 패션쇼핑몰을 대상으로 기업가 과정을 창업기회포착, 사업모델, 위기관리 및 사업성과 등 3개 단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사례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S사는 짧은 경력의 창업자가 패션감각과 기업가정신으로 전자상거래를 창업한, 가격경쟁력과 디자인력, 다양한 상품구색을 갖춘 캐주얼 쇼핑몰로 데이터 관리/분석, 유통채널 다각화를 통해 성장한 사례이다. B사는 짧은 경력의 창업자가 SNS 네트워크 역량과 기업가정신으로 제조업/전자상거래를 창업한, 아이템 경쟁력과 스타트업 특성을 갖춘 컨템포러리 쇼핑몰로 브랜드 정체성 확립, 시장 확장을 통해 성장한 사례이다. M사와 C사는 보다 긴 경력의 창업자가 브랜드 인지도가 있는 소호 패션쇼핑몰 사례이다. M사는 풍부한 경력과 디자인 정신의 창업자가 감성적/감각적 패션디자이너 브랜드를 창업하여 기업 지평을 넓히는 다양한 활동을 통해 성장하였고, C사는 디자인 역량과 기업가정신의 창업자가 감성 표현에 집중한 럭셔리 패션브랜드를 창업하여 적극적인 고객관리를 통한 브랜드인지도 및 매출 확보 등을 통해 성장한 사례이다. 본 연구 결과는 소호쇼핑몰 예비창업자나 창업과정의 교육 및 연구에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현대패션의 관점에서 본 디지털 페이스디자인 (Digital Face Design with Reference to Contemporary Fashion)

  • 이세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9호
    • /
    • pp.363-371
    • /
    • 2020
  • 패션산업의 디지털 혁신을 배경으로 한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를 통해 이미 전 세계 많은 사용자들을 확보하며 패션산업에까지 영향을 미친 디지털 기반의 페이스디자인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에 증강현실 기반의 디지털 페이스디자인의 대표적 사례들을 유형화하고 이를 관통하는 지향 가치를 도출함으로써 향후 패션산업의 전개 방향에 대한 미래 비전을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인스타그램과 페이스북을 통해 대중에게 디지털 필터 기반의 페이스디자인을 제공하는 3D 디자이너 작품들을 연구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사례 탐색을 통해 현대패션의 관점에서 디지털 페이스디자인의 지향 가치를 관찰한 결과 실험적 조형 지향, 유희적 경험 지향, 미래적 기술 지향 등의 세 가지 경향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디지털 기반의 페이스디자인으로 범위를 한정한 것이나, 이를 통해 나타난 결론들은 패션의 전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사항들이다. 이에 앞으로 페이스디자인의 범위를 넘어선 디지털 증강현실 기반의 패션디자인과 패션커뮤니케이션 관련의 새로운 현상에 대한 연구를 기대할 수 있다.

패션텍스타일 디자인의 디지털화 연구 -디지털화에 따른 패션텍스타일 CAD디자인의 활용가치 연구- (A Study on Digitalization of Fashion Textile Design - A Study of Fashion Textile CAD Design According to Digitalization -)

  • 강혜승;권민희
    • 디자인학연구
    • /
    • 제17권1호
    • /
    • pp.289-298
    • /
    • 2004
  • 패션텍스타일 산업의 미래를 제시할 수 있는 패션텍스타일 전용 CAD 시스템의 개발은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함께 가속화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문화 기반의 구축은 패션텍스타일 산업에서도 고부가가치의 상품개발과 신속한 생산체제의 변화가 요구되며, 이런 욕구에 충족할 수 있는 전용 프로그램들이 개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패션텍스타일의 변화와 디자인 시스템의 구성과 특징을 고찰하고 디지털 패션텍스타일 디자인 전개방법을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기존 그래픽프로그램과 차별화되어 개발되고 있는 창의적인 디지털 패턴디자인의 전개와 변형, 적합한 직물 텍스츄어의 표현, 3D모델링을 통한 시뮬레이션효과를 체계적으로 정립하였다. 패션텍스타일 CAD시스템의 활용을 디자인적 측면과 생산적인 측면으로 나누어 패션텍스타일 디자인 전용 CAD의 활용 가치를 높이는데 중점을 두었다.

  • PDF

MZ세대의 멀티퍼소나 특성을 반영한 패션 쇼핑 앱의 UX 요소에 대한 연구 (UX Elements and Effects of Fashion Shopping Apps Based on Multipersona Characteristics of MZ generation)

  • 이세연;최종훈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123-129
    • /
    • 2021
  • MZ세대는 상황에 따라 여러 가지 자아를 만들어 가는 멀티퍼소나 특징을 갖고 있으며 패션 스타일링 또한 각각의 퍼소나마다 다르게 표출한다. 이에 본 연구는 패션 쇼핑 앱에 멀티퍼소나 특성을 반영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아이템과 컬러, 광고 위주의 추천 방식을 가진 기존 패션 쇼핑 앱은 MZ세대의 패션에 대한 고민을 해소하기에 어려운 실정이므로 이들의 특징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방안이 필요하다. 이에 멀티퍼소나와 MZ세대의 개념과 특징을 조사하고, 선행연구를 통해 MZ세대의 패션 쇼핑 행태를 파악하였다. 또한 패션 쇼핑 앱에서 멀티퍼소나를 간접적으로 활용한 사례와 개선점을 분석하였다. 니즈 파악을 위한 사용자 인터뷰를 통해 4가지의 UX 요소를 도출하였고 기존의 패션 추천 틀을 벗어나 자신의 멀티퍼소나 캐릭터를 형성하여 쇼핑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패션 고민에 도움이 되고 색다른 경험을 가능케 하는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메타버스 플랫폼 '제페토' 이용자의 가상패션 스타일 선호도 및 구매행태 분석 (Analysis of Virtual Fashion Style Preferences and Purchasing Behavior of Metaverse Platform 'Zepeto' Users)

  • 김가야;성옥진;김숙진
    • 패션비즈니스
    • /
    • 제26권3호
    • /
    • pp.33-49
    • /
    • 2022
  • In the metaverse, it is important to embellish aesthetics of user with a character called 'Avatar', a virtual representation of the user.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related to the fashion trend of the metaverse by studying 'Zepeto', a representative Korean platform. For empirical research, Zepeto's "Best Items" section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in the first pre-survey. Based on this, the second and main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questionnaire to investigate users' style-specific preferences and purchasing behaviors for virtual fashion, comparing style preferences between virtual and real, brand preferences, and purchasing behaviors of virtual fashion. The survey found that most users were teenage girls with a high preference for pastel-toned, feminine, and cute casual styles who had a much higher interest in brands bearing idol names than in real-world luxury brands. Many responded that they felt burdened by purchasing items that had to be purchased for cash. The same can be assumed to be the reason why they preferred a suit of items that were fully coordinated rather than individual items. These results seem to reflect characteristics of teenage girls who lack cash with a high preference for idols and feminine-cute casual styles. This study suggests considerations when creating virtual fashion items. By providing basic information, more effects and developments in creating virtual fashion items that reflect consumer preferences and reactions are expected in the future.

COVID-19가 패션 필름에 미친 영향 - 프라다의 COVID-19 전후 패션 필름 사례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 (Effects of COVID-19 on fashion film - Focusing on comparative analysis of fashion film cases before and after COVID-19 of Prada -)

  • 김영욱;마진주
    • 복식문화연구
    • /
    • 제29권5호
    • /
    • pp.617-633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merging trends in fashion films and the impact of COVID-19 through analysis of Prada films produced before and after the initial spread of the COVID-19 pandemic. We selected 40 cases occurring prior to the pandemic, from June to December 2019, and 21 cases occurring since the outbreak, from June to December 2020. To identify relevant trends, we conduct a literature review and examine a range of case studies. First, travel restrictions and confronting activities currently inhibit production. Through our case study analysis, we identify nineteen cases in between before and after COVID-19. Secondly, Prada can be seen to mainly produce episodes and promotional films. Additionally, it develops content showcasing brand values in environmental, cultural, creative, and sport-related fields; intended audiences extend beyond the realm of fashion. Thirdly, a new film category began to develop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namely, narrative films utilizing virtual interactions. According to our analysis results, we expect film production that is increasingly facilitated by virtual communication, technology utilization, and online platforms to continue even after the resolution of COVID-19. New film categories will emerge, and we predict that the gap between the number of cases before and after COVID-19 will narrow.

외국인의 한국 의류 착의실태 (Korean Apparel Wearing Behavior of Foreigners)

  • 시르저나 머허러전;허창범;윤경서;김예선;유향기;차수정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3년도 제68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31권2호
    • /
    • pp.345-346
    • /
    • 2023
  • 본 연구는 한국 거주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국 의류의 착용실태 및 착용 시 불편사항, 선호도 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외국인 소비자를 흡수할 수 있는 의류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설문지법으로 진행되었으며, 분석에는 SPS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의류 구매장소는 온라인 쇼핑이 가장 많았고, 구매 아이템은 티셔츠, 재킷이 많았다. 가격대는 3만원에서 5만원 사이가 가장 많았다. 구매 이유는 심미적 요인이 높았다. 한국 의류는 어깨부위, 다리길이가 가장 불편하였고, 바지가 가장 맞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호스타일은 캐주얼과 모던 스타일이 많았고, 심플하고 편안한 이미지의 의복을 선호하며, 천연소재를 선호하였다. 조금 여유있는 실루엣의 의복을 선호하고 재킷, 티셔츠 등의 아이템을 선호하였다. 향후 국적, 체형 등에 따른 착의실태 및 선호도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농촌 작업복 착용실태 및 선호도 연구 (Study of Rural Workwear Practices and Preferences)

  • 나승정;강하은;김은우;김윤재;문세라;차수정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3년도 제68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31권2호
    • /
    • pp.349-350
    • /
    • 2023
  • 본 연구는 농업 작업능률 향상에 적합한 작업복 개발을 위해 농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작업복 착용실태 및 선호도, 필요 기능 등을 조사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농촌의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농촌 작업복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추출하고자 한다. 작업복을 착용하는 경우가 많았고 작업복 미착용 시는 트레이닝복이나 아웃도어를 착용하였다. 작업복 색상은 검정과 남색 등 어두운 색을 주로 착용하였다. 동작 시는 엉덩이, 무릎 등이 당기고 상의가 올라가 허리가 나오거나 바지 뒤가 당겨 내려가는 경우가 많았다. 작업복은 통기성, 흡습성, 신축성에 대한 불만이 가장 많았고 기능성, 활동성, 디자인, 작업효율성, 쾌적성 등의 기능을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동작 분석을 통한 작업복 패턴을 개발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