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션텍스타일 디자인의 디지털화 연구 -디지털화에 따른 패션텍스타일 CAD디자인의 활용가치 연구-

A Study on Digitalization of Fashion Textile Design - A Study of Fashion Textile CAD Design According to Digitalization -

  • 강혜승 (단국대학교 산업디자인 패션전공) ;
  • 권민희 (안양과학대학교 패션텍스타일과)
  • 발행 : 2004.02.01

초록

패션텍스타일 산업의 미래를 제시할 수 있는 패션텍스타일 전용 CAD 시스템의 개발은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함께 가속화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문화 기반의 구축은 패션텍스타일 산업에서도 고부가가치의 상품개발과 신속한 생산체제의 변화가 요구되며, 이런 욕구에 충족할 수 있는 전용 프로그램들이 개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패션텍스타일의 변화와 디자인 시스템의 구성과 특징을 고찰하고 디지털 패션텍스타일 디자인 전개방법을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기존 그래픽프로그램과 차별화되어 개발되고 있는 창의적인 디지털 패턴디자인의 전개와 변형, 적합한 직물 텍스츄어의 표현, 3D모델링을 통한 시뮬레이션효과를 체계적으로 정립하였다. 패션텍스타일 CAD시스템의 활용을 디자인적 측면과 생산적인 측면으로 나누어 패션텍스타일 디자인 전용 CAD의 활용 가치를 높이는데 중점을 두었다.

With the advance of digital technology, development of exclusive CAD system for fashion textile that may suggest the future of fashion textile industry is increasingly accelerated. To build up the foundation of digital culture, it is required for fashion textile industry to develop goods with high value added and make rapid change of production system, and actually, exclusive programs are being developed to meet with the desire. Present study considers the vicissitude of fashion textile and the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design system, and compares and analyses a variety of design developments of digital fashion textile. And it systemizes the expansion and change of creative digital pattern designs that are developed differing from existing graphic program, the expression of suitable textile texture, and the simulation effect by three-dimension modeling. By separating the usage of CAD system for fashion textile into designing and producing aspects, it also focuses on increasing the usage of exclusive CAD system for fashion textil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