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패션한복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26초

K-POP 아이돌 그룹 신한복 스타일에 대한 글로벌 반응: 블랙핑크 패션 사례 (The global response to K-POP idol group's New Hanbok: The case of Black Pink Fashion)

  • 최영현;천탠이;이규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2호
    • /
    • pp.533-541
    • /
    • 2020
  • 본 연구는 K-POP 가수의 신한복 스타일에 대한 국내·외 소비자들의 반응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블랙핑크 한복'을 키워드로 포함하는 유튜브 영상과 사용자 댓글을 수집했으며, 소셜 네트워크 분석과 감성분석을 적용했다. 첫째, 블랙핑크의 신한복 스타일은 안무하기 편하도록 미니드레스 형태로 제작되었으며, 전통적 요소를 더해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블랙핑크의 신한복 패션에 대해 국내 반응에서는 노출에 대한 이슈가 논란이 된 키워드로 등장한 반면, 해외 반응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감성분석 결과 국내보다 해외 반응에서 신한복 스타일에 대해 더 긍정적인 평가를 보였다. 본 연구는 광범위한 소비자들의 반응을 알아보고 신한복에 대한 긍부정 요소를 파악하여, 신한복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의마가공용 폴리우레탄 수지를 이용한 견직물의 가공 (Silk Finishing with Polyurethane Resin used for the Linen-like Finishing)

  • Lee, Jung-Soon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7권12호
    • /
    • pp.1368-1373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견직물에 강경한 촉감을 부여하여 한복지 뿐만 아니라 현대의 패션경향에도 부합되는 소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견직물에 강경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의마가공용 폴리우레탄 수지를 이용하여 수지농도와 큐어링온도에 따른 수지부착율을 조사하였고, 여기에 수반되는 물리적 특성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또한 가공된 견직물의 세탁에 대한 내구성도 살펴보아 동시에 실용가능성도 검토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의마가공용 폴리우레탄 수지를 견직물에 처리할 경우 수지 농도가 증가할수록 수지 부착량이 증가하였다. 2. 열처리온도를 변화시켜 수지부착량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열처리 온도가 증가할수록 수지의 부착량이 감소하여 본 실험에 사용된 수지의 적정 열처리 온도가 160-18$0^{\circ}C$인 것을 고려해 볼 때 견직물의 경우 17$0^{\circ}C$의 열처리 온도가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3. 수지 처리된 견직물의 역학적 특성치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RT, EM, MIU값은 감소하는 경향을 가지며, LT, B, 2HB, G, 2HG, 2HG5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폴리우레탄 수지처리로 의마가공 효과를 갖는 견직물을 얻을 수 있었다. 4. 수지 처리된 견직물의 역학적 특성치는 물세탁 후에도 크게 변화가 없어 세탁에 대한 내구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남자 군인 방한복의 인간공학적 패턴 개발 (Development of Ergonomic Korean Male Military Winter Jacket)

  • 한현숙;한현정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943-961
    • /
    • 2018
  •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rgonomic Korean male military winter jackets (inner and outer) pattern. First, we developed a prototype pattern and sample jackets based on a previous investigation for fitness and motion suitability of Korean male military winter jackets and evaluated fitness and motion suitability by a wearing test. The evaluation results were positive with an over 3.0 (5.0 Likert scale) for both the inner and outer jacket. However, a relatively low score was shown in the sleeve length and collar front height at the inner jacket and shown in hem circumference, neck circumference, elbow and front neck at the outer jacket. Next, we developed the secondary pattern and sample jacket reflecting the prototype evaluation result and executed expert evaluation. The result showed that the ease amount was appropriate (except for the collar back height) and the appearance was good. Finally, we developed a final pattern that showed good results after evaluation at a Korean military army base.

느릅나무껍질과 꼭두서니 복합추출물을 이용한 천연염색 한복형 휴식복 디자인 (Design of Natural Dyeing Hanbok-Type Leisurewear Using Elm Bark and Rubia akane Nakai Composite Extracts)

  • 장현주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51-158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high-quality naturally dyed leisurewear with images of traditional Korean clothing that keeps a psychologically comfortable and physically pleasant environment at home and in vacation spots. The root bark of elm trees, the atopic skin, is also known to be effective for the relief of rhinitis and atopic diseases as well as stress and insomnia. However, there is insufficient color in the bark for the dyeing of fashion products, so to compensate for the lack of color, for dyeing purposes it was combined with a composite extract called Rubia akane Nakai resulting in a relatively bright red color. Except for the light fastness, all the fastnesses were rated 4 to 5, showing excellent results. Through complex dyeing using elm bark and pods extract the author produced four high-quality vests, one-piece, a gown, and jeogori-pantsuits of silk materials with Korean images that are suitable wear for relaxing comfortably at home and during breaks and which provide a comfortable and physically pleasant experience. The vest was made with the formal style of Bae-ja and Dang-eu, the dress is made of Cheok-lik, and the gown is made of Wonsam. It will be meaningful at a time when the importance of rest is increasing due to the healing clothes worn by busy modern people.

온라인 스타일링 게임 컨텐츠의 패션과 사용자 반응 - 한국전통복식 분석 - (Fashion style and user response to interactive online dressing games - Analysis of Korean traditional attire -)

  • 최영현;이규혜
    • 복식문화연구
    • /
    • 제28권4호
    • /
    • pp.420-428
    • /
    • 2020
  • This study analyzed the expression of hanbok in online fashion styling games, and examined the main themes of and user reactions to hanbok fashion styling games through semantic network analysis and sentiment analysis. KrKwic, Textom, and NodeXL were used for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depending on the designer's expressive method, hanbok fashion styling games provide typical traditional hanbok, modern hanbok, and dress-like fusion hanbok, demonstrating contents with various themes for different sexes, classes, and situation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hemes of hanbok-related styling game contents, it turned out that the main themes are tradition, color, historical drama, fusion hanbok, holiday, and love. Most of them produce modernized hanbok that reflect the situation and utility rather than strictly traditional one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user reviews of hanbok styling game contents, positive factors mostly turned out to be the satisfaction of the hanbok contents, with the users also showing positive intent to wear hanbok. Through this, it was found out that hanboks portrayed in game contents could potentially cause the user's positive intent to wear hanbok. Negative factors turned out to be the discordance between the intrinsic image of hanbok and the game character's image.

18세기 초 상류층 여아복식 재현 콘텐츠 연구 - 여의(女衣)와 치마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appearance of upper-class girls' costume contents in early 18th century - Focusing on the yeoui(女衣) and skirt -)

  • 최정
    • 복식문화연구
    • /
    • 제30권2호
    • /
    • pp.281-296
    • /
    • 2022
  • This study is designed to compensate for the lack of children's clothing relics from the early 18th century and to reproduce young upper-class girls' costume as hanbokcontent. The shapes and materials of costumes are based on the record of 『Sukjong-silrok』 in 1701 and the characteristics of adult ladie's costume relics in this period, but reproduced as miniatures of these relics as like Joseon children's clothing of another period. The reproduced costumes are formal wear for 3~4 year-old girls, consisting of yeoui [女衣], long unlined skirts, and lined skirts. Sizes were set at a height ratio of approximately 155:95. Yeoui is sam-hoejang-jeogori using pine pollen-colored damask with a grape-squirrel pattern and a purple damask with flower-treasure pattern. The full length of yeoui is 24.5cm. It has a square-dangko outer collar with square inner collar. The long unlined skirt is a six-width overskirt that is 82cm long, made with lotus patterned sa. The lined skirt is a five-width skirt that is 61.3cm made with flower-treasure patterned red damask and ju. Several long pleats on both sides of these two skirts have been omitted. The result provides meaningful content for children's clothing in the early 18th century and will be used as costume for an educational trial performance.

한류 문화상품으로써의 아동복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작품 제작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Clothing Design as a Cultural Korean Wave Product -Focusing on the Production Work)

  • 변미연;백민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7485-7493
    • /
    • 2015
  • 한류의 활성화에 따라 한류 관광객을 위한 문화 상품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현존하는 상품들은 연예인 캐릭터의 생활용품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실용성이 가미된 의류제품의 문화상품은 현저히 그 수가 적다. 특히 아동복과 관련된 문화상품은 거의 개발되지 않았으며, 소수의 상품은 기본 티셔츠에 그래픽 또는 전통한복이 주를 이루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중국인들의 소비 패턴과 한류 문화상품을 적용시켜 볼 때, 한류 문화 상품으로써의 아동복이 개발 된다면 한류의 활성화 및 국내 패션시장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류 문화상품으로써의 아동복 디자인을 개발하여 실증적인 연구 결과물을 제시하고자 하며 다음의 연구목적을 수행하고자 한다. 첫째, 한류 문화상품의 개념을 파악하고 이들의 현황을 분석하여 현 시점의 한류 문화상품 개발을 위한 데이터를 구축하고자 함이며 둘째, 디자인 개발을 통한 실물작품을 제작하여 한류 문화 상품 시장에 실증적 자료로 제공하고자 함이다. 연구방법 및 내용으로는 선행연구 리뷰 및 질적 연구를 위한 일대일 심층 면접, 시장조사와 작품 개발의 실증적 연구로 진행하였으며, 최종 연구결과물인 4벌의 작품을 통해 소비자 니즈를 만족할 수 있는 한류 문화상품 아동복을 실증적 자료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패션 시장 및 문화상품 시장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중국 소비자 니즈 분석을 위한 참고자료로 그 의의가 있다.

스토리텔링에 의한 판소리 발레극 '도깨바! 도깨바!'의 무대의상 연구 (A Study on the Stage Costume of Pansori Ballet Theater 'Dokkaeba! Dokkaeba!' Based on Storytelling)

  • 유진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3호
    • /
    • pp.399-406
    • /
    • 2023
  • 본 연구의 배경은 한류의 확산으로 주목되는 공연 콘텐츠 개발에 있어서 전통 소재가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으며 창작과정에서 스토리텔링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판소리 발레극 '도깨바! 도깨바!'의 공연창작 과정에 스토리텔링을 도입함으로써 나타나는 차별화된 무대의상 디자인을 살펴보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안무가, 작가, 의상 디자이너가 작품 기획부터 작품 내용 창작까지 스토리텔링 과정에 공동으로 참여하였으며, 그 결과로 한국적 도깨비는 초월적인 힘을 가진 신적 존재이면서 동시에 인간이나 사물의 모습으로도 나타나는 일상적이고 친근한 존재로 정의되었다. 그리고 공동으로 창작한 시나리오에 따라서 디자인 된 무대 의상은 기존의 공연에서 뿔이나 장식으로 표현하던 '귀면와'나 '오니'를 연상시킬 수 있는 도깨비의 모습을 지양하고, 퓨전한복과 다양한 조형적인 장신구, 색채 대비를 통한 모던 창작 의상, 질감에 의한 간접적인 사물에 빙의한 도깨비 캐릭터 표현, 일상복 착장 등으로 인간화 된 도깨비를 표현함으로써 차별화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의의는 도깨비를 주제로 한 새로운 공연 콘텐츠 제작에 기여하고 무대의상 디자인의 다양한 방향성을 제안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