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파라미터 불안정

검색결과 73건 처리시간 0.027초

수치적 실험에 의한 위성 내부 유동체의 안정-불안정 영역 판별 (DETERMINATION OF GLOBAL STABILITY OF THE SLOSH MOTION IN A SPACECRAFT VIA NUMERICAL EXPERIMENT)

  • 강자영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20권4호
    • /
    • pp.351-358
    • /
    • 2003
  • 회전안정화 로켓 모터를 이용하는 우주 비행체의 자세 불안정 현상을 수치적 실험을 통하여 연구하였다. 이전 연구에서는 해석적 방법을 통하여 주어진 우주 비행체에 대한 정상해를 구하고 실제 발생했던 공진과 유사한 공진조건을 찾았으나 정상해 근방에서의 안정도 또는 파라미터 공간 전역에서의 안정도가 어떻게 변하는 지를 알 수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전 연구결과를 기초로 하여 주어진 파라미터 공간 전역에서 수치적 실험을 통하여 유동체의 파라미터 값에 따라 위성체의 자세 안정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관찰하고, 시스템 설계에 필요한 파라미터들의 안정/불안정 영역을 결정하였다.

PERTURBATION 방법을 이용한 회전안정화 우주비행체 내부 유동의 안정-불안정 영역 결정 (DTERMINATION OF STBLE-UNSTABLE REGIONS OF THE SLOSH MOTION IN SPINNING SPACE VEHICLE BY PERTURBATION TECHNIQUE)

  • 강자영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22권4호
    • /
    • pp.513-526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회전안정화 우주비행체 내부에 탑재된 유동질량의 운동을 보다 광범위한 파라미터 영역에 대해 해석하고, 관련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적정한 설계 기준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문제의 해석을 위해 perturbation 기법을 이용하였고, 그 결과로 파라미터 공간에서의 안정-불안정 영역을 결정할 수 있는 Ince-Strutt 선도를 구하였다. 해석 방법 및 확보된 결과의 적정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선도에서 취한 여러 파라미터 값에 대한 수치적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유동체 운동의 위상평면 분석을 통하여 수행된 해석 과정 및 결과가 적정한 것으로 입증되었으며, 회전 비행체에 탑재된 유동질량의 운동은 파라미터 값의 선택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의 안정-불안정 현상을 유발함을 알 수 있었다.

2차저항 동정기에 의한 유도전동기의 정밀위치제어 (Accuracy Position Control using Secondary Resistance Identifier in Induction Motor Drive)

  • 윤병도;정재륜;김춘삼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지:조명전기설비
    • /
    • 제7권5호
    • /
    • pp.36-42
    • /
    • 1993
  • 최근 반도체기술의 발달과 마이크로프로세서 제어기술의 발달로 유도전동기의 정밀제어가 가능해졌다. 유도전동기로서 고 응답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주로 벡터제어방식을 도입하였다. 그러나 시스템이 모터 파라미터의 변화에 따라서 성능이 저하되거나 또는 불안정해질 수 도 있다. 특히 모터 파라미터변화의 하나로서 온도상승에 따른 모터 2차저항값의 변화는 시스템 성능에 심한 영향을 끼친다. 본 논문에서는 이에 대한 대책으로 파라미터를 동정하는 벡터제어방식을 연구하였다. 유도전동기의 2차저항을 동정하기 위해서 2차쇄교자속상의 1차전류에 교류분을 중첩시키는 것이 필요하였으며 동정시점의 결정은 2차전류가 정격의 1.5배에서 1분 경과한 때를 동정의 시점으로 하였다. 동정알고리즘은 등가 피이드백계를 도출하고 그것을 이용해 안정성이 확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본 논문에서는 온도변화가 클 경우에만 모터 파라미터를 동정하여 제어 파라미터를 수정하므로써 정밀도의 향상뿐만 아니라 속응성의 향상도 기대할 수 있다.

  • PDF

KTX 제동디스크-패드의 상호작용에 의한 불안정 진동모드 해석 (Analysis of Unstable Vibration Modes due to KTX Brake Disc/Pad Interaction)

  • 구병춘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6권4호
    • /
    • pp.253-261
    • /
    • 2013
  • KTX 열차가 정거장에서 정차 시 측정한 제동 스퀼소음은 저주파에서부터 18,000Hz의 고주파 영역에 걸쳐 관찰되었다. 제동 스퀼소음이 제동디스크/패드의 상호작용에 의한 불안정 진동모드에 의해 발생한다는 가정 하에 유한요소법을 적용하여 하나의 제동디스크와 4개의 제동패드로 구성된 제동 유니트에 대해 유한요소 모델링을 하고 마찰계수, 마찰면에 작용하는 압력, 마찰재와 백플레이트의 탄성계수 등 여러 파라미터의 특성값을 변경해 가면서 제동 유니트의 불안정 진동모드에 미치는 영향을 해석하고 각 파라미터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해석결과에 의하면 불안정 진동모드는 이러한 변수들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뉴럴네트워크를 이용한 불안정 공정의 탐지 및 인식 (Neuro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of nonstationary manufacturing processes)

  • 허정준;김광섭;왕지남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산업공학회/한국경영과학회 1995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논문집; 전남대학교; 28-29 Apr. 1995
    • /
    • pp.572-584
    • /
    • 1995
  • 공정으로부터 얻어지는 공정특성치는 일반적으로 시계열로 모형화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공정의 상태변화 감지는 공정을 묘사하는 시계열 모형의 출력에 대한 통계적 분석이나 모형을 형성하고 있는 파라미터들에 대한 감시를 통하여 가능하게 된다. 공정의 상태변화를 감시하기 위한 기존의 방법들은 공정 모형의 구조나 파라미터가 알려져 있거나 가정한 방법론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공정변화의 원인을 진단하거나 변동형태 또는 변동시점의 감지에 있어 통계적인 분포가 알려지지 않은 경우나 동적구조를 가진 데이터의 변동감지에는 많은 제약이 존재한다. 또한, 실제로 동적으로 변화하는 공정의 모형구조와 파라미터를 모든 경우에 파악하여 사전에 특정 시계열 모형으로 가정하기는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공정으로부터 얻어지는 데이터들을 뉴럴 모형화하여 이들의 이노베이션(innovation)에 대한 연속적인 검정을 통하여 공정의 상태변화를 감지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새롭게 변화된 공정모형의 파라미터 집합에 대한 규명을 특정 시계열 모형을 가정하지 않은 일반화된 모형들에 대한 분류를 통하여 실시하였다.

  • PDF

파라미터 오차 보상을 통한 3상 BLDC 전동기의 DC 전류 모델 기반 센서리스 제어 (DC current model based 3 phase BLDCM sensorless control through Parameter error Compensation)

  • 지종성;문종주;박상우;김장목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5년도 전력전자학술대회 논문집
    • /
    • pp.341-342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파라미터 오차 보상을 통한 3상 BLDC 전동기의 DC 전류 모델 기반의 센서리스 제어 방식을 제안한다. 기존의 DC 전류 모델 기반의 센서리스 제어 방식은 상 전환 구간마다 발생하는 실제 전류와 모델 전류의 오차로 인해 추정한 역기전력과 속도, 위치에 오차가 그대로 나타난다. 이 오차 성분을 줄이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기계 방정식을 이용하여 개선된 역기전력 추정 식을 제안하였다. 또한 개선된 역기전력 추정 식에 파라미터에 오차가 없다면 센서리스 제어가 가능하지만, 오차가 존재한다면 센서리스 제어가 불안정해진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파라미터 오차 보상 알고리즘도 제안하였다. 제안한 방법은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하였다.

  • PDF

구동기의 성능 한계를 고려한 구조물의 진동제어 알고리듬의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Structural Vibration Control Algorithm Considering the Performance Limit of Actuator)

  • 임채욱;정태영;문석준;김광준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4권2호
    • /
    • pp.25-36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구조물이 과도한 기진력을 받을 때에 구조물의 진동 제어를 위하여 제안 되어진 여러 가지 포화 제어 알고리듬들의 유용성을 실제적인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제안된 포화 제어 알고리듬 중세서 수정된 뱅뱅 제어 알고리듬이 매우 유용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이는 제어력 파형 결정 파라미터의 어떤 범위내에서만 효과적이며 그 범위를 넘어서는 경우에 있어서는 제어기를 불안정하게 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수정된 뱅뱅 제어 알고리듬의 적용시에 과도한 외부 기진력에 대하여 제어기의 안정적인 작동에 의한 구조물의 진동제어효과를 얻기 위해서 제어력 파형 파라미터를 과도 기진력의 크기에 따라 변화시키는 적응형의 방법을 제안하였고 이의 유용성을 수치실험 및 유압식 질량 감쇠기를 장착한 축소 구조물 검증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 PDF

QFT(Quantitative Feedback Theory)를 이용한 불안정한 시스템의 안정화를 위한 강인 제어기 설계 (A Design of the Robust Controller for Stabilization of the Unstable System Using QFT(Quantitative Feedback Theory))

  • 강민구;변기식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2권3호
    • /
    • pp.57-64
    • /
    • 2001
  • 본 논문은 시스템의 불확실성과 외란의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원하는 시스템 성능을 만족할 수 있는 강인한 제어기 설계에 대하여 서술한다. QFT(Quantitative Feedback Theory)에 근거한 강인한 제어기 설계과정은 시스템 파라미터 변동과 설계사양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템플레이트, 한계조건 그리고 루프형성을 거친다. 설계된 제어기의 성능을 입증하기 위해 파라미터 변동에 매우 민감하고, 비선형성이 강하며 불안정한 특성을 지닌 도립진자시스템에 대하여 적용한다. 설계된 제어기에 대한 시뮬레이션과 실험결과들은 파라메파 변동과 외란에 강인한 제어성능을 보인다.

  • PDF

전압안정도 향상을 위한 FACTS의 적용과 Bifurcation이론 해석 (FACTS Application for the Voltage Stability with the Analysis of Bifurcation Theory)

  • 주기성;김진오
    • 전력전자학회논문지
    • /
    • 제5권4호
    • /
    • pp.394-402
    • /
    • 2000
  • 본 논문온 전압안정도에 Brfurcation 이론을 적용하여 해석하고, FACTS기가인 SVC와 UPFC를 전력계통에 연계하였을 때 전압안정도가 향상되는 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전압안정도는 일반적으로 시스템 파라미터(유효전력 또는 무효전력}를 포행하는 고도의 비선형 동적시스템의 식들에 의해 표현된다. 때때로 전력계통에서의 파라미터 변이는 시스템 불안정을 일으키는 복잡한 동작을 일으킬 수도 있다. 전력계통에서의 FACTS의 연계는 이러한 전압안정도의 범위를 증가시킨다. FACTS를 이용하여 불안정한 HopF Bifurcation과 Saddle Node Bihlfcation을 지연시킴에 의해서 전압안정도기 향상됨을 사례연구를 통하여 입증하였다.

  • PDF

로켓 연소기의 동압 진폭엔벨롭을 이용한 안정성 해석 (Stability Analysis Using the Amplitude Envelope of Dynamic Pressure in the Rocket Combustor)

  • 이수용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42-49
    • /
    • 2021
  • 얼마나 쉽게 연소불안정 해지는지에 대한 척도로서, 작동 안정성 여유를 예측하기 위해 로켓연소기시스템의 열음향 불안정을 검토하였다. 연소기 시스템의 동적거동 특성파악을 위해 연소성능시험 중 측정한 연소기의 동압 데이터를 바탕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시스템이 안정해지는지를 결정하는 파라미터로서 성장속도 계수를 구하였다. 파라미터 추출은 시계열 압력데이터를 주파수 도메인으로 전환하여 관심모드의 성장속도나 감쇠계수를 도출하는 방법을 우선 검토하였으며, 스토캐스틱 해석의 경우에는 압력진동의 진폭 엔벨롭으로 부터 압력진폭 PDF를 추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