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팀효과성

검색결과 407건 처리시간 0.03초

연구개발팀의 다양성이 팀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갈등과 변혁적 리더십의 역할

  • 김진용;송찬후
    • 한국기술혁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기술혁신학회 2014년도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5-19
    • /
    • 2014
  • 최근 팀 다양성이 팀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주목을 받고 있으나 팀 다양성이 팀 창의성으로 발현되는 과정과 팀 다양성의 조건 하에서 팀 창의성이 촉진되는 조건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으로 이뤄졌다. 국내 24개의 연구개발팀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팀 다양성, 특히 정보다양성이 팀 창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증명하였다. 또한, 팀 구성원간 갈등은 팀 다양성과 창의성 사이에서 유의한 매개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변혁적 리더십은 정보다양성과 직무 갈등 사이에서 부(-)의 조절효과를 보였다. 예컨대, 변혁적 리더십이 강하면 정보다양성이 높은 팀일수록 직무 갈등이 낮게 나타났다. 저자는 팀 다양성과 창의성 사이에서 갈등의 조절효과를 증명하기 위해서는 특히 동양권 국가에서 보다 면밀한 측정 방법이 요구되며 팀 다양성이 주는 가치(value in diversity)를 높일 수 있는 잠재적 매개변수의 탐색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 PDF

국내 벤처창업팀의 인적 다양성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박계현;김도현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21-125
    • /
    • 2018
  • 지금까지는 창업자 개인의 특성이나 경험을 바탕으로, 창업기회 포착과 성과를 다룬 다수의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최근 학자들은 Entrepreneurship이 개인보다는 팀이 수행하는 업무이며, Entrepreneurial Team의 역동성이 Entrepreneurship 연구에 새로운 통찰력을 추가한다는 점을 재차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새로운 팀을 구성하는 데 있어 팀의 다양성 수준을 어느 정도로 하는 것이 적절한지, 어떻게 팀을 조화롭게 구성할 것인지에 대한 것이 중요한 의사결정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벤처창업팀의 인적구성 다양성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팀 구성원들 각자가 가진 속성의 차이에 따라 팀 다양성의 영향력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며 이는 곧 성과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또한 다양성에 관한 국내 연구들은 다양성과 성과에 대한 직접 효과에 대한 분석 중심으로, 조절효과에 대한 다양한 분석은 관련 연구가 부족한 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팀 다양성과 성과 간의 관계를 과업 상호의존성과 환경 불확실성의 조절효과를 통해 분석함으로써 기존 연구와 차별점을 갖는 것이다. 조직 내 다양성의 혼재된 영향력을 명확히 이해하기 위해 인적자본 및 사회적 자본 이론을 통해 살펴보고, 이를 통해 벤처기업의 인력구성 및 관리적 측면에서 다양성이 어떠한 상황에서 성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전략적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 PDF

팀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이 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공유리더십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Team Leader's Facilitation Competency on the Team Effectiveness: Mediating Effects of the Shared Leadership)

  • 이명희;정기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243-257
    • /
    • 2021
  • 본 연구는 팀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과 팀 효과성의 관계에서 공유리더십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했고, 이를 위해 팀제를 운영하는 조직의 구성원 37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팀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의 하위요인인 커뮤니케이션 및 참여 분위기 조성은 팀 효과성(팀 성과, 팀 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과업 및 조직화는 팀 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팀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의 커뮤니케이션 및 참여 분위기 조성, 과업 및 조직화 모두 공유 리더십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유리더십은 팀 효과성(팀 성과, 팀 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공유리더십은 팀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과 팀 효과성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이 확인됐다. 본 연구는 팀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과 다른 변인들 간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퍼실리테이션 연구를 이론적으로 확장하고, 현대 조직에서 요구하는 리더와 구성원의 역할과 역량에 대한 방향을 제안하여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대학도서관 팀제 운영방식이 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An Empirical Study on the Impacts of the Team-Based Organization Characteristics on Team Effectiveness in the University Library)

  • 윤혜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3-40
    • /
    • 2004
  • 본 연구는 팀제를 실시하고 있는 전국의 대학도서관을 대상으로 팀제의 운영방식(도입과정, 팀원의 재량권, 팀장의 리더십, 팀의 자유로운 의사소통, 도서관장의 의지)이 팀 효과성(환경적응성, 직무만족, 팀 분위기, 비용절감)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분석을 위한 데이터는 대학도서관의 직원으로부터 회수된 설문지를 기초로 하였다. 연구결과 팀제의 운영방식 중 도입과정과 도서관장의 의지는 팀의 효과성 가운데 환경적응성, 직무만족, 비용절감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의사소통은 직무만족과 팀의 분위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IT 활용이 지식 네트워크의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사회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 서아영;신경식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정보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12-325
    • /
    • 2008
  • 지식 네트워크 (knowledge network) 구축은 지식의 재사용을 통하여 조식의 효율성을 개선시키고 지식 레버리지를 통하여 혁신을 촉진한다는 점에서 지식관리의 핵심적 요소이다. 본 연구는 (1) 개인이 집단 내 외에서 맺고 있는 지식 네트워크가 팀의 객관적, 주관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고, (2) IT 활용이 지식 네트워크의 효과성을 어떻게 조절하는 가에 대해서 실증 함으로써, (3) 지식 네트워크 구축, IT 활용, 그리고 팀 성과 간의 관계에 대하여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사회 네트워크 이론을 바탕으로 지식 네트워크의 집단 내부 결속과 외부 매개성을 통합하는 이론적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 국내 5개 컨설팅 업체의 172명의 컨설턴트와 42개 프로젝트 팀을 대상으로 사회 네트워크 분석 (Social Network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지식 네트워크의 내부 결속(네트워크의 밀도)과 팀 성과의 선형적인 관계를 지지하였으며, 외부 매개성은 직접적으로 팀 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팀 수준의 IT 활용 (공동체적인 컴퓨터 매체의 활용)과 상호작용을 통해서 팀의 성과를 실질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IT 활용이 지식 네트워크의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사회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 서아영;신경식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정보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71-584
    • /
    • 2008
  • 지식 네트워크 (knowledge network) 구축은 지식의 재사용을 통하여 조식의 효율성을 개선시키고 지식 레버리지를 통하여 혁신을 촉진한다는 점에서 지식관리의 핵심적 요소이다. 본 연구는 (1) 개인이 집단 내 외에서 맺고 있는 지식 네트워크가 팀의 객관적, 주관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고, (2) IT 활용이 지식 네트워크의 효과성을 어떻게 조절하는 가에 대해서 실증함으로써, (3) 지식 네트워크 구축, IT 활용, 그리고 팀 성과 간의 관계에 대하여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사회 네트워크 이론을 바탕으로 지식 네트워크의 집단 내부 결속과 외부 매개성을 통합하는 이론적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 국내 5개 컨설팅 업체의 172명의 컨설턴트와 42개 프로젝트 팀을 대상으로 사회 네트워크 분석 (Social Network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지식 네트워크의 내부 결속(네트워크의 밀도)과 팀 성과의 선형적인 관계를 지지하였으며, 외부 매개성은 직접적으로 팀 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팀 수준의 IT 활용 (공동체적인 컴퓨터 매체의 활용)과 상호작용을 통해서 팀의 성과를 실질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이슈리더십과 성과 간의 관계에서 상사지원의 조절효과 검증 -팀원의 이슈리더십을 중심으로- (A Test of Moderating Effect of Superior Support Between Issue Leadership and Performance: With an Emphasis on Team Member's Issue Leadership)

  • 신성현;백기복;최지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463-476
    • /
    • 2015
  • 전통적인 리더십 이론들은 공식적 권한을 가진 직책자를 리더로 전제해 왔다. 그러나 최근의 경영환경은 비직책자인 팀원도 리더십을 발휘해야하는 상황에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팀원의 리더십과 그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했다. 또한 팀원의 이슈리더십 행동의 강도를 조절하는 요인으로서 상사지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비직책자인 팀원의 이슈리더십은 오디언스의 리더수용과 팀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팀원의 이슈리더십과 리더수용 간의 상사지원의 조절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 이슈리더십과 팀 성과 간의 상사지원 조절효과는 부(-)적인 관계임을 새로 발견 했다. 본 연구는 팀원의 리더십과 그 효과성을 실증하고, 일반적인 기대와는 달리 상사의 지원이 오히려 팀원의 리더십 발휘를 저해하는 요인임을 발견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팀제구성원의 가치 다양성이 팀정체성과 갈등에 미치는 영향: 포용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value diversity on team indentity and team conflict)

  • 김영형;김혜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1호
    • /
    • pp.163-171
    • /
    • 2016
  • 팀 구성원의 다양성이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다양하기 때문에 기업은 팀 다양성의 효과 및 다양성 관리방법에 대해 관심을 가져야 한다. 즉, 기업은 다양성의 결과뿐만 아니라 다양성의 긍부정의 효과를 극대화 혹은 최소화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고민해봐야 한다.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팀 구성원의 가치 다양성이 팀 정체성과 팀 내 갈등에 미치는 긍정과 부정의 영향을 살펴보고, 이들 긍부정의 영향관계에서 포용적 조직 분위기가 조절역할을 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4개의 가설을 개발하고 개발된 가설은 단순 회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가치 유사성은 팀 정제성에 정(+)의 영향, 그리고 팀 내 갈등에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포용적 조직 분위기가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증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실무적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점 및 미래 연구 방향 등을 제시하였다.

신제품개발팀에서 사회적․과업 응집성과 기술혁신 성과간의 관계 : 팀 창의성 지원 풍토의 조절효과 (The Effects of Social․Task Cohesion on Technological Innovation in New Product Development Team: Moderating Role of Climate for Creativity Support to Team)

  • 김학수;이준호;한준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717-724
    • /
    • 2014
  • 팀 응집성은 양날의 검처럼 정적 부적 효과가 있다는 논쟁에도 불구하고, 실증 연구들은 팀 응집성의 긍정적 측면을 부각하였다. 본 연구는 팀 응집성을 관계를 강조하는 사회적 응집성과 과업을 강조하는 과업 응집성으로 구분하고, 창의적 긴장에 의해 창출되는 기술혁신 성과를 결과변수로 본다면, 팀 응집성의 정적 부적 효과에 대한 논쟁을 실증적으로 규명할 수 있다고 보았다. 또한 응집성은 동질성을 강조하므로, 다양한 사고를 촉진시키는 팀 창의성 지원 풍토는 사회적 응집성의 부적 효과를 완화시키고, 과업 응집성의 정적 효과를 강화시킬 것으로 보았다. 205개의 신제품개발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기술혁신 성과에 대해 사회적 응집성의 부적 영향(${\beta}$=-.19, p<.01), 과업 응집성의 정적 영향(${\beta}$=.18, p<.05), 사회적 응집성과 팀 창의성 지원 풍토의 정적 상호작용효과(${\beta}$=.14, p<.10) 및 과업 응집성과 팀 창의성 지원 풍토의 정적 상호작용효과(${\beta}$=.16, p<.05)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가 노인을 위한 사례관리 서비스의 효과성 연구 - 팀접근 모델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Team Approach In Case Management Service for the Elderly in Puchon : A Pretest-Posttest Study)

  • 정순돌;고미영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4권
    • /
    • pp.273-294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복합하고 다양한 문제를 가지고 있는 재가노인의 욕구충족을 위해 사례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사례관리모델은 팀접근 모델이며, 이는 사례관리팀을 이루어 그 안에서 수퍼비전을 제공하고, 인력활용이 이루어지는 형태이다. 수퍼비전은 지역 사회 내에서 활동하는 전문가들로 조직된 팀에서 제공하고, 서비스는 주요사례관리자와 준전문가로 구성된 활동가팀에서 담당하였다. 준전문가는 1주일에 한 번 노인클라이언트의 가정에 방문하여 노인의 상황을 모니터링 하였으며, 주요사례관리자는 상담 제공과 지역사회 자원을 연결하였다. 비동일 통제집단설계를 사용해 6개월간 제공된 팀접근 사례관리 서비스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는데, 사용된 도구는 삶의 질과 삶의 만족도였다. 실험집단 노인 30명에게 사례관리 서비스를 실시한 결과 삶의 질과 삶의 만족도는 부분적으로 사전사후 점수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팀접근 사례관리 서비스의 효과성이 입증되었다. 비교집단의 노인 28명은 일상적인 재가복지서비스를 받게 하였으며, 사전사후 점수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팀접근 사례관리 서비스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