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팀효과성

Search Result 407, Processing Time 0.03 seconds

연구개발팀의 다양성이 팀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갈등과 변혁적 리더십의 역할

  • Kim, Jin-Yong;Song, Chan-Hu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4.10a
    • /
    • pp.5-19
    • /
    • 2014
  • 최근 팀 다양성이 팀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주목을 받고 있으나 팀 다양성이 팀 창의성으로 발현되는 과정과 팀 다양성의 조건 하에서 팀 창의성이 촉진되는 조건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으로 이뤄졌다. 국내 24개의 연구개발팀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팀 다양성, 특히 정보다양성이 팀 창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증명하였다. 또한, 팀 구성원간 갈등은 팀 다양성과 창의성 사이에서 유의한 매개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변혁적 리더십은 정보다양성과 직무 갈등 사이에서 부(-)의 조절효과를 보였다. 예컨대, 변혁적 리더십이 강하면 정보다양성이 높은 팀일수록 직무 갈등이 낮게 나타났다. 저자는 팀 다양성과 창의성 사이에서 갈등의 조절효과를 증명하기 위해서는 특히 동양권 국가에서 보다 면밀한 측정 방법이 요구되며 팀 다양성이 주는 가치(value in diversity)를 높일 수 있는 잠재적 매개변수의 탐색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 PDF

국내 벤처창업팀의 인적 다양성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 Park, Gye-Hyeon;Kim, Do-Hyeo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8.11a
    • /
    • pp.121-125
    • /
    • 2018
  • 지금까지는 창업자 개인의 특성이나 경험을 바탕으로, 창업기회 포착과 성과를 다룬 다수의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최근 학자들은 Entrepreneurship이 개인보다는 팀이 수행하는 업무이며, Entrepreneurial Team의 역동성이 Entrepreneurship 연구에 새로운 통찰력을 추가한다는 점을 재차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새로운 팀을 구성하는 데 있어 팀의 다양성 수준을 어느 정도로 하는 것이 적절한지, 어떻게 팀을 조화롭게 구성할 것인지에 대한 것이 중요한 의사결정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벤처창업팀의 인적구성 다양성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팀 구성원들 각자가 가진 속성의 차이에 따라 팀 다양성의 영향력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며 이는 곧 성과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또한 다양성에 관한 국내 연구들은 다양성과 성과에 대한 직접 효과에 대한 분석 중심으로, 조절효과에 대한 다양한 분석은 관련 연구가 부족한 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팀 다양성과 성과 간의 관계를 과업 상호의존성과 환경 불확실성의 조절효과를 통해 분석함으로써 기존 연구와 차별점을 갖는 것이다. 조직 내 다양성의 혼재된 영향력을 명확히 이해하기 위해 인적자본 및 사회적 자본 이론을 통해 살펴보고, 이를 통해 벤처기업의 인력구성 및 관리적 측면에서 다양성이 어떠한 상황에서 성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전략적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 PDF

The Effect of Team Leader's Facilitation Competency on the Team Effectiveness: Mediating Effects of the Shared Leadership (팀 리더의 퍼실리테이션 역량이 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공유리더십의 매개효과)

  • Lee, Myung-Hee;Jung, Ki-So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1 no.1
    • /
    • pp.243-257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shared leadership between team leader's facilitation competency and team effectiveness.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377 members in the team-operated organiza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26.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communication and creating of participation climate as a subcomponent of team leader's facilitation competency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team effectiveness(team performance, team commitment). Also the task and systematization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team commitment. Secondly, not only communication and creating of participation climate of team leader's facilitation competency but also task and systematization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the shared leadership. Thirdly, the shared leadership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team effectiveness(team performance, team commitment). Lastly, the shared leadership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m leaders' facilitation competency and team effectiveness was confirmed to have a partially mediated effec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theoretically expanded the facilitation research by fi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eam leaders' facilitation competency and other variables as well as suggested practical implications by presenting directions for the roles and competencies of leader and member required by the modern organization.

An Empirical Study on the Impacts of the Team-Based Organization Characteristics on Team Effectiveness in the University Library (대학도서관 팀제 운영방식이 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Yoon, Hye-Young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35 no.4
    • /
    • pp.23-40
    • /
    • 2004
  •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team characteristics(introduction of the team approach team empowerment, leadership of team leaders, open communication director's commitment) on team effectiveness (adaptability to the environments, job satisfaction the positive team culture, cost efficiency) in university libraries. The study used a survey design with a questionnaire to staffs who worked at f academic libraries in South Korea. The major findings from the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The well-prepared introduction of team approach and director's strong commitment were positively related to the team effectiveness variables such as adaptability to environment, job satisfaction, and cost efficiency.

  • PDF

IT 활용이 지식 네트워크의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사회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 Seo, A-Yeong;Sin, Gyeong-Sik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6a
    • /
    • pp.312-325
    • /
    • 2008
  • 지식 네트워크 (knowledge network) 구축은 지식의 재사용을 통하여 조식의 효율성을 개선시키고 지식 레버리지를 통하여 혁신을 촉진한다는 점에서 지식관리의 핵심적 요소이다. 본 연구는 (1) 개인이 집단 내 외에서 맺고 있는 지식 네트워크가 팀의 객관적, 주관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고, (2) IT 활용이 지식 네트워크의 효과성을 어떻게 조절하는 가에 대해서 실증 함으로써, (3) 지식 네트워크 구축, IT 활용, 그리고 팀 성과 간의 관계에 대하여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사회 네트워크 이론을 바탕으로 지식 네트워크의 집단 내부 결속과 외부 매개성을 통합하는 이론적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 국내 5개 컨설팅 업체의 172명의 컨설턴트와 42개 프로젝트 팀을 대상으로 사회 네트워크 분석 (Social Network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지식 네트워크의 내부 결속(네트워크의 밀도)과 팀 성과의 선형적인 관계를 지지하였으며, 외부 매개성은 직접적으로 팀 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팀 수준의 IT 활용 (공동체적인 컴퓨터 매체의 활용)과 상호작용을 통해서 팀의 성과를 실질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IT 활용이 지식 네트워크의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사회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 Seo, A-Yeong;Sin, Gyeong-Sik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6a
    • /
    • pp.571-584
    • /
    • 2008
  • 지식 네트워크 (knowledge network) 구축은 지식의 재사용을 통하여 조식의 효율성을 개선시키고 지식 레버리지를 통하여 혁신을 촉진한다는 점에서 지식관리의 핵심적 요소이다. 본 연구는 (1) 개인이 집단 내 외에서 맺고 있는 지식 네트워크가 팀의 객관적, 주관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고, (2) IT 활용이 지식 네트워크의 효과성을 어떻게 조절하는 가에 대해서 실증함으로써, (3) 지식 네트워크 구축, IT 활용, 그리고 팀 성과 간의 관계에 대하여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사회 네트워크 이론을 바탕으로 지식 네트워크의 집단 내부 결속과 외부 매개성을 통합하는 이론적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 국내 5개 컨설팅 업체의 172명의 컨설턴트와 42개 프로젝트 팀을 대상으로 사회 네트워크 분석 (Social Network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지식 네트워크의 내부 결속(네트워크의 밀도)과 팀 성과의 선형적인 관계를 지지하였으며, 외부 매개성은 직접적으로 팀 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팀 수준의 IT 활용 (공동체적인 컴퓨터 매체의 활용)과 상호작용을 통해서 팀의 성과를 실질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Test of Moderating Effect of Superior Support Between Issue Leadership and Performance: With an Emphasis on Team Member's Issue Leadership (이슈리더십과 성과 간의 관계에서 상사지원의 조절효과 검증 -팀원의 이슈리더십을 중심으로-)

  • Shin, Sung-Hyun;Baik, Ki-Bok;Choi, Ji-S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5 no.6
    • /
    • pp.463-476
    • /
    • 2015
  • Until now most of the leadership studies have been focused to managers having in formal authority. However, in the recent business environment, team member should also demonstrate his leadership. H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has been focused to the team member's leadership and their leadership effectiveness. In this study, we verified how the degree of master sergeant's support can control to moderate the intensity of the team member's leadership behavior. The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we have found that team member's issue leadership can effect on positive(+) way on the audience's acceptance to the leader as well as team performance. But the moderating effects of master sergeant's support on the team member's issue leadership and leader acceptance was not significant in terms of statistical point of view. It has also shown even the negative(-) effects of master sergeants's support on the team member's issue leadership and leader acceptance as well as team performance. Through this study, we can understand that the master sergeant's support may impeding the team member's independent leadership.

The effect of value diversity on team indentity and team conflict (팀제구성원의 가치 다양성이 팀정체성과 갈등에 미치는 영향: 포용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Kim, Young-Hyung;Kim, Hye-Kyou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4 no.11
    • /
    • pp.163-171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alue diversity on team identity and team conflict and to explore the moderating roles of inclusive climat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value diversity and team identity a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value diversity and team conflict. This study developed four hypotheses and tested them using regress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value diversity and team identity and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value diversity and team conflict were statistically supported. And this study found that inclusive climate played moderating rol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value diversity and team identity a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value diversity and team conflict.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is study presented manageri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The Effects of Social․Task Cohesion on Technological Innovation in New Product Development Team: Moderating Role of Climate for Creativity Support to Team (신제품개발팀에서 사회적․과업 응집성과 기술혁신 성과간의 관계 : 팀 창의성 지원 풍토의 조절효과)

  • Kim, Hack-Soo;Lee, Jun-Ho;Han, Joon-Goo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5 no.2
    • /
    • pp.717-724
    • /
    • 2014
  • Although team cohesion can be a double-edged sword, empirical studies have focused positive effect of team cohesion. This study claims that team cohesion can be divided social task cohesion, so we can investigate positive effect of social cohesion and negative effect of task cohesion on technological innovation. Cohesion emphasize homogeneity, thus creativity supporting team climate alleviate negative effect of social cohesion and increase positive effect of task cohesion. This study has used materials collected from 205 NPD teams The results show negative effect of social cohesion(${\beta}$=-.19, p<.01), positive effect of task cohesion(${\beta}$ =.18, p<.05), positive interactive effect between social cohesion and creativity supporting team climate(${\beta}$=.14, p<.10) and positive interactive effect between task cohesion and creativity supporting team climate(${\beta}$=.16, p<.05) on technological innovation.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Team Approach In Case Management Service for the Elderly in Puchon : A Pretest-Posttest Study (재가 노인을 위한 사례관리 서비스의 효과성 연구 - 팀접근 모델을 중심으로 -)

  • Chung, Soon-Dool;Ko, Me-Young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54
    • /
    • pp.273-294
    • /
    • 2003
  • The outcome of study has shown that team approach in case management in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has shown a fair amount of effectiveness in increasing the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30 elderly people who had complex difficulties in life were selected and given case management for a 6 month period. The student volunteers supervised by a case manager visited the clients once a week and arranged a series of community resources following assessment of the clients' needs. A group of professionals active in the community was invited for supervision. Compared to the clients in the comparison group, those clients who case management showed the increase in the quality of life and life satisfaction scale.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face-to-face service for the elderly is one important factor for successful case management intervention. Also, a team approach in case management utilizing professionals and volunteers can be useful for the case manager in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who is overwhelmed with too many case load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