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특 1급호텔 조리종사원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12초

특 1급 호텔 조리종사원이 인지하는 심리적 계약위반이 직무만족도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Deluxe Hotel Culinary Staff's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Focus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Staff Careers)

  • 홍윤주;김영중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187-20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특 1급 호텔 조리종사원이 인지하는 심리적 계약위반이 직무만족도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고찰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해 확보된 280개의 표본을 바탕으로 연구모형의 신뢰성, 적합성 등을 검토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총 4개의 가설을 검증하였으며, 모형의 적합도는 ${\chi}^2=334.152$(p<0.001), df=162, CMIN/DF=2.063, GFI=.893, AGFI=.861, NFI=.919, CFI=.956, RMSEA=.062 등으로 조사되었다. 연구결과, 심리적 계약위반의 하위차원인 관계적 계약위반(${\beta}=-.236$)은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직무만족도(${\beta}=-.269$)는 이직 의도에 부(-)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심리적 계약위반의 하위 차원 중 관계적 계약위반은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쳐, 결과적으로 이직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심리적 계약위반과 직무만족도 및 이직의도와의 인과관계에서 경력의 조절효과는 부분적으로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변혁적 리더십이 호텔 식음료 종사원의 직무만족과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Job Satisfaction and Customer Orientation in Hotel F&B Employees)

  • 오영섭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39-152
    • /
    • 2009
  • 본 연구는 호텔 관리자의 변혁적 리더십이 식음료 서비스 종사원의 직무만족과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를 통해 가설을 도출하였으며, 서울 지역 특1급 호텔 식음료 서비스 종사원을 대상으로 설문지 375부를 배부하여 미회수 30부, 불성실한 응답 23부를 제외한 총 322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은 SPSS 14.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였으며,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변혁적 리더십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1과 세부가설 1-1, 1-2, 1-3을 검증한 결과 직무만족에 유의적인 수준에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변혁적 리더십이 고객지향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2와 2-1, 2-2, 2-3을 검증한 결과 가설 2와 세부가설 2-2는 유의적인 수준에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세부가설 2-1과 2-3은 유의성이 타나지 않았다. 둘째, 직무만족이 고객지향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3을 검증한 결과 유의적인 수준에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호텔 관리자의 변혁적 리더십과 종사원들의 직무만족, 고객지향성에 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PDF

호텔 조리종사원이 인지한 감성리더십이 임파워먼트, 신뢰 및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Emotional Leadership Perceived by Hotel Cuisine Employees on Empowerment, Trust and Innovative Behavior)

  • 최원식;이수범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1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호텔 조리 종사원이 인지한 감성리더십이 임파워먼트, 신뢰 및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실증분석 대상자는 서울의 특1급 호텔 10곳에서 종사하고 있는 조리사를 대상으로 모집단을 설정하여 2013년 9월 23일부터 2013년 10월 22일까지 30일간 본 조사를 위한 설문지 각 호텔 마다 50부씩 총 500부를 배포하여 결과 응답치의 편중성향이 너무 강하거나 결측 값이 발견된 일부 설문지를 제외하고, 총 426부(85.2%)의 설문자료를 최종 통계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보면 호텔 조리 종사자가 인지한 감성리더십은 조직 내 임파워먼트, 신뢰 및 혁신행동과의 인과관계를 검증함으로써 향후 이론적 토대로 활용될 가치는 충분할 것으로 판단 할 수 있겠다. 따라서 이러한 심층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호텔 조리 종사자가 인지한 감성리더십은 리더와 직원들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발휘된다고 할 수 있고, 리더는 종사원들에게 감성적으로 대해주면 이를 인지한 종사원들은 임파워먼트와 신뢰가 생겨 조직에 혁신적인 행동을 할 것이며, 이는 결국에는 조직 성과를 극대화 할 수 있을 것이다.

호텔 식음료 서비스품질 요인이 고객만족과 브랜드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Components of Hotel Food & Beverage Service Quality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Brand Loyalty)

  • 한종헌;서정운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277-294
    • /
    • 2016
  • 본 연구의 호텔 식음료서비스 품질과 고객만족 및 브랜드 애호도 관계를 실증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내 특1급 호텔을 이용하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300부를 배부하여 265부를 회수하고, 불성실 답변 5부를 제외한 260부를 연구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호텔 식음료 서비스 품질은 종사원 서비스, 시설, 편의성, 탁월성의 4개 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가설 1은 호텔 식음료영업장의 서비스품질 요인이 고객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2는 종사원서비스, 시설이 기각됨에 따라 부분 채택되었다. 가설 3은 고객만족이 브랜드 애호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의한 결과를 토대로 관리 강화를 통한 지속 가능한 경영을 통해 더욱 심화되는 경쟁 환경 속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것으로 사료된다.

직무 순환이 동기 부여 및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서울 특1급 호텔 F&B 종사원을 중심으로 - (The Effect of Job Rotation on Motivation and Job Satisfaction - Focused on F&B Employees of First Grade Hotels in Seoul -)

  • 권나경;김혜린;서원석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163-176
    • /
    • 2010
  • 무한경쟁시대의 경쟁력 우위 확보라는 측면에서 기업의 최고 경영자와 관리자들은 조직 구성원의 가치와 그 중용성에 대한 인식이 매우 증대되고 있다. 호텔업계에서도 철저히 차별화, 특성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조직 구성원의 가치와 그 중요성에 대해 역설하고 있지만, 여전히 많은 비용과 노력을 들여 우수 인재를 채용하더라도 처음의 업무 배치 이후로는 지속적인 개인 관리를 통한 능력 개발에는 소홀하고 있음을 인할 수 없는 것이 현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종사원들은 어떤 부분의 영향력 때문에 직무 순환을 원하고, 또한 반대로 원하지 않는지에 대해 파악해 보고, 직무 순환이 동기 부여에 영향을 미치는지, 동기 부여는 직무 만족에 직접적이고 큰 영향력을 발휘하는지에 대한 것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 이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이다. 본 연구 결과, 직무 순환의 효율성과 절차는 모두 동기 부여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종사원들은 원활한 직무 순환으로 인해 적성에 맞는 적재적소의 배치 수단이 되기 위해 정기적인 직무 순환이 이루어지길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동기 부여는 직무 만족의 성취감, 복리후생, 상사와 동료와의 관계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종사원들은 직무로 인한 성취감과 자부심을 느낄 때 직무 만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직무 순환이라는 것 자체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인사상의 민감한 부분이었던 관계로 선행 연구의 절대적인 부족으로 좀 더 다양한 자료를 활용할 수 없었다는 점과 설문조사가 서울 시내 특급 호텔 F&B 종사원들을 위주로 이루어져서 전체적인 호텔산업을 대변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 PDF

호텔 컨벤션 종사원의 변혁적 리더십이 에피커시와 조직 시민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서울 지역 특1급 호텔을 중심으로 - (The Effec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the Efficacy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Hotel Convention Employees)

  • 조성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68-384
    • /
    • 2008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results of a performance analysis on the effec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the efficacy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hotel convention employees. This study referenced the relevant literature, proposed hypotheses to solve the main issues of inquiry, and made a corresponding empirical analysis. For the empirical analysis, a questionnaire was given to a total of 149 kitchen and food & beverage banquet employees at a Seoul area deluxe hotel convention. The model was tested using SPSS 12.0 and AMOS 5.0 on a sample of 149 surveys, of which 71% constituted a usable response rate.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show the following. 1) Charisma and vision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group efficacy. 2) Individual consideration and intellectual stimulation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self efficacy. 3) Individual consideration and intellectual stimulation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group efficacy. 4) Altruism and conscientiousness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group efficacy. 5) Sportsmanship and civic virtue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self efficacy.

  • PDF

직무열의의 선행요인 및 결과변수에 관한 연구: 서울소재 특 1급 호텔 식음료 부서를 중심으로 (Antecedents and Consequence of Job Engagement: Focused on Food & Beverage Departments at Super Deluxe Hotels in Seoul)

  • 권영국;윤혜현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12-231
    • /
    • 2015
  • 본 연구는 특 1급 호텔 식음료 부서의 종사원을 대상으로 직무열의의 선행요인(인정, 권한위임, 공정한 보상, 절차공정성, 조직지원인식)을 고찰하여 결수변수(이직의도)에 미치는 인과관계를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해 확보된 402개의 표본을 바탕으로 연구모형의 신뢰성, 적합성 등을 검토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총 6개의 가설을 검증하였으며, 모형의 적합도는 ${\chi}^2=668.894$(p<.001), df=373, CMIN/DF=1.794, GFI=.901, AGFI=.877, NFI=.928, CFI=.967, RMSEA=.044 등으로 조사되었다. 연구결과, 직무열의의 선행요인 중 인정, 권한위임, 공정한 보상, 절차공정성, 조직지원인식은 직무열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러한 직무열의는 이직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를 통해 최적의 조직(직무)환경은 종사원들의 직무열의를 높여줌으로써 이직의도는 감소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특급호텔 식음료 부서에서는 효과적인 인적자원 관리 측면에서 다양한 세분화된 내부마케팅 방안들이 모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끝으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과 더불어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브랜드 개성과 종사원 개성이 종사원 브랜드 동일시에 미치는 영향 : 서울 소재 특 1급 호텔 식음료.조리 부서를 중심으로 (The Impacts of Employee-Perceived Brand Personality on Employee Brand Identification : Focused on Food & Beverage Department of Deluxe Hotels in Seoul)

  • 최미경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07-214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s of brand personality and employee personality on employee brand identification. The questionnaire developed for this study was distributed to 460 employees in F&B (food and beverage) departments and kitchen of 11 deluxe hotels in Seoul. A total of 398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86.5%) and the statistical analyses were completed using SPSS Win(12.0) for descriptive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employee brand identification was stronger at higher position, and also stronger among F&B department employees than among kitchen cooks. In addition, international hotels showed a higher level of employee brand identification than local hotels. Employee brand identification was also affected by hotel brand personality and employee personality. The dimension of 'sincerity' had the strongest effect on brand identification, followed by the dimensions of 'excitement' and 'sophistication'. Especially, when the hotel brand personality was lower than the employee personality at the dimension of 'sincerity', the level of employee brand identification was much lower. Overall, employee brand identification, which is a key factor for successful brand delivery to customer, could be enhanced through strong strategies to improve the brand personality dimensions and enhance employee development.

  • PDF

인지된 계약위반, 경험된 계약위반과 직원의 조직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 특 1급 호텔 종사원을 중심으로 - (A Structural Model Analysis of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and Employee Outcomes - A Case of Five Star Deluxe Hotel Employees -)

  • 김지은;권용주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6-76
    • /
    • 2013
  • 직원들의 긍정적인 조직행동을 이끌어야 하는 의무가 있는 호텔 산업에서 심리적 계약 모델을 확장시켜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 연구는 심리적 계약위반을 인지된 계약위반과 경험된 계약위반으로 나누어, 인지된 계약위반의 하위 개념들이 경험된 계약위반으로 전이되는지와 경험된 계약위반이 호텔직원의 조직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조모형방정식을 이용하여 규명하였다. 특 1급 호텔 근무자를 대상으로 하여, 178부의 설문이 최종 분석에 이용되었으며 데이터 분석을 위해 SPSS 19.0과 AMOS 4을 이용한 구조모형방정식을 통해 연구가설의 유의성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로, 긍정적인 업무관계와 교육과 커리어 개발과 같은 관계지향적인 계약의 위반은 경험된 계약 위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임금과 복리후생과 같은 거래지향적 계약위반은 경험된 계약위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높은 이직의도, 낮은 직무만족과 개인 조직 적합성을 포함한 조직행동은 경험된 계약위반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결과적으로, 인지된 계약위반은 부분적으로 경험된 계약위반으로 전이되며 호텔 관리자는 계약항목을 명료화 하고 부합되지 못한 계약 등에 대하여 대응할 준비를 할 필요가 있다.

  • PDF

호텔 종사원의 직원가치와 직무순환 중요도가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Employee Value Proposition and the Importance of Job Rotation on the Subjective Career Success)

  • 권나경;김혜린;이인재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91-304
    • /
    • 2013
  • 본 연구는 호텔산업에서 종업원이 차지하는 중요성에 기초하여, 기업의 제안된 직원가치(EVP: Employee Value Proposition)와 직무순환의 중요도가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조사는 서울 지역 특 1, 2급 호텔에 근무하는 종업원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을 하였고, 유효표본 379명의 자료가 실증분석에 사용되었다. 요인분석결과, EVP의 요인으로 '성장개발,' '상호신뢰,' '근무환경,' '역량인정' '급여와 보상' 등 5개 요인이, 직무순환의 요인으로 '개인의 발전과 효용성,' '운영절차,' '경력관리' 등 3개 요인이 각각 도출되었다. EVP와 주관적 경력성공에 대한 가설검증 결과 EVP의 5개 요인 중 '급여와 보상'을 제외한 모든 요인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EVP가 직무순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도 '급여와 보상'을 제외한 EVP의 요인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직무순환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 결과, 직무순환의 하위 요소인 '개인의 발전과 효용성', '운영절차', '경력관리' 모두 주관적 경력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주관적 경력성공 및 직무순환의 인식에 있어 종업원들은 금전적인 보상 보다는 비금전적 보상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결과가 갖는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예, 조직문화의 창출)이 결론 부분에 제시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