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특수교육

검색결과 712건 처리시간 0.037초

특수교육을 위한 웹 기반 개별화 교육계획 프로그램 설계 (Design of the Individual Education Planning Program Based on the Web for the Special Education)

  • 김소희;김창수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241-244
    • /
    • 2000
  • 장애학생들을 위한 특수교육에 있어서 개인의 능력이나 특성에 맞는 개별화 교육의 실시는 필수적이다. 개별화 교육을 효율적으로 실시하기 위해 특수교육기관에서는 개별화 교육 계획, 즉 IEP를 작성하여 활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사용하고 있는 IEP 의 문제점들을 제시하고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웹 기반 프로그램의 설계를 제안한다. 웹을 통해 시간과 공간의 제약없이 의견교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 데이터베이스구축을 통해 중복되는 부분을 줄여 IEP 작성 양식을 간소화한다. 또한, IEP가 실제 수업에 적극 활용될 수 잇도록 설계한다.

  • PDF

특수교육에서 로봇활용교육의 수용태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탐색: 기술수용모형을 바탕으로 (Exploring Factors Affecting Acceptance Attitudes of Robot-Based Education in Special Education: Based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 백제은;김경현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35-45
    • /
    • 2017
  • 기술수용모형(TAM)을 바탕으로 특수교육에서 로봇활용교육의 수용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여 이들 간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충청북도 초 중 고등학교 특수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특수교육에서 로봇활용교육의 수용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인지된 유용성, 인지된 용이성, 사회적 영향력의 3개 요인이며, 이중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은 인지된 유용성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지된 용이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혁신성향과 사회적 영향력으로 나타났다. 인지된 유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인지된 용이성과 혁신성향으로 밝혀졌다. 로봇활용교육이 특수교육에 안정적으로 수용되기 위해서는 로봇활용교육에 대한 교사의 긍정적 인식을 이끌어 내는 노력이 필요하다.

모바일 기반 초등학교 통합 학급 운영 시스템 설계 (Design of a Mobile-Based Integration Class Management System in the Elementary School)

  • 조윤섭;이수정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05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267-275
    • /
    • 2005
  • 특수교육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과 지도 방법의 이해 부족 및 특수아동의 학부모와의 상담여건이 조성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에서 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사들은 일반학생들의 지도와 병행한 특수아동의 지도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 모바일 환경 속에서의 통합학급운영 시스템 설계를 하였다. 첫째, m-Learning환경에서 특수아동을 지도하는 통한학급교사에게 시간적, 공간적으로 효율적인 도움이 될 정보를 제공하는 폰페이지를 구성하였다. 둘째, 무선인터넷의 특징인 즉시성, 편재성, 보안성을 갖는 모바일환경의 폰페이지에 학부모와 특수아동에 대한 정보 교환 및 상담이 가능하게 하였다. 셋째, 아동을 통한 알림장 작성이 불가능한 특수아동을 위하여 폰페이지에 알림장을 만들고 학부모에게 학교에 관련된 정보와 학급 상황을 전달하도록 하였다. 넷째, 통합학급과 특수학급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하여 지역별, 또는 교육청 단위의 특수교육지원센터의 SMS서비스를 강조하였다. 이러한 모바일통합학급운영시스템은 현장에서의 통합학급 교사들에게 특수교육에 대한 자신감과 특수아동의 학부모와의 체계적인 상담 기회를 제공하여 효율적인 통합학급을 운영하는데 많은 도움을 줄 것이다.

  • PDF

예비 초등특수교사를 위한 로봇활용수업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Robot based Teaching Methods for use by pre-Service Special Elementary Teacher)

  • 김세민;하태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9권6호
    • /
    • pp.389-397
    • /
    • 2011
  • 로봇 교육이 갖는 교육적 효과에 대한 인식의 확산에 따라 교육용 로봇을 이용한 교육을 실시하는 곳이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실시되고 있는 대다수의 교육현장은 일반 학생들에게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장애 학생들에게도 로봇활용 교육의 장점을 살려서 교육이 이뤄지기를 기대할 수 있도록 그들을 가르칠 예비 특수교사들을 위한 로봇활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논문을 통하여 로봇활용교육이 특수교육에서 필요한 분야라는 결과를 도출하였고, 이를 위한 제언을 통하여 특수교육현장 에서 로봇활용교육을 할 수 있도록 강조하였다.

예비특수교사들의 특수교육교육과정 문해력 향상을 위한 프로토콜 적용 가능성 탐색 (Exploring the Applicability of Protocol to Improve Curriculum Literacy for Special Education Pre-Teachers)

  • 이옥인;박은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3호
    • /
    • pp.179-185
    • /
    • 2021
  • 이 연구는 특수교육과정 문해력 향상을 위한 프로토콜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교육현장에서 프코토콜이 예비특수교사들의 특수교육교육과정 문해력 향상을 위해 적용될 수 있는지를 탐색하기 위해 실행되었다. 이를 위해 박윤경 등(2018)의 교육과정 문해력 프로토콜을 일부 수정하여 적용하였다. 특수교육교육과정 문해력 프로토콜은 프로토콜 1, 2로 적용되었으며, 프로토콜 1은 2015 특수교육교육과정 재구성과 문해력을 이해하는 것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프로토콜 2는 해당 특수교육교육과정에 제시된 5개 교과를 중심으로 교과수준을 재구성하고, 통합적 주제 설정 및 재구성 계획을 세우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프로토콜은 총 15주차 특수교육교육과정 교과목에 적용되었다. 수업 형태는 역진행수업을 통해 교육과정 전반에 대한 사전 동영상 강의가 제공되었으며, 학습자중심의 자기주도 활동지를 작성하는 형태로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예비특수교사들은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해 장애학생의 학업성취와 만족감을 높일 수 있다고 인식하였으며, 교과별/간 재구성 경험이 문해력 향상에 도움이 되었지만 어렵게 느껴짐을 보고하였다.

빅데이터를 활용한 통합교육 언론보도에 대한 인식분석 (An Analysis of the Perception of News coverage about Inclusive Education Using Big Data)

  • 김주향;김정랑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6권6호
    • /
    • pp.543-552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빅데이터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통합교육에 대한 언론보도의 사회적 인식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특수교육 발전 5개년 정책 시기에 따라 관련 뉴스 기사를 수집하여, 뉴스 빅데이터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1차년도 1998년부터 5차년도 2022년까지 특수교육 발전 5개년 정책기간의 언론보도 빈도는 꾸준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시기 동안 언론보도의 상위 주제어는 단순한 정의를 개념화하는 단어들로부터 장애 당사자의 실질적교육권에 대한 적극적 의지를 드러내는 단어로 변화가 나타났다. 또한 통합교육 뉴스 기사의 전체적인 키워드 감성 분석 결과 긍정적인 단어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특수교육 정책 변화에 따라 통합교육에대한 언론보도의 관심이 양적으로 증가하고 통합교육의 요구가 장애 당사자의 실질적인 교육권을 보장하는 방향으로 구체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대학­교육대학원 직업특수교육과」와 「전공과」간 융합교육과정에 기반한 장애인 평생교육 전문인력 자격화 조건 (A Study on the Qualification of Professional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Based on the Convergence Curriculum between the 「Department of Vocational Special Education in University-Educated Graduate School」 and the 「Department of Majors」)

  • 김영준;강경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115-125
    • /
    • 2019
  • 본 연구는 "대학­교육대학원 직업특수교육과"와 "전공과" 간의 융합교육과정에 기반하여 장애인 평생교육 전문인력의 자격화 조건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방법은 문헌 분석과 전문가 회의를 병행한 방법으로 구성되었다. 연구내용은 현행의 "대학-교육대학원 직업특수교육과"에서 편성 운영하고 있는 교육과정을 이수하여 직업특수교사의 자격을 취득한 대상이 성인기 장애인 평생교육기관으로 재구조화 가능한 전공과에서 교직 경력을 축적한 이후 융합교육과정으로 구축된 장애인 평생교육 전문인력에 대한 양성과정에 접근하여 자격을 취득하는 절차적 방안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대학-교육대학원 직업특수교육과"의 교육과정적 기반이 장애인 평생교육 전문인력의 양성과 융합되기 위하여 개선되어야 할 중점 사항 역시 연구 내용으로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직업특수교육과 장애인 평생교육 간의 기능적 관계를 정립하는 것으로 결론을 고찰하였다.

현상설계 - 경남공립특수학교

  • 대한건축사협회
    • 건축사
    • /
    • 1호통권297호
    • /
    • pp.106-107
    • /
    • 1994
  • 경상남도 교육청에서는 지체부자유아와 정서장애와의 사회적응 훈련 및 특수교육에 이바지할 수 있는 교육시설확충과 여건조성을 위한 교육시설로서 유치부, 초등부, 중등부, 고등부가 함께 설치될 경남공립특수학교 현상공모를 실시하였다. 경남 창원시 명서동에 건립될 이번 특수학교 현상공모에는 총 7개 사무소가 작품을 응모하여 그중 예전종합건축(안)이 당선작으로 선정되었다. 본 당선작은 경사대지를 건축물과 유기적으로 결합시켜 동선의 원활한 처리와 토목공사량을 극소화시켜 공사비를 절감시켰고, 특수학교의 특성을 잘 반영시켰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 PDF

특수경비원 전문화를 위한 교육훈련제도 개선방향 (The Study on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for the Special Security Guards' Specialization)

  • 김종웅;이상철
    • 시큐리티연구
    • /
    • 제17호
    • /
    • pp.69-89
    • /
    • 2008
  • 우리 지구 상에서의 테러행위는 날이 갈수록 점점 더 증가해 가고 있다. 테러의 공격목표 또한 다양해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다중 이용시설을 포함한 국가중요시설을 주요 표적으로 삼고 있다. 국가중요시설의 경비는 그 일부분을 2001년부터 특수경비에서 담당해 오고 있으나, 법 제도의 미비 등 여러 문제로 인해 아직 완전히 정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현행 특수경비원 교육훈련제도가 안고 있는 문제점을 도출하고, 그에 따른 개선방안을 연구 제시함으로써 특수경비원의 전문화는 물론, 나아가 특수경비제도의 발전을 도모하고자 한다. 교육훈련을 통한 특수경비원의 전문화를 위한 제도발전 방안으로 우선, 신임교육의 일괄적인 교육체계를 공통교육과 전과교육으로 구분하여 교육하되 과목과 시간을 일부 조정해서 시행하고, 새로운 경비 '전문교육기관'의 설립과 함께, 교육 대상자의 교육 입교실태와 교육기관에 대한 실질적인 확인 감독활동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 또한, 교육 책임기관에서 명확한 교육목표와 지침을 주기적으로 시달하고, 교관 선발기준과 절차를 정립하여 이를 통해 전문화된 교관을 선정토록 하며, '교재편찬 위원회'를 신설하고 위원회에서 집필진을 엄선하고 이들이 교재를 편찬하는 등 교육지원적인 면도 보완해 나가야 할 것이다.

  • PDF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을 통한 중학교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무성생식 스마트러닝 활동 분석 (Analysis of the Learning Activities using Asexual Reproduction Learning Application for School Students with Special Needs in Middle School by the Cultural Historical Activity Theory)

  • 김아라;정진수;김용성;문동오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0권1호
    • /
    • pp.52-71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을 통하여 무성생식 학습용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특수교육 대상 중학생들의 학습활동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특수교육 대상 학생들을 위한 무성생식 학습용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였고, 이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학습 활동을 문화역사적 활동 이론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무성생식 학습 어플리케이션은 무성생식 탐구학습에 활용하기 위한 학습 보조 자료로서 개발되었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의 주요 기능은 개념학습 기능, 문제풀이 기능, 학습 관련 동영상 플레이 기능, 그리고 무성생식 관찰 보고서 작성 기능으로 구성되었다.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을 통해 분석한 결과, 주체인 특수교육 대상 학생들은 도구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려하는 객체(목적)를 가지고 협동학습을 위한 분업을 하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학생들은 산출물로 무성생식 개념을 효율적으로 학습 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수업이 특수교육 대상 학생들의 학습 성취와 과제수행행동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방법임을 제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