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the Learning Activities using Asexual Reproduction Learning Application for School Students with Special Needs in Middle School by the Cultural Historical Activity Theory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을 통한 중학교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무성생식 스마트러닝 활동 분석

  • Received : 2016.02.02
  • Accepted : 2016.03.30
  • Published : 2016.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earning activities which use asexual reproduction learning application(app) of students with special needs through the Cultural Historical Activity(CHAT). The asexual reproduction learning app was developed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s, and analyzed the learning activities of students with special needs in perspective of CHAT. The app was developed as subsidiary study material for asexual reproduction inquiry learning. Main functions of the app were composed of concept learning, problem solving, video playing, and report writing. According the CHAT analysis, findings indicated that students with special needs as the subject were able to organize division of labor demonstrated in cooperative learning with the object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class by using the tool of an app. This study also showed effective teaching strategy for improvement of learning achievement and task behavior level of student with special needs.

이 연구의 목적은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을 통하여 무성생식 학습용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특수교육 대상 중학생들의 학습활동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특수교육 대상 학생들을 위한 무성생식 학습용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였고, 이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학습 활동을 문화역사적 활동 이론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무성생식 학습 어플리케이션은 무성생식 탐구학습에 활용하기 위한 학습 보조 자료로서 개발되었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의 주요 기능은 개념학습 기능, 문제풀이 기능, 학습 관련 동영상 플레이 기능, 그리고 무성생식 관찰 보고서 작성 기능으로 구성되었다.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을 통해 분석한 결과, 주체인 특수교육 대상 학생들은 도구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려하는 객체(목적)를 가지고 협동학습을 위한 분업을 하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학생들은 산출물로 무성생식 개념을 효율적으로 학습 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수업이 특수교육 대상 학생들의 학습 성취와 과제수행행동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방법임을 제시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정배, 김창걸, 문종희(2014). 장애아동 교육에 필요한 스마트러닝 콘텐츠 요구도 조사.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15(2), 1-19.
  2. 교육부(2011).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 실행계획. 서울: 교육부.
  3. 국립특수교육원(2012). 스마트러닝 적용 사례 연구. 아산: 국립특수교육원.
  4. 김동렬(2012). 역할놀이 비유활동 중심의 4E 순환 학습 모형을 적용한 생물수업이 중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와 생물교과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 : '유전과 진화' 단원을 중심으로. 교육연구, 53, 145-170.
  5. 김용규, 정진수, 윤성규(2013). 순환 학습 모형 프로그램 적용을 통해 나타난 중학교 지적장애 학생의 생명 개념 변화. 생물교육학회지, 41(2), 267-280.
  6. 김한호(1995). 과학수업모형의 이론적 분석과 현장 적용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7. 박진우(2012). 문제중심학습을 위한 m-러닝 초등 과학 교과 콘텐츠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설문구, 손창익(2013). 워터폴 모델을 적용한 앱 인벤터 프로그래밍 교재개발 연구. 한국정보교육학회지, 17(4), 409-419.
  9. 서주희(2011). 스마트폰을 이용한 이러닝 활용기법.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손지영, 김동일(2011). 장애학생을 위한 스마트러닝 환경 구축의 정책적 방향 탐색.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12(4), 453-480.
  11. 신승기, 최익선, 배영권(2015). 앱인벤터를 활용한 STEAM 프로그램 개발-초등학교 과학의 '속력'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지, 15(4), 530-544.
  12. 이위현(2010). 스마트 TV의 교육 콘텐츠 현황과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생활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이윤정(2012).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을 통한 장애학생 과학교육 실천 사례 분석.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4. 이태수(2013). 장애학생 스마트러닝 적용의 특수교육적 타당성 확보를 위한 이론적 개념화. 아산: 국립특수교육원.
  15. 이태수, 김정수(2013). 장애학생의 스마트러닝을 위한 특수교육용 애플리케이션 분석.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14(1), 259-283.
  16. 이태수, 이승훈(2012). 게임기반 디지털 교과서 활용이 정신지체 학생의 기초연산 수행능력 및 과제집중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2(8), 484-495.
  17. 이향아(2012). 교육용 앱을 통한 스마트 러닝의 확장성 연구. 한국과학예술포험, 11, 123-133.
  18. 조용환(1999). 질적연구 : 방법과 사례. 서울: 교육과학사.
  19. 정완호, 권재술, 정진우, 김효남, 최병순, 허명(1997). 과학과 수업모형. 서울: 교육과학사.
  20. 황성진, 최정원, 이영준(2013). 앱인벤터를 이용한 초등정보영재 앱 제작 교육프로그램 개발. 한국컴퓨터정보학회지, 21(2), 195-198.
  21. 황재훈, 김동현(2005). 성공적인 m-learning 구현을 위한 핵심 요인에 대한 연구.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anagement, 12(3), 57-80.
  22. Jonassen, D. H., & Rohrer-Murphy, L.(1999). Acticity theory as a framework for designing constructuvust learning environments.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47(1), 61-79. https://doi.org/10.1007/BF02299477
  23. Moursund, D. (2006). Introduction to using games in education: A guide for teachers and parents. Eugene. OR: Author.
  24. Prensky, M.(2001). Digital game-based learning. NY: McGraw-Hill.
  25. Rosenberg, M. J.(2001). E-learning: Strategies for delivering knowledge in the digital age. New York: McGraw-Hill.
  26. Seels, B. & Richey, R.(1994). Instructional technology: The definition and domains of the fields. Washington, DC: Association for Educational Communications and Technology.
  27. Warger, C. L.(1991). Peer tutoring: When working together is better than working alone. Retrieved from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345-4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