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튜브 결함

Search Result 798,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Study on Buckling Instability of Expansion Tube using Finite Element Method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팽창튜브의 좌굴불안전성에 관한 연구)

  • Choi, Won-Mok;Kwon, Tae-Su;Jung, Hyun-S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 /
    • v.13 no.2
    • /
    • pp.147-151
    • /
    • 2010
  • Since the kinetic energy is dissipated through plastic deformation energy generated in expanding process of the tube by a die. In order to successfully absorb the kinetic energy there should be no buckling in the expansion tube during expanding process. The buckling instability of the expansion tubes is affected by the initial boundary conditions, tube thickness and length.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the tube thickness except length and initial boundary condition on the buckling instability are studied using a finite element method. In addition, Analysis procedure for nonlinear post-buckling analysis of expansion tube is established. There are three kinds of finite element analysis procedures for buckling analysis of expansion tube, quasi-static analysis, linear buckling analysis and nonlinear post-buckling analysis. The effect of the geometry imperfections defined as linear superimposition of buckling modes is considered in the nonlinear post-buckling analysis. The results of finite element analysis indicate that the buckling load increase with increase of thickness of tube and geometry imperfection. Finial buckling shapes are changed with respect to the geometry imperfection.

3극형 CNT 에미터가 장착된 초소형 X선 튜브의 제작 및 결함 분석

  • Gang, Jun-Tae;Kim, Jae-U;Jeong, Jin-U;Choe, Seong-Yeol;Choe, Jeong-Yong;An, Seung-Jun;Song, Yun-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3.08a
    • /
    • pp.263.1-263.1
    • /
    • 2013
  • 탄소나노튜브(CNT)를 이용한 초소형 X선 튜브는 근접 암치료, 비파괴 X선 영상 장치, 휴대용 X선 분광계 등에서 X선 발생소스로 많이 연구되고 있다. 2극형 CNT 에미터의 경우 구조가 단순하여 초소형 X선 튜브에 쉽게 장착할 수 있지만 아노드의 전압과 전류가 연동되기 때문에 튜브의 조작성이 제한적이다. 3극형은 상대적으로 복잡한 구조이고, CNT에서 방출된 전자가 게이트 전극으로 흐르는 누설 전류 그리고 절연체와 충돌하여 차징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직경이 좁은 초소형 X선 튜브에 구현하기가 쉽지 않다. 하지만 초소형 X선 튜브를 다양한 X선 장치에 응용하기 위해서는 아노드 전압과 전류의 독립된 조작이 가능한 3극형 CNT 에미터가 반드시 구현되어야 한다. 본 발표에서는 전자빔의 아노드 집속을 강화하고 절연체에서의 차징을 줄이는 포커싱 기능의 게이트(FFG) 구조를 제안하였고. 이를 적용하여 초소형 X선 튜브들을 제작하고, 분석하였다. FFG 구조가 성공적으로 적용된 초소형 X선 튜브는 게이트 누설 전류 없이 뛰어난 전류 및 X선 방출 특성을 보였다. 이와는 달리, 몇몇 초소형 X선 튜브들에서는 게이트 누설 전류가 나타났고, 아노드 전압에 의한 게이트 전압 상승이 발생하여 불안정한 구동 특성을 보였다. 초소형 X선 튜브를 밀봉하지 않고 진공 챔버에서 실험한 결과, 유도된 게이트 전압은 상당한 시간이 흐르거나 진공챔버에 공기를 주입하고 다시 진공상태로 만들면 유도전압이 제거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CNT에서 방출된 전자빔이 정상궤도를 벗어나 게이트 누설전류와 차징에 의한 게이트 유도전압을 발생시키면 초소형 X선 튜브가 불안정한 구동을 하고, 결국 튜브의 심각한 결함으로 나타나게 된다. 즉, 게이트 누설 전류와 유도된 게이트 전압은 3극형 CNT 에미터가 장착된 초소형 X선 튜브의 디자인과 제작에 있어서 성공 기준이 될 수 있다.

  • PDF

Tubing Wear and Spallation Induced by Roller pumps in Cardiopulmonary Bypass (심폐바이패스 롤러펌프에 의한 튜브 마모 및 폐쇄)

  • 김원곤;성기익;윤철용;신윤철
    •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20 no.5
    • /
    • pp.609-616
    • /
    • 1999
  • 심폐바이패스시 발생할 수 있는 튜브 마모 및 파쇄는 롤러펌프의 반복되는 압박에 의해 롤러펌프에 장착된 튜브 내벽에 균열이 생기고 이로 인해 미세한 비생물적 조각들이 혈액중으로 떨어져 나가는 현상을 말하는데, 임상적으로 치명적인 색전증을 초래할 수 있다. 그러나 아직 롤러펌프 튜브로 사용되는 PVC 및 실리콘 튜브 중 어느 쪽이 마모 및 파쇄 관점에서 더 우수한지는 체계적으로 밝혀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두 종류의 튜브를각각 일정 기간 롤러펌프에 장착하여 작동시킨 뒤 튜브내외면을 육안 및 주사형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즉 PVC 및 실리콘 튜브 (내경 1/2 인치의)들을 미리 정해진 폐쇄도 조절에 의해 폐쇄 회로 심폐비이패스 롤러펌프 헤드에 장착시키고 4.500ml/min에서 각각 4차례씩 1,2,4,6 시간 작동시켰다. 파쇄에 의한 색전 관찰 실험에서는 회로 중간에 동맥여과기를 설치하고 각각 6,9시간 씩 롤러펌프를 작동시켰다. 실험 후 튜브 및 여과기들을 수거한 후 육안 및 주사형 전자현미경 분석을 시행하였다. 실험후 튜브 및 여과기들을 수거한 후 육안 및 주사형 전자현미경을 분석을 시행하였다. 튜브 외부의 육안 관찰 결과 일반적으로 실라스틱 튜브에서의 외부 마모가 PVC 튜브에 비해 현저하였다. 주사형 전자현미경 관찰에서 PVC 튜브에서의 홈은 좁으면서 경계선이 뚜렷한 특징을 보였고 3시간 이상 롤러와 접촉한 튜브들에게서는 깊은 균열이 간헐적으로 관찰되었다. 반면, 실라스틱에서의 홈은 좁으면서도 경계선이 뚜렷한 특징을 보였고 3시간 이상 롤러와 접촉한 튜브들에게서는 깊은 균열이 간헐적으로 관찰되었다.반면 실라스틱에서의 튜브들에서는 홈이 상대적으로 넓고 경계가 덜 명확했으며, 특징적으로 V 자 모양의 융기부들이 간헐적으로 관찰되었다. 실라스틱 및 PVC 튜브 모두에서 50u 전후의 Craters 가 간헐적으로 관찰되었다. 여과기의 여과망에 대한 주사형 전자현미경 분석 결과 실라스틱과 PVC 튜브 실험군 모두에서 색전입자로 의심되는조각들이 발견되었으나 두군간 정량적 비교는 어려웠다. 결론적으로 롤러펌프에 의한 튜브 마모 및 파쇄현상은 실리콘 및 PVC 튜브의 재질에 따라 그 양상에는 차이가 있으나 임상적인 측면에서는 어느 쪽도 상대적인 우수성이 입증되지 못하였다.

  • PDF

미국 자동차용 튜브 수급 전망

  • Korea Tire Manufacturers Association
    • The tire
    • /
    • s.99
    • /
    • pp.48-48
    • /
    • 1982
  • 미국의 자동차용 튜브 수요동향을 보면 ,트럭ㆍ버스용 및 승용차용 튜브는 감소현상을 나타내고 있으나 농경용 및 산업용 튜브의 수요는 점차 증가되고 있는 현상이다. 이와같은 경향은 Tubeless 타이어의 영향이 큰 것으로 해석된다. 최근 미국의 튜브수입 각국 점유율은 한국산 튜브의 점유율이 급증하고 있다고 한다. 앞으로는 농경용 및 산업용 튜브 수요가 더욱 증가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농경용ㆍ산업용 튜브 수출에 한층 더 노력함으로써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B_N$-결함 질화붕소 나노튜브($B_N$-BNNT)를 활용한 $CO_2$ 흡착/전환 반응에 대한 이론 계산 연구

  • Choe, Hui-Cheol;Park, Yeong-Chun;Kim, Yong-Hyeon;Lee, Yun-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3.08a
    • /
    • pp.299.1-299.1
    • /
    • 2013
  • 넓은 표면적을 갖는 탄소나노튜브(CNT)는 기체 분자의 흡착 성능이 기존의 다른 흡착제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CNT의 물리/화학적 성질은 튜브의 직경과 기하 구조에 의해 큰 차이를 나타내며 정제가 매우 까다롭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CNT와 외형적으로 매우 흡사한 질화붕소 나노튜브(BNNT)의 경우, 구조와 직경에 상관없이 열적, 화학적 안정성이 우수하여 $CO_2$를 비롯한 다른 공해 물질들의 제거제나 흡착제로서 응용 가능성이 매우 높다. 본 연구진은, BN-결함을 도입한 BNNT 벽면에서의 $CO_2$ 흡착 반응과 $CO_2$를 에너지 물질인 HCOOH와 $H_2CO_3$로 전환하는 반응에 대한 양자화학 이론 계산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CO_2$에 대한 $B_N$-BNNT 흡착 성능이 튜브의 직경에 상관없이 매우 우수하였고, $B_N$-BNNT 벽면상에 흡착된 $CO_2$가 물 분자와 반응할 경우 HCOOH와 $H_2CO_3$로의 전환반응이 효과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러한 이론 계산 연구 결과는 BN-BNNT가 $CO_2$ 흡착제 및 에너지 전환 촉매로의 응용 가능성을 훌륭히 제시하고 있다.

  • PDF

Is YouTube a Pharmakon? (유튜브는 파르마콘인가?)

  • Lee, Jong-M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7a
    • /
    • pp.157-158
    • /
    • 2020
  • 본 논문의 목적은 비대면 교육 상황에서 왜 대학생들이 유튜브 중독에 빠지는지를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연구모형을 개발한 후,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113부의 설문 자료로 구조 방정식 모형을 사용한 데이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로움 정도가 높을수록 유튜브 이용 동기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간 보내기와 즐거움 동기가 높을수록 유튜브 중독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튜브 중독의 한 원인은 시간 보내기 혹은 줄거움 동기의 유튜브 시청이며, 그 대책 중 하나는 외로움을 극복하는 것이라는 시사점이 있다.

  • PDF

Probabilistic Study on Pressure Behavior in Concrete Vacuum Tube Structures (콘크리트 진공튜브의 압력 변화에 대한 확률적 평가)

  • Park, Joonam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 /
    • v.17 no.3
    • /
    • pp.186-192
    • /
    • 2014
  • In this paper, a reliability analysis is performed where the pressure change inside a concrete tube is probabilistically estimated considering the uncertainties inherent in the material and the system discontinuity. A set of uncertain quantities related to the equivalent system air permeability and the atmospheric pressure, are defined as random variables with specific distribution. The pressure change inside a concrete tube is then probabilistically described using both analytical and simulation approaches. The reliability analysis confirms that the geometric configuration of a concrete tube needs to be changed from the initial configuration obtained from the deterministic analysis.

Defect Detection of Impacted Composite Tubes by Lock-in Photo-Infrared Thermography Technique (위상잠금 열화상기법을 이용한 복합재 튜브 충격 손상 결함 측정)

  • Kim, Kyoung-Suk;Jeon, So-Young;Jung, Hyun-Chu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Nondestructive Testing
    • /
    • v.31 no.2
    • /
    • pp.139-143
    • /
    • 2011
  • The problem of delamination of composite tubes by impact has been acknowledged in aerospace and automobile industry. Non-destructive testing(NDT) methods in composite material structure are important to evaluate reliability of composite structure. There are many kinds of NDT methods which can detect the inside defect of the composite material such as Infrared Thermography(IRT). Infrared thermal imaging of object is different from that of a defect, in heated composite tubes with an internal defect, and then location and size of a defect can be measured by the analysis of thermal imaging pattern. In this study, Lock-in Infrared thermography detect internal defects of Impacted composite tubes by the inspection of infrared lay radiated from the surface of composite tubes.

복사전열 가열로 튜브의 파손방지에 대한 연구

  • 윤기봉;심상훈;유흥선;오현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1997.11a
    • /
    • pp.217-222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원심주조로 제작되어 소둔로내에서 사용되는 복사전열 튜브의 손상 및 균열발생 기구(mechanism)를 조사한 후, 파손된 튜브 샘플의 균열주위를 금속학적으로 관찰하고, 관찰결과 및 재료의 성분분석 결과를 분석하여, 튜브의 파손원인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균열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대책에 대해 연구하였다. 우선 복사전열 튜브의 내면 균열발생 부위에 대해 현미경 관찰을 실시하였으며, 균열부의 산화물 및 균열부근 튜브모재에 대해서 성분분석을 실시하고, 전자현미경(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e)으로 균열을 상세히 관찰하여 그 결과로부터 파손원인을 규명하였다. (중략)

  • PDF

Nondestructive Examination of Ferromagnetic Tube Using Magnetic Saturation Eddy Current Technique (자기포화 와전류기법에 의한 자성 튜브 비파괴검사)

  • Lee, Hee-Jong;Cho, Chan-Hee;Song, Seok-Yoon;Jee, Dong-Hyun;Jung, Jee-H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Nondestructive Testing
    • /
    • v.28 no.5
    • /
    • pp.407-415
    • /
    • 2008
  • The tubes in heat exchanger are typically made from copper alloy, stainless steel, carbon steel, titanium alloy material. type-439 ferritic stainless steel is ferromagnetic material, and furnish higher heat transfer rates than austenitic stainless steels and higher resistance to corrosion-induced flaws. Ferritic stainless steel can typically be found in low-pressure(LP) feedwater heaters and moisture separator reheaters(MSRs). LP feedwater heaters generally utilize thin wall type-439 stainless steel tubing, whereas MSRs typically employ a heavier wall tubing with integral fins. Service-induced damage can occur on the OD(outside diameter) surface of type-439 ferritic stainless steel tubing which is employed for MSRs tubing, and the most typical damage mechanism is vibration-induced tube-to-TSP(tube support plate) wear and fatigue cracking. The wear has been reported that occurs mainly on the OD surface. Accordingly, in this study, we have evaluated the flaw sizing capability of magnetic saturation eddy current technique using magnetic saturation probe and flawed specim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