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ndestructive Examination of Ferromagnetic Tube Using Magnetic Saturation Eddy Current Technique

자기포화 와전류기법에 의한 자성 튜브 비파괴검사

  • 이희종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 비파괴평가센터) ;
  • 조찬희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 비파괴평가센터) ;
  • 송석윤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 비파괴평가센터) ;
  • 지동현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 비파괴평가센터) ;
  • 정지홍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 비파괴평가센터)
  • Published : 2008.10.30

Abstract

The tubes in heat exchanger are typically made from copper alloy, stainless steel, carbon steel, titanium alloy material. type-439 ferritic stainless steel is ferromagnetic material, and furnish higher heat transfer rates than austenitic stainless steels and higher resistance to corrosion-induced flaws. Ferritic stainless steel can typically be found in low-pressure(LP) feedwater heaters and moisture separator reheaters(MSRs). LP feedwater heaters generally utilize thin wall type-439 stainless steel tubing, whereas MSRs typically employ a heavier wall tubing with integral fins. Service-induced damage can occur on the OD(outside diameter) surface of type-439 ferritic stainless steel tubing which is employed for MSRs tubing, and the most typical damage mechanism is vibration-induced tube-to-TSP(tube support plate) wear and fatigue cracking. The wear has been reported that occurs mainly on the OD surface. Accordingly, in this study, we have evaluated the flaw sizing capability of magnetic saturation eddy current technique using magnetic saturation probe and flawed specimen.

원전 발전소 터빈계통을 구성하는 열교환기 튜브는 일반적으로 구리합금, 스테인리스강, 탄소강, 티타늄합금 등의 재질로 제작된다. 이들 재질중에서 페라이트계 type-439 스테인리스강은 자성 재질로서 오스테나이트계보다 더 높은 열전달율 가지며, 부식에 의해 유발되는 결함에 대해 더 높은 저항성을 가진다.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보통 발전소 열교환기의 저압급수가열기와 습분분리재열기에 사용된다. 저압급수가열기는 일반적으로 두께가 얇은 type-439 스테인리스강을 이용하는 반면에 습분분리재열기는 더 두꺼운 핀튜브를 사용한다. 이와 같이 터빈 습분분리재열기 튜브로 사용되는 type-439 스테인리스강 핀튜브는 터빈계통의 운전으로 인하여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손상에 의한 가장 대표적인 결함은 진동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마모, 피로균열 등이며 마모성 결함은 일반적으로 튜브-튜브지지판에서 발생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type-439 스테인리스강 자성체 튜브에 발생할 수 있는 결함을 검출하고 크기를 측정할 수 있는 자기포화 와전류탐상검사 기법의 능력을 평가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EPRI, Electromagnetic NDE guide for balance-of-plant heat exchangers, Rev. 2, pp. 3.2-21-4.0-30, (1997)
  2. V. S. Cecco, Eddy current manual, Vol. 1 Test Method, AECL Chalk River Lab., pp 168-174, (1983)
  3. The Materials Information Society, 'NDE and quality control,' ASM Handbook Vol. 17, pp 181-183, (1997)
  4. 이희종, 남민우, 김용식, 원자력발전소 제어봉 상태진단 기술개발, 최종연구보고서, 전력연구원, (1997)
  5. Zetec Inc., TC-5800 manual,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