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투수도

검색결과 2,210건 처리시간 0.03초

투수효과를 고려한 친환경 콘크리트 블록 개발 (Development of Eco-Concrete Block Consider of Infiltration Effect)

  • 문영일;유경희;윤선권;손찬영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1년도 학술발표회
    • /
    • pp.304-304
    • /
    • 2011
  • 최근 도시화에 따른 인구증가와 더불어 도로포장 등 불투수면적의 증가로 인하여 우기시 빗물 침투가 차단되어 도심의 지하수위가 저하되며 토양의 건토화, 열섬현상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투수효과를 최대한 고려할 수 있는 고강도의 친환경 콘크리트 블록(에크스톤 바이오 블록; ECOSTONE-BIO BLOCK)을 개발하였으며 기존 콘크리트 블록의 자연적 빗물침투 억제의 문제점을 일부 개선하였다. 본 블록은 캡슐공법을 사용하여, 공극률은 높이면서(투수성 향상), 강도와 내구성이 유지됨은 물론 캡슐안에 황토성분을 첨가하여, 바이오적인 기능 및 재생골재를 이용한 친환경적 제품으로 투수성, 내구성, 기능성을 극대화 시켰다. 또한 제품표면은 천연 백색돌맹이, 흑색돌맹이의 배합으로 자연석재 느낌을 구현하였으며, 쇼트블라스트 및 커링 표면공정으로 미끄럼저항지수를 조절할 수 있어, 기존 콘크리트 보도블록에 비해 투수율, 내구성, 기능성, 안전성이 우수하여, 안전한 보행환경이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주변 환경과 잘 어울리도록 디자인된 바이오기능성 친환경 블록으로 도심지역 시공시 투수효과에 따른 지하수고갈방지 및 침수피해에 도움을 주리라 사료된다.

  • PDF

투수성 폴리머 시멘트 콘크리트의 기공적 성질 (fundamental Properties of Water-Permeable Polymer-Modified Concrete)

  • 이윤수;주명기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402-408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SBR 라텍스 및 재유화형 EVA 분말수지를 혼입한 투수성 폴리머 시멘트 콘크리트를 제조하여 투수성 폴리머 시멘트 콘크리트의 공극률, 투수계수, 강도 및 동결융해 저항성에 미치는 폴리머-시멘트비의 영향을 구명하였다. 그 결과, 투수성 폴리머 시멘트 콘크리트의 공극률, 연속공극률 및 투수계수는 폴리머-시멘트비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압축, 인장 및 휨강도는 폴리머-시멘트비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다. 또한 투수성 폴리머 시멘트 콘크리트의 동결융해 저항성 역시 폴리머의 혼입에 따라 증진되었다. 이와 같은 효과는 폴리머의 혼입에 의해 시멘트 수화물과 골재간의 접착성이 개선되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상이한 삼림생태계에서 강우량에 따른 투수 특성 변화

  • 정덕영;오종민;진연호;손요한;주영특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1998년도 총회 및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74-78
    • /
    • 1998
  • 경기도 퇴촌에 위치한 경희대학교 연습림내의 낙엽송, 잣나무 및 굴참나무의 천연활엽수로 구성된 3개의 임반에서 경사도와 년간 강우량 변화에 따른 투수특성을 조사하였다. 3개의 임반의 O, A, B층은 3개 임반 모두 경사도가 낮은 하부사면에서 관찰되었으나 경사도가 높은 산사면이나 수간우가 많은 일부 지역에서는 바로 암반층 또는 풍화층이 나타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잣나무 임반은 유기물 퇴적층과 A층이 낙엽송이나 굴참나무 임반보다 잘 발달되어 O층은 약 5내지 10cm 정도이고 A층 또한 O층 아래로 약 50cm까지 깊게 발달되었다. 낙엽송 임반의 하부사면의 경우 A층의 발달이 약 35cm부터 약60cm 에 이르고 있으나 토성을 구성하는 요소중 직경 2mm 이상의 자갈에 토양입자들이 전체 토양의 40%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토층분화 특성을 달리하는 임반에서의 투수특성은 표층토에서는 약 5.2cm/hr였고 A층에서는 평균 8.2cm/hr 정도였다. 이는 A층에서의 토성이 주로 자갈로 구성되어 대공극을 이루고 있고 평균 부피수분함량이 약 25%인 점을 감안하면 상대 투수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산지사면의 상부보다 상대투수속도가 증가되는 경향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상부에서의 토층발달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투수속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실험의 결과로 추정할 때 지표층에 존재하는 유기물과 토층 분화 정도가 투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불포화토의 투수계수분석 및 투수계수 방정식의 적용성 평가 (The Analysis of Permeability Coefficient and the Evaluation of Equations of Permeability Coefficient for an Unsaturated Soils)

  • 임성윤;류태진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1호
    • /
    • pp.5-13
    • /
    • 2008
  • 불포화토의 투수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3가지의 시료를 선정하고 흙수분 특성 시험을 선행한 후, 흡인력을 조절하면서 일련의 투수계수시험을 수행하였다. 공시체는 불교란 시료를 사용하여 자연 상태로 제작하였으며, 정수위 투수시험법을 이용하여 투수계수를 측정하였다. 아울러, 흙수분 특성곡선에서 도출된 계수를 이용하여 Brooks and Corey(1964)와 van Genuchten(1980)의 제안식으로 투수계수를 예측하였고, 이를 시험에 의한 투수계수와 비교 및 검토하여 기존 제안식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실내실험에 의한 부산점토의 투수특성 (Permeability Characteristics of Pusan Clay from Laboratory Tests)

  • 정성교;장우영;;김성렬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2권11호
    • /
    • pp.133-142
    • /
    • 2006
  • 낙동강 하구지역에는 세계적으로 드물게 연약한 부산점토가 두껍게 분포하고 있다. 최근의 지반개량공사에서 압밀침하에 대한 과소평가 문제가 발생하여 이 점토의 투수특성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그 점토의 투수특성을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낙동강 하구의 두 지역을 연구대상현장으로 선정하여 불교란 시료채취를 실시하고 이 시료에 대하여 자연점토는 물론 연직 및 수평배수 압밀실험 중에 실내 변수두 투수실험에 의하여 연직 및 수평 투수계수를 측정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자연상태 및 압밀상태 하에서의 투수계수, 투수 이방성 및 그들의 상관관계 규명은 물론 해외의 다른 점토들에 대한 투수특성과의 비교를 수행하였다.

탄산화 및 비탄산화된 콘크리트의 투수계수의 해석 기법 개발 (Analytical Modeling for Microstructural Permeability Coefficient of (Non)Carbonated Concrete)

  • 윤인석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1권3호
    • /
    • pp.255-264
    • /
    • 2009
  • 콘크리트의 투수계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능 및 미세구조의 밀실성을 판단할 수 있는 핵심적인 재료 매개변수이다. 투수계수를 산정하기 위한 많은 연구들이 있었으나, 시멘트페이스트 및 골재 각각이 콘크리트의 투수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다룬 연구는 드물다. 더우기, 탄산화가 염소이온의 확산계수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탄산화된 콘크리트에 대한 확산계수를 다룬 연구는 매우 드문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탄산화 및 비탄산화된 콘크리트의 투수계수를 추정할 수 있는 기초적 접근방법을 개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미세구조 모델 및 시멘트의 경화특성을 기초로 투수계수를 산정할 수 있는 해석적 기법이 개발되었는데, 시간단계별로 변화하는 투수계수의 해석과 탄산화된 콘크리트의 투수계수를 계산할 수 있다. 탄산화된 콘크리트에서 감소된 공극량이 계산되었으며 이는 투수계수의 산정에 이용되었다. 해석 결과는 실험적 결과를 얻어서 상호비교하여 검증하였다.

혼화재를 혼입한 투수콘크리트의 물리적 특성 (Physical Properties of Porous Concrete Using Admixtures)

  • 채창우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257-265
    • /
    • 2002
  • 투수콘크리트는 보통 10~20%의 공극으로 인하여 비교적 높은 투수성을 가진 건축재료로 국내에는 1980년대 초에 알려졌으나 정형화된 배합의 부재, 낮은 강도와 내구성 등의 문제로 아직까지는 널리 사용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투수 콘크리트의 물리적 특성을 만족시키면서 건설현장에 적용 가능한 고성능 투수콘크리트를 제조함과 아울러 일정한 수줄이상의 품질을 확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혼화재를 혼입한 투수콘크리트의 물리적 특성에 관한 본 연구의 결과로, 압축강도 범위는 132~221 kgf/$\textrm{cm}^2$, 인장강도 범위는 15~25 kgf/$\textrm{cm}^2$, 휨강도 범위는 36~54 kgf/$\textrm{cm}^2$, 투수계수 범위는 1.05$\times$$10^{-1}$~ 9.20$\times$$10^{-2}$ cm/sec로 나타났다. 향후, 최대골재크기의 변화 또는 기타 혼화재의 사용 등 배합인자에 대한 다양한 검토를 통하여 계속적인 고성능 투수콘크리트의 개발이 요구되어진다.

제방 성토시 지반거동에 대한 점토의 비선형 투수성의 영향 (Effect of the Non-linear Permeability of Clays on the Behavior of Soils in Embankment Construction)

  • 김태훈;한태곤;류기정;이송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6호
    • /
    • pp.61-73
    • /
    • 2004
  • 일반 자연 점토지반의 투수계수는 다양한 응력수준에 따라 비선형적인 특성을 보이며, 이러한 지반 투수계수의 비선형성은 상재하중 재하시 지반의 압밀시간 및 지반 변형 특성에 영향을 주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반의 비선형 투수계수의 영향성을 고찰하기 위해 수정 Cam-clay 모델과 Biot의 압밀이론을 접목한 연립이론(Coupled theory)을 이용하여 FEM 수치해석을 실시하였다. 검토 결과 비선형 투수성은 비선형 특성을 나타내는 투수계수 변화비와 전체 간극비에 대한 평균 투수계수의 크기에 따라 지반 변형과 지중 과잉간극수압에 미치는 영향성이 상이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보다 현장에 근접한 해석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지반 투수계수의 변화비와 평균 투수계수의 크기에 따라 투수계수의 비선형 특성을 고려해야할 것인지를 판단해야 할 것이다.

섬유 구성인자에 의한 지오텍스타일의 수리학적 특성 평가 (Assessments of Hydraulic Properties of Geotextiles with Fiber Composition Factors)

  • 전한용;정진교;장용채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2권1호
    • /
    • pp.47-55
    • /
    • 2003
  • 14가지 니들펀치 부직포 지오텍스타일의 섬유구성인자인 두께, 기공도, 섬유장 및 직경 등이 수평투수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으며, 두께변화, 수평투수도, 압축 하중 하에서의 수평투수성을 구성방정식에 의해 분석, 평가하였다. 그리고 섬유 패킹 밀도가 다른 라미나(laminar) 지오텍스타일 복합재료를 제조하여 라미나 구조가 수직투수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수평투수도는 부직포 지오텍스타일의 두께가 증가할수록 커졌으며, 기공도와 섬유직경이 커질수록 수평투수계수는 증가하였다. 수직응력이 증가할수록 기공도의 영향은 감소하였으며, 섬유장이 길수록 수평투수계수는 약간 크게 나타났다. 구성섬유의 직경이 클수록 수평 투수계수는 커지며, 직경의 비슷할수록 유사한 투수계수를 나타내었다. 라미나 지오텍스타일의 수직 투수성은 내부 경계면에서의 손실 수두에 영향을 받으며, 경계면에서 투수로의 연결형상은 bell mouth형이거나 부드러운 유입관 형태로 평가 되었다.

  • PDF

보투수성 시멘트 모르타르의 성능평가 (Evaluation of the Properties of Absorbent-Pervious Cement Mortar)

  • 노병철;주명기;최종윤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288-295
    • /
    • 2011
  • 본 연구는 최적의 투수성과 보수성 및 압축강도를 갖는 보투수 포장체의 개발을 위한 것으로, 단입도의 골재 및 SAP를 사용함으로써 투수계수 및 보수성능의 개선은 물론 포장체의 온도저감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하여 단입도 골재의 입경 및 SAP 첨가량에 따른 압축 및 휨강도에 대한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보투수 포장체의 투수성능 및 보수량에 대한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결과 단입도 골재의 입경이 작아질수록, SAP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압축/휨 강도는 증가하였으며, 투수계수는 SAP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한편, 보투수 포장체의 흡수율 및 보수량은 골재의 입경이 작아질수록, SAP 첨가량이 증가할 수록 증가하였으며, 보투수 포장의 온도저감효과는 아스팔트포장에 비해 최대 $20^{\circ}C$ 까지 저감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