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통행 패턴

Search Result 235,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A Path Travel Time Estimation Study on Expressways using TCS Link Travel Times (TCS 링크통행시간을 이용한 고속도로 경로통행시간 추정)

  • Lee, Hyeon-Seok;Jeon, Gyeong-Su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7 no.5
    • /
    • pp.209-221
    • /
    • 2009
  • Travel time estimation under given traffic conditions is important for providing drivers with travel time prediction information. But the present expressway travel time estimation process cannot calculate a reliable travel tim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path travel time spent in a through lane between origin tollgates and destination tollgates on an expressway as a prerequisite result to offer reliable prediction information. Useful and abundant toll collection system (TCS) data were used. When estimating the path travel time, the path travel time is estimated combining the link travel time obtained through a preprocessing process. In the case of a lack of TCS data, the TCS travel time for previous intervals is referenced using the linear interpolation method after analyzing the increase pattern for the travel time. When the TCS data are absent over a long-term period, the dynamic travel time using the VDS time space diagram is estimated. The travel time estimated by the model proposed can be validated statistically when compared to the travel time obtained from vehicles traveling the path directly. The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odel can be utilized for estimating a reliable travel time for a long-distance path in which there are a variaty of travel times from the same departure time, the intervals are large and the change in the representative travel time is irregular for a short period.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ravel Time Change Using the Time Use Survey Data in Seoul (서울시 통행시간 변화의 요인분석: 생활시간조사자료를 중심으로)

  • Koo, Ja hun;Choo, Sangho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17 no.1
    • /
    • pp.1-16
    • /
    • 2018
  • Changes in the life style might vary trip purposes, ultimately leading to the change in the travel behavior.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affecting travel time change by using the time use survey data in Seoul, surveyed by the Statistics Korea in 1999~2014. We developed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s for travel time, considering individual, household and time-related variables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models were separately estimated weekday and weekend. the model results show that the household, individual, and time related variables have an significant effect on the travel time. In addition, travel time is more influenced by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n household ones. Each activity time positively affects the travel time, indicating that travel is derived demand. The variable that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travel time is the activity time for leisure.

Travel Behavior Analysis of KTX Commuter Belt (KTX 통근권역의 통행행태 분석)

  • Lee, Jin-Sun;Kim, Kyoung-Ta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 /
    • v.11 no.4
    • /
    • pp.417-423
    • /
    • 2008
  • Transportation planners are increasingly adopting policies aimed at changing travel choices made by general commuter. Theor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speed technology and transport address changes in travel behavior of regional commuter due to alterations in the Kyung-Bu railroad transportation corrido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ravel behavior and high-speed technology. The KORAIL data allows us to explore the differences between travel characteristics that are usually hard to discern by guesswork. The effects of travel time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e full decisions that control for commuting KTX. Although many argue that transportation behavior cannot be changed, this paper demonstrates that about 4 years of behavioral data on KTX travel show otherwise. In this paper we explore several possibilities to fill in some of the gaps in our knowledge on the expansion of commuter belt.

Analysis and Estimation of Factors Affecting Travel Time Budget (통행시간예산의 요인분석 및 추정)

  • Kim, Tae-Ho;Park, Je-Jin;Lee, Ki-Young;Park, Yong-Duk
    •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 /
    • v.11 no.3
    • /
    • pp.13-21
    • /
    • 2009
  • The traveler's travel pattern has significantly changed due to the social and economic changes. The travel time among the traveler's pattern is the limited resource. The travelers are trying to maximize the utility of travel with the least travel cost. So, the travelers travel with their own travel time budget in mind, which they can pay or choose to pay for the optimal maximization of the utility of the individuals. This research is to group and extract the specific factors which affect the travel time budget by utilizing the CART analysis method, which enables the analysis of traveler's characteristics and their interrelationship based on the data collected from "2002 Household Travel Practice Research" and then try to derive a model for estimating the traveler’s travel time budget. The result of CART analysis shows that the factors which affect the travel time budget include the traveler's age, size of house, type of house, type of employment, job and relation to the head of household. Considering the affecting factors derived, I developed an estimation model. From that model, we found that the age, size of house and type of house were positively (+) related to the travel time budget while the homeworking people who have less travel frequency as a type of employment were negatively (-) related to it. In particular, from the point of type of job, the housewives, children not yet old enough to attend schools and people who are working in the agricultural, or marine product industries were found to have the negative (-) value while the people who have the administrative, office, management jobs were found to have the positive (+) value.

  • PDF

Development of a Trip Distribution Model by Iterative Method Based on Target Year's O-D Matrix (통행분포패턴에 기초한 장래 O-D표 수렴계산방법 개발)

  • Yu, Yeong-Ge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3 no.2
    • /
    • pp.143-150
    • /
    • 2005
  • Estimation of trip distribution, estimated O-D matrix must satisfy the condition that the sum of trips in a row should equal the trip production, and the sum of trips in a column should equal the trip attraction. In most cases the iterative calculation for convergence is needed to satisfy this condition. Most of all present convergence of iterative methods may results a big difference between estimated value and converged value, and from this, the trip distribution patterns may be changed. This paper presents a new convergence of iterative method that comes closer to meeting the convergence condition and gives the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for calculating a distribution patterns from the trip distribution estimation model. The newly developed method differs from existing methods in three important ways. First, it simultaneously considers both the convergence condition and the distribution patterns. Second, it computers simultaneous convergence of rows and columns instead of iterating respectively. Third, instead of using the growth rates to the trip production, trip attraction, it uses the differences between trip production and sum of trips in a row, and trip attraction and sum of trips in a column. Using 38 by 38 O-D matrix, this paper compared the Fratar method and the Furness method to the newly developed method and found that this method was superior to the other two methods.

A Spatial Pattern of An Optimal Transportation Pricing Structure; -Based on the result of a local solution- (도시공간상에서 교통시설에 대한 최적가격(요금) 구조에 관한 연구 -부분 최적해의 결과-)

  • 정성용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2 no.4
    • /
    • pp.65-88
    • /
    • 1994
  • 교통수요와 공급은 상호 밀접한 연관성을 지니고 있다. 교통수요는 교통시설 서비 스수준 및 교통시설의 이용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교통시설 공급비용과 서비스수준은 교통수요에 영향을 준다. 또한, 교통수요와 공급간의 상호작용은 도시공간상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교통시스템의 공간적 구조 및 도시의 공간적 특성은 공급, 가격 및 수요를 통합한 교통균형모형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영향인자로 작용하게 된다. 그러나, 이제까지 개발된 교통균형모형에서는 통행인의 통행시간가치 및 교통체증의 도시공간상 변화가능성을 적절하 게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공간상에서 통행인의 통행시간가치 변화패턴 을 반영한 수 도시공간상에서의 교통시설의 최적 서비스 수준, 교통수단별 최적요금체계를 도출할 수 있었다. 단핵도시구조를 지닌 도시공간상에서의 최적버스요금은 통행거리에 따라 할증되는 체계를 가져야 한다. 선행연구에서는 승용차에 대한 통행혼잡세 부과는 소득역분 배적인 효과를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버스의 요금구조나 서비스 수준이 최적수 준에서 제공된다면 통행혼잡세는 소득역분배적 결과를 초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he Influence of New Town Development on the Changes of the Migration and Commuting Patterns in the Capital Region (수도권 신도시 개발이 인구이동과 통근통행패턴에 미친 영향)

  • Lee, Hee-Yeon;Lee, Seung-Min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3 no.4
    • /
    • pp.561-579
    • /
    • 2008
  • The population concentration in Seoul has caused the chronic housing shortage. Accordingly the new towns in the Capital region were developed to alleviate overcrowding conditions in Seou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hanges of migration and commuting patterns according to new town development in the Capital region for the period of $1995{\sim}2005$. Further this study examines the changes of self-sufficiency level for new towns using jobs to housing ratio. During the last 10 years, the migration pattern in the Capital region has been pretty much followed the new town development. Such a migration pattern has influenced the commuting patterns, expanding the Seoul Metropolitan Area into northeastern par of the Capital region. The result reveals that self-sufficiency levels of new towns have become higher over the period of $1995{\sim}2005$, indicating that new towns are gradually strengthening their economic functions and have potential to become new business centers in the future. Therefore, the policy focusing on the increase of the job-housing balance ratio and self-sufficient level in new towns will be a desirable policy alternative to solve the transportation problems in the Capital region.

Emergence of New Towns and Changes in Commuting patterns of Seoul Residents (수도권 신도시 건설과 서울 거주자의 통근통행패턴 변화)

  • Kim, Hyun-Woo;Kim, Ho-Yeon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4 no.3
    • /
    • pp.437-451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commuting patterns of Seoul residents after the construction of new towns. To find the determinants of commuting time for residents with jobs in Seoul,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s performed using household survey data. Overall, the findings present a plausible picture of the spatial configuration in Seoul, where younger residents with growing families move out to the suburbs to become owners of apartment homes, and drive or use mass transportation to get to work. As they get older and wealthier, other things being equal, they gravitate towards the city centre in order to reduce the time wasted on commuting. While their occupations appear to play little role, it seems that the entrapment hypothesis on female workers is supported as well. In addition, excess commuting is still prevalent due to jobs-housing mismatch in Seoul, although it is less severe than in the past. Based on these results, planners should devise better strategies to solve the inefficient commuting problem.

  • PDF

Calculating Social Benefit in Travel Time Considering Seasonal and Daily Variation in Traffic Pattern (계절별 요일별 교통패턴 변동을 반영한 연통행시간 편익산출)

  • Han, Khun-Soo;Baek, Seung-Kirl;Kim, Ik-Ki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2 no.7 s.78
    • /
    • pp.17-23
    • /
    • 2004
  • 교통정책을 평가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Data 중 가장 근본이 되는 것이 OD이다. 기존의 교통정책을 평가함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OD는 AADT(Annual Average Daily Traffic) OD이다. 계절별 평일/주말 교통량의 분산이 매우 크다는 것은 기존 조사나 연구로 익히 알려진 사실이며, 또한 사회 경제적인 여건의 변화 및 주 5일제 근무제의 시행 등으로 여가통행의 비중이 높아짐에 따라 평일과 주말의 교통량의 분산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교통정책을 평가하는 방법도 AADT OD의 일률적인 적용이 아닌 교통량의 계절별 평일/주말의 분산을 적용시킨 OD를 가지고 교통정책을 평가하는 방법이 교통정책을 결정함에 있어 오류를 범할 가능성을 적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기존 연구에서는 이러한 교통량의 분산의 보정을 지점교통량에 한정하여 보정하고 있어 실질적인 네트워크 분석에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관측된 TCS Data를 이용하여 계절별 평일/주말의 OD 교통 패턴을 분석하여 계절별 평일/주말의 OD 교통패턴을 반영할 수 있는 보정계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보정계수에 따라 AADT OD를 보정하여 네트워크 분석의 기초 자료를 구축하였다. 수정된 OD 교통량의 검증을 위하여 기존의 AADT OD의 인구당 통행발생비율과 계절별 평일/주말 OD의 통행발생량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소수점 두 자리수에서 오차가 발생하여 비교적 합리적인 OD가 추정되었다. 또한 기존의 AADT OD를 이용하여 정책 결정을 할 때의 오류 가능성을 보이기 위하여 각 계절별 평일/주말 OD 교통량과 기존의 AADT OD를 입력 자료로 각각의 네트워크 분석 후 총통행시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정책 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정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신호제어를 고려한 가로망 설계모형의 구축에 대한 연구

  • 강환민;박창호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8.10b
    • /
    • pp.115-115
    • /
    • 1998
  • 가로망은 사회의 발전과 더불어 날로 늘어나고 있는 통행수요를 직접적으로 처리하게 되는 기반시설이다. 따라서 가로망의 구성과 운영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는 교통혼잡 등의 제반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연구되어온 가로망 설계 모형들은 새로운 도로의 건설이나 기존 도로의 확장 등을 통해 가로망을 조정하여, 사용자들의 선택에 영향을 줌으로써 통행 흐름을 원활하게 하고자 한다. 이러한 가로망 설계 과정에서 사용자들에 의해서 초래된 통행비용의 개선과 이를 위해 사용된 투자비용 사이의 관계를 고려하여 적절한 대안을 선택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도시부의 경우, 차량들의 통행패턴은 가로망의 물리적 구성(기하구조, 용량 등)뿐만 아니라, 신호제어(주기, 녹색시간 등)에 의해서 결정된다. 그러므로 가로망 설계 모형에서 고려되는 사용자의 통행비용의 경우, 단순히 가로망의 통행시간 뿐만 아니라 신호제어에 의해서 부가되는 지체도 고려해야 하며, 이를 통해 가로망의 계획단계에서 중요하게 생각해야하는 요소의 하나인 차량의 이동성과 접근성의 부여도 가능하게 될 것이다. 즉, 이동성을 중요시하는 도로와 접근성을 위주로 하는 도로 각각의 기능에 부합하는 가로망 설계가 필요한 것이다.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기존의 가로망 설계모형의 경우, 단순히 용량의 변화에 대한 링크 통행시간과 이로 인한 통행량의 변화만을 고려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도시부에서 실제 차량의 통행패턴은 단순히 도로의 기하학적 용량뿐만 아니라, 교차로에서의 신호제어에 의한 지체에도 상당한 영향을 받게 되며, 가로망 설계 모형에서 이를 반영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신호제어의 영향들을 고려함으로써 가로망 설계 과정에서 가로망의 상반된 역할인 이동성과 접근성의 비교가 가능한 보다 현실적인 가로망 설계 모형을 구축하고자 한다. 지금까지 소개된 가로망 설계모형들은 용량변화에 대한 설계변수의 형태에 따라 이산적 가로망 설계 모형과 연속적 가로망 설계모형으로 나뉘어지게 된다. 본 논문의 경우, 계산속도의 향상 측면에서는 연속적 가로망 설계 모형을 도입할 수 있지만, 이때 요구되는 도로용량이 이산적인 변수(차선 수)로 결정되어야만 신호제어 변수를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이산적 가로망 설계 모형이 사용된다. 하지만, 이산적 설계모형의 경우 조합최적화 문제이므로 정확한 최적해를 구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국부 최적해에 빠지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우선 이상적 모형의 근사화, 혹은 조합최적화문제를 위해 개발된 Simulated Annealing기법의 적용, 연속적 모형의 변수를 이산화하는 방법 등 다양한 모형들을 고려해 본 뒤, 적절한 모형을 적용할 것이다. 가로망 설계 모형에서 신호제어를 고려하기 위해서는 주어진 가로망에 대한 통행 배정과정에서 고려되는 통행시간을 링크통행시간과 교차로 지체시간을 동시에 고려해야 하는데,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 최근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교차로에서의 신호제어에 대응하는 통행배정 모형을 도입하여 고려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지금까지 연구되어온 Global Solution Approach와 Iterative Approach를 비교, 검토한 뒤 모형에 보다 알맞은 방법을 선택한다. 차량의 교차로 통행을 고려하는 performance function의 경우 비신호 교차로와 신호교차로에 대한 적절한 비교가 현재로서는 고려되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구성되는 가로망의 경우 신호교차로들로만 구성되며, 부득이한 경우 입체교차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실제 가로망의 경우, 교통향이 많은 도시부의 경우 주가로망은 대부분 신호교차로와 입체교차로 구성되기 때문에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기존의 신호제어 모형과 가로망 설계모형을 결합하여 통합된 가로망 설계모형의 구축하기 위해, 기존의 연구결과들을 종합하여 보다 적절한 모형을 선택하고, 개선하며, 이의 적용성을 시험하기 위해서, 가상 가로망을 구성하여 모형의 적용 결과를 분석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