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통행자 행태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19초

Social Force Model을 활용한 보행자 대피행태 및 정보제공 시나리오분석: 세종시를 중심으로 (Analysis of Pedestrian Evacuation Behaviors by the Evacuation Information Scenarios Using Social Force Model: Focusing on Sejong City)

  • 최승현;정호용;도명식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31-41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세종시의 생활권역을 대상으로 Social Force Model을 활용하여 재난상황에서의 정보제공 시나리오에 따른 보행자 대피행태와 정보제공효과를 추정하였다. 분석을 위한 재난상황은 지진 등의 긴급재난의 발생으로 인하여 보행자가 보도를 통해 신속히 대피해야 하는 상황을 가정하였다. 대상지역 네트워크의 최적화를 위해 최소 평균통행시간을 기준으로 각 존에 대한 최적 대피소를 선정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정보제공 수준에 따른 대피 시나리오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보행자간의 상충으로 인한 평균 통행시간 및 지체시간이 증가하는 현상도 나타났으나 재해발생에 따른 대피유도정보를 제공할 경우 대피완료시간이 감소하는 등 대피의 효과가 입증되었다. 본 연구는 향후 도시지역의 보행자를 위한 재난방지 계획 등의 기초 연구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다방향보행자모형(MDPM)을 이용한 편측보행 효과분석 (The Effect Analysis of One-side Walking Behavior Using MDPM(Multi-directional Pedestrian Model))

  • 이준;조한선;현경;정진혁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151-159
    • /
    • 2009
  • 보행교통류의 네트워크 모형은 다양한 방법으로 연구되고 있지만 특히 그 적용성과 간결성 때문에 셀 기반의 CA 모형을 이용한 분석이 다수 진행되고 있다. 최근에는 CA 모형의 후속모형으로 제시된 가스입자(Gas Lattice)모형은 확산(dissemination)하는 물질의 행태를 편이된 임의보행(Biased Random Walker)으로 반영하여 보행자의 움직임을 가정하기도 하였다. 이와 같은 모형들은 Agent 기반으로 보행자의 다양한 특성과 보행행태를 쉽게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복잡하고 영향요소가 많은 보행을 설명하는데 미시적인(microscopic) 분석방법론으로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보행의 행태는 보행자의 목적지와 위치에 따라 쉽게 변할 수 있기 때문에 동일한 규칙으로의 설명되는 모형들은 보행자의 행태를 반영하는데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보행자의 행태가 유사한 동질구간(Homogeneous Section)을 정의하고 다방향보행자모형(MDPM: Multi-Directional Pedestrian Model)을 이용하여 현재까지 적용 및 평가되지 못하였던 임의보행과 좌/우측 통행 보행자의 보행특성을 설명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 PDF

토빗모형을 활용한 고령 보행자의 보행 특성 연구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Elderly Pedestrian using the Tobit Model)

  • 최성택;추상호;장진영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16-27
    • /
    • 2016
  • 본 연구는 고령자의 목적별 보행 행태에 대한 기초분석과 함께 토빗모형을 활용해 보행 행태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을 규명하였다. 영향요인으로는 보행자 행태와 연관 있는 개인 특성, 가구 특성, 존 특성 변수 등을 선정하였다. 보행 행태를 대변하는 변수로는 보행 빈도와 보행 시간 변수를 채택하였다. 분석 결과, 보행시간 모형이 빈도 모형보다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목적별로는 교육 목적 모형의 설명력이 가장 낮았으며 기타목적 모형은 다양한 특성이 혼재되어 있었다. 독립변수로는 개인, 가구 및 존 특성 변수가 고령 보행자 목적에 따라 각기 다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이 증가하거나 차량 및 운전면허를 보유한 사람은 보행활동이 감소하였다. 노유자 시설은 고령 보행자의 활동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근린 및 업무시설은 업무 목적 보행 활동을 증가시켰다. 마지막으로 집약적 토지개발은 고령 보행자의 보행 활동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도시계획 관점에서 이를 고려해야할 필요성이 있다는 점을 도출하였다.

지역간 수단선택에 있어서 확률적 후회 최소화 모형의 적용 연구 (Application of Random Regret Minimization Model in the Context of Intercity Travel Mode Choice)

  • 진우정;이장호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87-96
    • /
    • 2016
  • 통행자 수단선택 연구에는 확률 효용 최대화 원칙(RUM)에 입각한 다항로짓모형이 주로 사용되어졌다. 그러나 최근 들어 RUM 원칙을 대신할 대안적 방법론의 제시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대안적 방법의 하나로 제시된 것이 확률적 후회 이론모형(RRM)이다. 본 연구는 지역간 통행자의 수단선택 행태를 모사함에 있어 RRM 모형을 적용하고, RUM 원칙을 적용한 다항로짓모형의 구축결과와 비교를 통하여 RRM 모형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분석결과, RUM 모형과 RRM 모형 모두 모수 추정결과는 직관과 부합하는 결과를 보였으며, 모형의 자료 적합도는 RUM 모형보다 RRM 모형이 조금 더 높게 도출되었다. 결론적으로 자료적합성 측면에서 RRM 모형이 RUM 모형보다 낫다고 판단할 수 있으나, 아직 일부 사례에만 검토되어졌기 때문에 추후 경로선택, 화물 운송수단 선택 등 더 많은 통행자의 선택상황에 대한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민감도 분석을 이용한 연속형 교통망설계모형의 개발 (Development of a Continuous Network Design Model Based on Sensitivity Analysis)

  • 임용택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65-76
    • /
    • 2004
  • 교통망설계문제란, 교통시스템을 최적상태로 만들기 위한 최적의 설계변수를 결정하는 문제이다. 대표적인 교통망설계문제로는 도로를 신설하거나 확장하는 문제가 있으며, 이외에 교통신호시간의 결정, 교통정보의 제공, 혼잡통행료 부과, 새로운 교통수단의 도입 등 여러 교통정책분야가 교통망설계문제에 포함된다고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교통망설계문제는 bi-level 구조로 구축되는데, 기존 대부분의 연구들은 상위문제와 하위문제를 서로 협력없이(Noncooperative) 자신들만의 목적을 최적화시키는 Cournot-Nash게임형태로 구성하여 풀고 있으나, 실제 교통분야에서 다루는 문제들은 리더(leader)와 추종자(follower)가 존재하는 Stackelberg게임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기존 bi-level 문제들이 Cournot-Nash게임형태로 구성되어 풀고 있는 이유는 Stackelberg게임으로 구성할 경우 풀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이런 측면에서 본 연구는 리더와 추종자가 존재하는 Stackelberg게임으로 교통망설계문제를 구성하며, 설계 변수값에 따른 통행자의 행태변화도 인지오차(perceived error)를 고려한 확률적 통행배정문제로 구성하여 좀더 현실적인 결과를 도출하도록 한다. 제시된 모형을 풀기 위하여 민감도분석(Sensitivity analysis)을 이용하며, 설계문제의 해를 구하는 알고리듬도 제시한다. 또한, 이 기법을 일반 도로교통망(general transportation road network)에 적용할 수 있도록 민감도(sensitivity) 유도과정을 자세히 기술하였다. 개발된 모형을 평가하기 위하여 2개의 예제 교통망을 대상으로 모형을 적용한 결과, 합리적인 값들을 도출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횡단안전 지원시스템 설치에 따른 보행자, 운전자 통행행태 변화 (Pedestrians and Drivers Behaviour Change by Installation of Crossing Safety Assistant System)

  • 진민수;이석기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85-93
    • /
    • 2016
  • 본 논문은 보행자와 자동차 운전자에게 안전관련 메시지를 시각 및 청각적으로 전달하고 횡단보도 자체의 시인성을 조명을 통해 개선할 수 있는 요소들로 구성된 '횡단안전 지원시스템'의 설치 전 후에 대한 효과 평가를 수행하였다. 효과 평가는 시스템 설치 전 후별 주행속도, 보행자의 좌 우 살핌 빈도 분석을 통해 시스템 설치 전 후의 안전성 향상도를 평가하였다. 횡단안전 지원시스템의 설치 전 후의 차량 주행속도는 주 야간 모두 감소하였으며 보행자 행태를 조사한 결과 주간에는 횡단 전 또는 횡단 중 좌 우를 보는 빈도의 비율이 설치 전 27.9%에서 설치 후 62.9%로 개선되었고, 야간에는 설치 전 36.0%에서 설치 후 58.7%로 개선되어, 횡단안전 지원시스템의 설치 후 보행자의 안전의식이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고 보행자 행태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보행자의 안전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통근행태와 건강과의 연관성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ssociation of Commuting Behavior with Individual Health)

  • 성현곤;신기숙;노정현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69-178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의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통근행태와 건강과의 연관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행정/사무/관리/연구직 등 대체로 앉아서 근무하는 직장인 1,285명의 통근행태뿐만 아니라 키와 몸무게, 혈압, 콜레스테롤 등 건강상태를 포함하여 설문조사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건강지수를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통근행태를 통하여 신체활동의 운동량을 확인할 수 있는 통근수단, 이용기간, 차외시간, 총 통행시간, 환승여부, 대체수단 여부 등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승용차를 이용하는 통근자에 비하여 비승용차를 이용하는 통근자들의 건강상태가 보다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버스와 도보를 이용하는 통근자는 비만 감소와 혈압, 콜레스테롤의 개선에 기여하고 있으며, 반면 지하철을 이용하는 통근자들은 비만과 콜레스테롤의 감소에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승용차 이용기간이 긴 통근자는 비만과 혈압, 그리고 콜레스테롤이 보다 안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 목적지 선택 행태 분석: 선택 영향 요인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University Students' Trip Destination Choice Behavior focusing on the Influential Factors)

  • 양지현;조창현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68-82
    • /
    • 2016
  • 목적지 선택 행태 분석은 교통 수요 연구의 중요한 주제이다. 본 연구는 일반적인 교통 수요 연구와 달리 일반인과 다른 인구집단적 특성을 갖고 있는 대학생들의 통학 등의 쇼핑, 여가, 오락 활동을 위한 통행의 목적지 선택에 대한 영향 요인을 분석하였다. 대학생들의 일상은 취업자나 중고등학생보다 상대적으로 자율적이나 수업 등의 의무 활동이 혼재되어 있다. 쇼핑, 여가, 오락 활동은 업무나 학업 등의 활동과 달리 그 실행의 구체적인 내용의 선택이 상대적으로 자유롭다. 본 연구는 다항로짓 분석을 통해 대학생들의 거주지 주변, 학교 주변, 강북 지역, 강남 지역 등의 통행 목적지 선택에 대한 영향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이들 활동들의 목적지 선택에는 거주지와 성별, 소득 등이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대학생에 특징적인 다양한 해석이 도출되었다. 일반인과 다른 특성의 대규모 인구집단인 대학생의 통행 특성 연구는 교통계획에 시사점을 준다.

  • PDF

중앙버스전용차로 분리형 횡단보도 무단횡단 억제시설 효과평가 - 숙명여대 입구 중앙버스정류소 횡단보도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Effectiveness of Safety Barriers Restraining Illegal Pedestrian Crossing on Exclusive Median Bus Corridor - Case Study at Sookmyung Women's University Bus Station -)

  • 김진태;김준용;배현식;이동일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77-87
    • /
    • 2014
  • 도로 중앙에 설치된 중앙버스전용차로 상의 안전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앙버스전용차로 횡단보도를 이용하는 보행자의 통행행태를 검토하고 잘못된 통행행태를 억제하기 위한 물리적 차단시설의 안전성 증진 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한다. 무단횡단이 다수 관측되는 '숙명여대입구 정류장'의 '분리형 횡단보도' 를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여 횡단보행행태 영상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영상속 총 19,649인의 횡단행태를 분석하였고 개개인의 횡단행태를 시공간적으로 분류하였다. 전체 횡단행태 중 약 42%가 위반행태 였으며, 이 중 시간적 위반행태는 8.5%에 해당된다. 시간적 위반 행태를 억제하기 위한 시설로서 보행신호와 연동하여 진출입부를 물리적으로 차단하는 시설의 설치상황을 개선안으로 설정하였다. 해당 시설 설치시 현행법을 위반하는 횡단행태가 정상적인 행태로 개선 가능한지를 판단하였고 이에 따라 현황과 개선 상황에 맞는 보행패턴과 보행량을 결정하였다. 각각의 보행자료를 바탕으로 VISSIM을 이용한 보행모의실험을 수행하였고, FHWA에서 제공하는 상충분석 도구 SSAM을 이용하여 상충발생가능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중앙섬 및 노변보도측 횡단보도 진출입부 8개소에 물리적 차단시설을 설치한 경우 상충발생가능성이 약 24.9%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 기반 통행 행태 조사 자료 신뢰성 검증: 서울에서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Testing the Reliability of a Smartphone-Based Travel Survey: An Experiment in Seoul)

  • 이제승;;;김대희;강준희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50-62
    • /
    • 2016
  • 현재 스마트폰은 GPS와 가속도계를 비롯한 센서를 이용하여 인간 행동 자료를 인간의 행동을 간섭하지 않으며 비용을 절감해서 수집할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 기반 설문 조사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평가하였다.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수집한 자료와 가구통행실태조사를 기본으로 구성된 전통적인 종이 설문을 이용한 자료를 비교하였다. 46명의 학생이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7일간 통행 기록을 수집하였고, 같은 기간 동안 종이 설문을 수행하였다. 참여자들은 웹페이지를 통해 스마트폰으로 수집된 자신의 통행 기록을 검증하였다. 검증된 스마트폰 자료는 같은 날에 수집된 종이 설문자료와 매칭되었다. 스마트폰 기반 자료는 종이 설문자료보다 짧은 통행을 기록하는 데 효과적이었다. 통행 자료의 통행시간이 종이 자료의 통행시간보다 짧은 경향이 나타났다. 이는 기존의 종이 설문 참여자가 통행시간을 과대평가하는 경향이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 결과는 스마트폰 기반의 통행 자료 수집 시스템을 발전시키는 데 이바지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