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통합적 사고

Search Result 641,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 Study of the Integrated Modeling of the Incident Investigation Reports (사고조사 보고서 통합 모델링 연구)

  • Lee, ChangeYeol;Choi, Seo 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55-56
    • /
    • 2023
  • 사고 조사 보고서는 부처별, 기관별로 작성되어 관리되고 있다. 사고에 관한 종합적인 보고서로 그 정보가 정확하고, 중요한 정보를 가지고 있지만, 시스템화되지 않고, 또한 부처별, 기관별 그 양식이 다른 관계로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자동으로 중요한 정보를 도출하여 활용하기 어려운 상태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사고조사 보고서의 중요한 6하 원칙 정보와 재난의 원인과 결과 등에 대한 정보를 시스템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는 모델을 연구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응용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 PDF

A Study on Integrated Intelligent SCADA System for Industrial Facilities Management (산업설비 안전관리를 위한 지능형 원격감시 제어 통합시스템 연구)

  • 이성열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6 no.1
    • /
    • pp.51-64
    • /
    • 2000
  • 사회 기간산업이라 할수 있는 전기, 가스 석유등의 대단위 산업설비들은 사고 발생시 대량의 인명, 재산 피해를 가져오기 때문에 고도의 안전관리 시스템 하에서 운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존 산업설비들의 안전관리는 서로 분산, 독립적인 안전관리 시스템들을 사용하고 있다 분산, 독립적인 안전관리 시스템은 산업설비에 대한 사고나 고장발생시 대부분 사람에 의존한 상황처리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즉 사고가 발생하면 다른 안전관리 시스템들을 확인하고 그 결과를 통합하는 과정을 거처 상황처리에 대한 대책을 세우게 된다 이러한 과정은 추가적인 인력소모와 시간소모가 발생하게 되고 상황처리자의 미숙한 상황처리로 인한 사고가 발생하기도 한다. 본논문에서는 이러한 독립 안전관리 시스템의 단점을 극복하고 사고 발생시 신속, 정확하고 효율적인 상황처리를 위해 개별적인 안전관리 모니터 시스템들을 통합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기존의 독립적이고 단편적인 상황추론을 국복하고자 통합된 지식베이스와 모니터 시스템들의 실시간 자료에 근거한 블랙보드 기반의 제어지식을 이용하여 종합적인 상황추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각 시설물들에 대한 고장진단 시스템을 포함하는 지능형 원격감시 제어 통합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Source Tracking Models on Chemical Leaks for Emergency Response in Chemical Plants Based on Deep Learning of Big Data (화학공장 누출사고 대응을 위한 빅데이터-딥러닝 누출원 추적모델)

  • Kim, Hyunseung;Shin, D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11a
    • /
    • pp.339-340
    • /
    • 2017
  • 화학공장의 누출사고는 초기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할 경우 화재 폭발과 같은 2차 3차의 복합재난사고로 확산될 위험성이 매우 높다. 이러한 이유로 누출사고 발생 초기에 누출이 발생한 지점을 신속히 파악하여 현장안전요원에게 알림으로써,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초기대응을 가능하게 하여, 사고피해를 완화시킬 수 있는 통합적인 누출사고 대응시스템 구축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통합적인 누출사고 대응시스템 구축을 위한 선행연구로, 딥러닝 기반의 누출원추적 모델 개발을 제안한다. 여수에 위치한 실제 화학공장을 대상으로 누출사고 시나리오에 대한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시뮬레이션을 진행한 뒤, 화학공장 경계면에 배치된 각 센서별 위치에서의 농도, 풍향 그리고 풍속데이터를 추출하고, 센서 좌표를 추가하여 인공신경망을 학습시켰다. 학습된 모델은 40개의 누출후보군에 대해 학습에 사용되지 않은 상황들에서도 75.43%의 정확도로 누출이 일어난 지점을 실시간 예측해냄을 확인하였다. 또한 누출지점 예측이 일치하지 않은 경우도, 예측된 지점이 실제 누출이 일어난 지점과 물리적으로 매우 인접함을 확인함으로써 제안된 모델을 실제 현장에 적용할시 기대되는 효과는 더 클 것으로 판단하였다.

  • PDF

해양사고 원인규명 통합 분석 시뮬레이션 시스템

  • Lee, Sang-Gap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6.05a
    • /
    • pp.50-54
    • /
    • 2016
  • 해양사고 원인규명 통합 분석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해양사고가 발생하는 과정(선회)을 포함하여 충돌, 좌초, 접촉, 전복, 침수 및 침몰 등의 해양사고를 유체-구조 연성 해석기법의 고도 정밀 M&S 시스템을 사용하여 과학적으로 해양사고의 원인을 분석하고 사고의 손상과정을 체계적으로 재현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해양사고는 육상과 공중에서 발생하는 자동차와 비행기 등의 충돌이나 추락사고와는 달리 공기의 밀도보다 천배의 물에서 발생하므로 물에서 부양되고, 운동하고, 선내에 물이 침수되고, 운항 중일 때 파도도 생성시키고, 두 물체가 근접할 경우에는 압력이 압착되고, 두 물체가 스쳐 지나거나 안벽이나 해저를 근접하여 운항할 경우에는 압력이 저하되는 등 물에서의 연성효과(interface effect)를 충분히 고려하여 재현할 수 있어야 정확하게 해양사고의 원인을 규명 및 분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황천에서 발생하는 해양사고일 경우에는 강한 조루, 강풍 및 해일성 파도 등을 불규칙 스펙트럼을 사용하여 정확히 구현하여야 황천에서 발생하는 해양사고의 원인을 충분히 분석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해양사고 통합 분석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이용하여 과학적이고 정확한 해양사고의 원인규명 및 분석으로 심판의 획기적인 신뢰 구축과 심판 지연에 따른 사회적 비용을 최소화하고, 해양사고의 원인과 과실 책임, 나아가서 사고 재발방지 대책수립 등에도 활용하는데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Study on Build-up of the Korea Unified Command System(KUCS) for Catastrophic Oil Spill (재난적 유류유출사고에 대비한 한국형 통합명령체계(KUCS) 구축에 관한 연구)

  • Yun, Jong-Hwui;Moon, Jung-Hwan
    • Proceedings of KOSOMES biannual meeting
    • /
    • 2009.06a
    • /
    • pp.9-15
    • /
    • 2009
  • On-Scene Commander's quickly discernment is very important in Catastrophic Oil Spill. The Korea carring out multiagency to catastrophic oil spill. but It cannot communication to other agency and happened to operation empty and duplications. The United State enforced Incident Command System/Unified Command (ICS/US) on National Incident Management System in 2008. The Korea Government must be preparation Unified Command System include Non-Government and an oil refining company.

  • PDF

Integral Thinking in Music Therapy (음악치료에서의 통합적 사고)

  • Lee, Jin Hyung
    •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 /
    • v.12 no.1
    • /
    • pp.65-94
    • /
    • 2015
  • The number of theoretical orientations and approaches in music therapy has risen sharply. This development of new theories may contribute to the advancement of specific therapeutic techniques; however, it can also lead to increased confusion for consumers and professionals for clinical and practical reasons. Due to these concerns, therapists often debate questions such as the following: what is the most effective therapeutic approach, what is the most ethical and professional course of action when clients do not appear to benefit from therapy, and is it possible to integrate ideas and techniques from multiple frameworks and theories in order to better serve the client? This paper describes a new way of thinking for music therapists called Integral Thinking in Music Therapy (ITMT), proposed by Kenneth Bruscia as a comprehensive approach to addressing the clinical needs of the client. ITMT is a way of thinking that embraces existing models and theories, suggests when a particular approach is indicated with its own value, and helps us to move away from one-way thinking to a more comprehensive approach in order to better serve our clients. This article illustrates the basic premise and clinical application as well as a hypothetical application of ITMT based on an actual case study.

A Development of Convevance Incident Response Manual by Standardizing Hazardous Materials (위험물 표준화를 통한 운송 사고대응메뉴얼 개발)

  • Park, Jong-Seo;Jeong, Seong-Bong;An, Chan-Gi;Kim, Yeon-Eung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12.04a
    • /
    • pp.447-460
    • /
    • 2012
  • 현재 위험물 운송 사고는 점차 감소하는 추세이지만 위험물 운송 사고는 특성상 한번의 사고로 인해 주변의 인명 및 환경에 막대한 피해를 입히게 된다. 이러한 위험물 운송 사고의 대응을 위해 각 기관들이 있지만 기관별로 메뉴얼 및 방침이 다르게 적용되어 있어 운송 사고에 대한 정확한 정보전달이 미비한 실정이다. 결과적으로 운송사고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여 잘못된 대응계획으로 사고처리가 늦어질 수도 있다. 사고시 적절한 대응을 위해서는 위험물질의 종류와 양, 사고위치, 주변상황 등에 대한 정보가 전달되어야 사고대응에 대한 장비, 인력 편성 등 정확한 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다. 현재 국내의 정부 유관기관별로 위험물질 사고대응메뉴얼을 구축하여 제공하고 있으나, 운송 및 수송 사고에 대한 사고대응메뉴얼의 부재로 2차적인 피해가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위험물질의 표준화하고 이에 대한 사고대응매뉴얼을 개발하여 위험물 운송 사고시 사고에 대한 정보를 유관기관에게 신속 정확하게 전파하여 통합적인 초동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Developing integrated black-box system for proving sudden unintended acceleration of vehicles utilizing OBD-II and a camera attached to a foot (자동차 급발진 사고 시 원인 규명을 위하여 OBD-II 와 차량 내 풋 카메라를 이용한 통합 블랙박스 시스템 개발)

  • Lee, Jung-eun;Jang, Jong-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3.10a
    • /
    • pp.438-441
    • /
    • 2013
  • 알려진바 한 해 우리나라에서 200여 건 이상의 차량 급발진으로 추청 되는 사고(Sudden Unintended Acceleration, SUA)가 발생하지만 지금까지 명확하게 급발진으로 추정되는 사고의 원인을 밝혀내지 못해 사고를 당한 운전자는 막대한 정신적, 물질적 피해를 보고 있다. 이에 차량의 급발진으로 추정되는 사고 시 차량의 상태 및 원인 파악을 위하여 차량 내 설치되는 OBD-II(On Board Diagnostics-II)와 운전자의 발쪽을 촬영하는 Foot Camera를 이용하여 통합 블랙박스 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한다. 지금까지의 블랙박스 시스템은 단순히 사고 시 영상을 촬영 저장하여 운전자에게 보여 주는 장치라면 현재 구현하려는 통합시스템은 블랙박스 자체에서 이동 통신을 통한 차량데이터 실시간 서버 전송 및 스마트 폰과 스마트 패드의 앱(App)으로 OBD-II와 메인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사용자 차량의 현재 상태, 차량의 이상 유무, 소모품 교환 시기, 차량사고 시 영상 및 급발진 추정 시 차량상태, 위치, 이동거리, 운전자의 발쪽 영상 저장 및 재생 등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다양한 기능과 정보들을 블랙박스 하나로 통합하여 구현 할 것이다. 이 시스템이 개발되면 차량 관리에 서툰 여성 운전자들, 좀 더 체계적이고 손쉽게 내 차 정보를 원하는 운전자들과 전 세계 자동차 소비자들의 관심사인 급발진에 대한 사고 분석이 정확해 질 것으로 여겨진다.

  • PDF

Types of Integrative Thinking Ability in Solving Earth Science Items (지구과학 문제 풀이에서 활용되는 통합 사고 유형)

  • Kwon, Susie;Shin, Donghee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 /
    • v.42 no.3
    • /
    • pp.322-333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integrative thinking that learners with diverse learning backgrounds use in solving earth science problems. Four students in middle school were surveyed using questionnaires to know students' science learning background and test items with integrated content. A total of 200 items, 40 integrated items and 160 general items, were administered ten times. The students did not show a consistent relationship in terms of correct answer percentage in general items and that of in integrated items. In order to understand the type of integrative thinking of each student, after students solve an item, we analyzed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by types and interviewed them and analyzed the content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inking used in solving each item. As a result, the types of integrative thinking used in problem solving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knowledge-based, real life-based, and integrated inquiry-based types. It is necessary to study various ways to improve the integrative thinking abilit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in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Effects of Physical Computing Education Using App Inventor and Arduino on Industrial High School Students' Creative and Integrative Thinking (앱 인벤터와 아두이노를 이용한 피지컬 컴퓨팅 교육이 공업계 고등학생의 창의·융합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 Choi, Sook-Young;Kim, Semin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9 no.6
    • /
    • pp.45-54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ndroid application programming education to control Arduino using App Inventor on industrial high school students' creative and integrative thinking ability. We developed an instructional content based on integrative learning and creative problem-solving model and taught a class on it.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divergent thinking and motivation items among the sub elements of creative problem solving. In addition, students' survey on the integrated thinking has shown that many students think that they could design an IoT system applied to everyday life based on the knowledge they have learned in this class. Therefore, it can be confirmed that physical computing education using App Inventor and Arduino has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creative and integrative thinking a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