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통합도시계획 모형

Search Result 49,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A GIS-based Land Use and Transportation Forecasting Model (GIS를 이용한 도시계획 모형)

  • Oh, Seung;Kang, Seung-Lim;Lee, Kyung-So;Kim, Tschang-Ho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1999.06a
    • /
    • pp.49-66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GIS를 이용하여 통합도시계획 모형을 정립하고 구현한 과정을 기술한다. 본 통합도시계획모형은 현재 시점에서 도시가 갖는 구조를 바탕으로 분석을 위한 계획죤을 생성하고, 생성된 계획죤들에서 발생할 수 있는 미래의 토지이용과 교통상황을 예측하여 그 결과를 전자지도와 그래프에 표현하는 과정들을 포함하고 있다. 이는 기존의 수작업으로 진행되던 계획을 위한 분석과정을 체계적으로 계량화함으로써 자동화된 분석을 통해 여러 가지 상황하에서 미래의 상황을 예측해 볼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도시계획통합모형을 정립하고 구현하는 과정을 통해 얻어진 연구경험과 지식을 토대로 앞으로 개발방향과 모형의 발전방향에 대해 기술한다.

  • PDF

TranDASS : A Transortation Planning Machine Equipped with GIS and Expert System (TranDASS : GIS와 전문가 시스템을 응용한 교통계획 Package)

  • 최기주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1 no.3
    • /
    • pp.5-20
    • /
    • 1993
  • 본고의 목적은 기존의 교통계획 모형이 가지는 제반 문제점을 GIS와 전문가체계를 교통계획과정에 통합함으로서 얻을 수 있는 편익을 살펴보는데 있다. GIS의 통합에서는 GIS network data를 교통계획모형의 network data로 변환하는 작업이 중추적인바 본고에서는 GIS의 위상학적 data 체계를 변환시킬 수 있는 방안이 제시되었으며, 전문가 시스템의 통합은 복잡한 교통계획 모형의 사용에 있어서 사용자와 대화를 통한 모형입력의 자동화와 교통계획과정에서 생겨나는 애매모호한 여러판단작업(judgmental issues)의 효율적 처리를 통해서 전체적인 교통계획과정을 쉽고 편리하게 하는 측면에서 검토되었다. 또한 양자의 통합을 계기로 전반적 계획과정에 feed back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종래의 순차적인 모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극복하려는 시도도 해 보았다. TranDASS(Transportation Decisio Aid and Support System)라는 PC상의 구현을 통해서 상기의 통합이 이루어졌으며 기존의 교통계획모형의 문제점을 해소하면서 특정도시 및 지역에 장.단기적 교통계획의 수립을 용이하게 할 것으로 보인다.

  • PDF

The Optimization of Left-Turn Phase Sequences on Signalized Arterials for Minimum Delay (지체최소화를 위한 도시간선도로 좌회전현시체계 최적화에 관한 연구)

  • 김영찬;신언교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5 no.1
    • /
    • pp.157-174
    • /
    • 1997
  • 도시간선도로의 신호시간요소를 계획하는 방법은 크게 3가지로 나뉜다. 이들은 통 과폭 최대화모형, 지체도 최소화 모형 그리고 이들 두 가지 모형의 통합모형으로 구분된다. 기존의 통합모형은 지체를 줄이기 위하여 최대 통과폭 모형인 PASSER-II로 최적화된 좌회 전현시순서를 TRANSYT-7F에 사용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통과폭 최대모형과 기존의 통합 모형은 지체를 최소화해주지 못하고, 반면에 지체도 최소화모형인 TRANSYT-7F는 좌회전 현시순서를 최적화 시켜주지 못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 모 형들의 갖고 있는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좌회전현시를 최적화하면서 지체를 최소화해줄 수 있는 새로운 모형(KS_SIGNAL)을 개발하는데 있다. 개발된 모형은 MAXBAND 등과 같은 최대통과폭모형을 발전시킨 혼합정수계획법 형태를 갖는다. 평가결과에 의하면 개발된 모형 으로 최적화된 좌회전현시순서를 TRANSYT-7F에 사용할 경우 TRANSYT-7F나 PASSER-II 와 TRANSYT-7F를 통합한 기존 모형들보다 지체를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에너지적합형 지역개발 모형연구

  • 김상현;전원표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1995.05a
    • /
    • pp.179-184
    • /
    • 1995
  • 본 연구는 도시기능의 주요 요소인 주거단지 및 공업단지를 중심으로 환경부담을 최소화 시키면서도 에너지효율을 제고 시킬수 있는 방향으로 에너지적합형 지역개발사업 모형을 개발.제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기존의 토지이용계획에 시스템적 관점의 에너지 및 환경관리를 통합하기 위한 에너지통합계획의 기본개념,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개발(ESSD)을 위한 국내외동향 및 기술목록 사례를 소개하고, 주거단지 및 공업단지를 중심으로 "에너지이용합리화법(법률 제4426호)"에 의거한 기존의 에너지사용계획서의 보완방안 및 사례연구를 통한 에너지적합형 개발모형을 소개하고자 한다. 소개하고자 한다.

  • PDF

AN INTEGRATED URBAN MODEL : A COMBINATION OF AN URBAN ECONOMIC MODEL AND TRANSPORTATION-LAND USE MODELS (도시경제모형과 교통 -토지이용모형을 결합한 대도시통합모형-)

  • 전명진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2 no.4
    • /
    • pp.53-63
    • /
    • 1994
  • 도시확산과 지방분권화의 시대적 추세는 도시경제 및 교통-토지이용모형의 구조에 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첫째, 도시의 공간적 확산과 고밀도화로 인한 도시내 제반 경제.사 회활동이 이전보다는 훨씬 다양해지고 복잡해지고 있다. 둘째, 지방분권화로 인해 대도시내 작은 지역단위별 주민들이 자신의 지역문제에 대한 관심과 요구들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도시계획 및 정책은 대도시내 공간적으로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이익집단에 상이 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러한 요인으로 인해 대도시 모형은 1) 도시내 제반활동의 흐름을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어야 하며, 2) 도시계획 및 정책의 효과를 도시 내 세분화된 공간별, 업종별로 분석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는 Wilson의 모형에 도시내 중요한 경제활동인 통근과 shopping변수를 추가하여 Wilson의 모형이 대도시모형으로 이용 될 때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였다. 또한 모형을 구성함에 있어 Matrix Inversion과 Non-linear Programming Model의 두 가지 방법을 도입하고 그 장단점을 비교하였다. Matrix Inversion의 경우 해 (Solution)을 찾기가 쉬워 실질적이고 승수계산과정에서 각 Round마다 승수의 크기를 알 수 있는 반면 Programming을 통한 모형의 경우 제약식의 도 입이 용이하고 목적함수의 형태를 바꾸는 것이 가능하므로 이론적 기틀을 세우는데 유리한 접근방법으로 분석되었다.

  • PDF

유고를 고려한 고속도로 교통축의 동적통합제어모형 구축

  • 유병석;전경수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8.10b
    • /
    • pp.296-296
    • /
    • 1998
  • 고속도로 교통축은 고속도로와 운전자가 대체도로로 이용할 수 있는 표면가로로 구성된 가로망을 말한다. 이러한 고속도로에서의 도로망의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시행되고 있는 제어기법으로는 고속도로 진입램프에서의 램프미터링과 표면가로에서의 신호시간조정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통합한 제어전략은 아직 고려되고 있지 못하다. 고속도로에서 사고나 극심한 혼잡으로 인해 지체가 되었을 경우 단순히 진입램프에서 램프미터링만을 실행하는 것이 아니라 부체도로로의 경로전환을 통해 고속도로교통축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는 지능형교통체계(ITS)에서 고려하고 있는 경로안내시스템과도 결부된다. 그러므로, 고속도로 교통축에서는 진입램프에서의 램프미터링전략과 진출램프에서의 경로전환전략, 표면가로에서의 신호최적화전략을 통한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고속도로에서의 진입램프미터링과 진출램프를 통한 경로전환, 표면가로에서의 신호시간조정을 통합한 제어모형을 구축하고, 그에 따른 통합제어알고리즘을 개발하는 것을 본 논문의 목적으로 한다. 통합제어모형은 적정 제어변수의 값을 구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선형계획법을 적용하였으며, 시뮬레이션을 통해 통합제어알고리즘을 우수성을 검증하였다.

  • PDF

A Study on Policy Directions of U-City Planning in Busan using System Dynamics Model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형을 이용한 부산시 U-City 계획의 정책방향 연구)

  • Kim, Byeong Sun;Shin, Dong Bin;Kim, Kirl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20 no.4
    • /
    • pp.55-65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the System Dynamics Model that can analyze urban spatial and temporal change and suggest the policy directions applicable to U-City Planning in Busan based on the SD model. It reviews previous literatures to elicit U-City issues and performs the case study to simulate urban spatial and temporal changes in Busan. The elicited results are connected into the policy directions of U-City planning. It emphasizes the necessity of business model suggestion based on U-City technology and industry not a tool, the U-City model construction that linkages and integrates the existing cities and new cities, and the excavation of U-City service model reflecting social and demographic changes.

Study on Forecasting Urban Rail Demand Reflecting Transfer Fare Value in a Non-integrated Fare System (독립.환승할인요금체계하의 환승요금가치를 고려한 도시철도 수요추정 연구)

  • Lee, Jong-Hun;Son, Ui-Yeo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7 no.5
    • /
    • pp.155-162
    • /
    • 2009
  • The recent increase of light rail construction by the private sector in Korea has caused a new issue in forecasting rail demand. Integrated fare systems between several rail operators is convenient and brings cost savings to users, and therefore is also very effective in increasing demand. However, it causes some short-term revenue loss to operators so that the private sector often suggests a non-integrated fare system. The current rail demand forecasting model is based upon an integrated fare system. Thus this model cannot be used to forecast the demand with a non-integrated fare system. Some value of transfer fare should be estimated and applied to forecast the demand in a non-integrated fare system. This study conducted a stated preference (SP) survey on urban railway passengers and estimated the value of transfer fare. The estimated value is 2,609 Won/hr, which is about 52% of in-vehicle time. This shows railway users have a tendency to pay more for transfer fares to save time or distance. This value has some limitations since it is derived from the SP survey. If some non-integrated fare system is applied in the future and a RP survey is conducted and compared with these study results, a more clear value of the transfer fare will be derived.

Basin-Wide Real Time Daily Multi-Reservoir Operation Using K-MOSIM (K-MOSIM을 이용한 유역통합 실시간 일 저수지 운영)

  • Lee, Jin-Hee;Ko, Ick-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948-952
    • /
    • 2006
  • 인구의 증가와 경제의 발전으로 인해 한정된 수자원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였고 향후 고도의 복지사회 구현과 지방 자치화에 따른 각종 용수 수요에 대한 심각한 물 배분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특히 심각하게 물 배분 문제가 야기될 때 각 수요지점별로 필요한 용수를 공급하기 위해서 단지 상류에서 하류 단으로 물을 배분한다면 수리권의 공정성 문제가 제기되며 물 관리 원칙의 결여에 따른 곤란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렇게 갈수 및 가뭄 시와 같이 물 배분 문제가 생길시 에는 우선 하천유역 전체의 가용수량을 파악한 후 각 용수 사용별로 중요성을 감안하여 용수공급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전 하천 유역을 통하여 일관된 배분을 실시할 수 있는 수자원 최적화 배분 시스템을 개발 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과 콜로라도주립대학에서 공동 개발한 유역 네트워크 유량 모델(River Basin Network Flow Model)인 K-MODSIM을 이용하여 유역통합 실시간 일 저수지 운영 모델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유역통합 실시간 일운영 모델은 금강유역에 적용하였으며, 금강유역을 12개의 소유역으로 구분하고, 용담댐과 대청댐을 포함하며, 유역관리는 용수공급, 치수대책, 발전수력 및 하천 유지용수의 공급등의 유역내 수자원 관리 상황을 포함하였다. 이처럼 유역의 매우 자세한 세부사항을 고려함으로서 기존에 개발된 모델이 가지고 있던 단순화의 단점을 보완하고 유역의 특성을 최대한 반영하도록 하였다. 또한 유역통합 실시간 일운영 모델의 장기적인 저수지 운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암시적 추계학적 동적계획법을 사용하여 도출된 월운영룰을 일운영모델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 하였다.기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기능을 선택하면 해당 화면으로 GUI가 전환된다. 따라서 다량의 측정자료의 신뢰성을 유지하고 이를 모형의 입력자료로 활용하는 일련의 과정을 시스템화하기 때문에 자료의 이상적 유지 관리가 이루어지며 복잡한 2차원 수질해석 모형을 수월하게 운영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개발하였다.제외하면, 부자측정 방법에 의한 유량산정시 가장 큰 오차원인은 홍수시 측정된 유속측선의 위치와 홍수 전후로 측정된 횡단면상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는 점과, 대부분 두 측정 구간의 평균값을 대푯값으로 사용한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다년간의 유량 측정 및 검증 경험과 자료를 토대로 현장에서 부자를 이용하여 측정된 측정성과를 정확도 높은 유량자료로 산정하는데 있어서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오차를 추정하여 그 개선방안을 제시해 보고자한다. 더불어 보다 정확한 유량 산정을 위한 기준과 범주를 제시하고자 한다.리적 특성을 잘 반영하며, 도시지역의 복잡한 배수시스템 해석모형과 지표범람 모형을 통합한 모형 개발로 인해 더욱 정교한 도시지역에서의 홍수 범람 해석을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모형의 개발로 침수상황의 시간별 진행과정을 분석함으로써 도시홍수에 대한 침수위험 지점 파악 및 주민대피지도 구축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4일간의 기상변화가 자발성 기흉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고 추론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 추론된 기상변화와 기흉 발생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좀 더 구체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는 초과수익률이 상승하지만, 이후로는 감소하므로, 반전거래전략을 활용하는 경우 주식투자기간은 24개월이하의 중단기가 적합함을

  • PDF

An Incident-Responsive Dynamic Control Model for Urban Freeway Corridor (도시고속도로축의 유고감응 동적제어모형의 구축)

  • 유병석;박창호;전경수;김동선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7 no.4
    • /
    • pp.59-69
    • /
    • 1999
  • A Freeway corridor is a network consisting of a few Primary longitudinal roadways (freeway or major arterial) carrying a major traffic movement with interconnecting roads which offer the motorist alternative paths to his/her destination. Control measures introduced to ameliorate traffic performance in freeway corridors typically include ramp metering at the freeway entrances, and signal control at each intersections. During a severe freeway incident, on-ramp metering usually is not adequate to relieve congestion effectively. Diverting some traffic to the Parallel surface street to make full use of available corridor capacity will be necessary. This is the purpose of the traffic management system. So, an integrated traffic control scheme should include three elements. (a)on-ramp metering, (b)off-ramp diversion and (c)signal timing at surface street intersec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integrated optimal control model in a freeway corridor. By approximating the flow-density relation with a two-segment linear function. the nonlinear optimal control problem can be simplified into a set of Piecewise linear programming models. The formulated optimal-control Problem can be solved in real time using common linear program. In this study, program MPL(ver 4.0) is used to solve the formulated optimal-control problem. Simulation results with TSIS(ver 4.01) for a sample network have demonstrated the merits of the Proposed model and a1gorith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