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통증사정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3초

통증이 있는 암환자의 우울 정도 및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The Severity and Variables Influencing Depression in Cancer Patients with Pain)

  • 김현숙;윤영호;이소우;허대석;손행미;허봉렬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권2호
    • /
    • pp.125-137
    • /
    • 1999
  • 목적 : 본 연구는 한국판 BDI를 이용하여 통증이 있는 암환자의 우울 정도, 우울과 통증의 관계 및 우울과 관련된 변인들을 조사하여 암환자의 우울 관리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방법 : 1999년 2월부터 6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 혈액종양내과에 입원 및 외래치료중인 암환자 14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우울은 한국판 Beck Depression Inventory, 통증정도는 간이 통증 평가도구의 일부문항인 숫자척도를 이용하여 자기 보고형 질문지를 통하여 수집되었고, 인구학적 및 임상학적 자료는 의무기록 열람 및 주치의의 의견을 참조하여 수집되었다. t-test와 ANOVA를 사용하여 변인에 따른 집단간 우울정도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변인간 상관관계분석은 Pearson 상관계수를 구하였다. 결과 : 1) 연구대상자는 142명으로 이중 남자가 79명 여자가 63명이었으며, 평균연령은 51.86세였다. 2) 연구대상자의 24시간 동안 가장 심했을 때 통증의 평균은 6.08(SD=2.23), 24시간 평균통증의 평균은 4.44(SD=1.85), 조사 당시 느끼는 통증의 평균은 3.48(SD=2.25), 가장 약했을 때 통증의 평균은 2.25(SD=1.83)이었다. 3) 연구대상자의 평균 BDI 점수는 23.73(SD=10.99) 이었으며, 대상자의 55.6%가 우울군(절단점 21)에 속했다. 4) 24시간 동안 가장 심했을 때의 통증정도와 우울(r=0.252, P=0.002), 24시간 평균통증정도와 우울(r=0.225, P=0.007, 조사당시 바로 지금 느끼는 통증정도와 우울(r=0.291, P=0.000)은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가장 약했을 때 통증정도와 우울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5) 통증이 있은 암환자의 우울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인구학적 특성은 성별(t=3.59, P=0.000)과 교육정도(F=4.063, P=0.009)였으며, 임상적 특성은 ECOG에 의한 활동도(F=3.352, P=0.021)였다. 또한 대상자의 연령과 우울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r=0.171, P=0.042)가 있었다. 결론 : 통증이 있는 암환자에 있어서 우울은 과반수 이상이 경험하는 정서적 증상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통증, 성별, 교육정도, 활동도, 연령 등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거나 관계가 있음을 밝혔다. 그러므로 암환자들을 대하고 있는 의료진들은 이상의 연구결과를 적용하여 우울의 고위험군을 미리 예상하여 통증뿐 아니라 우울정도를 자주 사정하고 우울에 대한 효과적인 중재를 제공하여야 한다.

  • PDF

치매노인의 통증사정을 위한 한국어판 PACSLAC의 신뢰도, 타당도 및 유용성 평가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ain Assessment Checklist for Seniors with Limited Ability to Communicate)

  • 김은경;김세영;엄미란;김현숙;이은표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398-406
    • /
    • 2014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develop and test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ain Assessment Checklist for Seniors with Limited Ability to Communicate (PACSLAC-K) in assessing pain of elders with dementia living in long-term care facilities. Methods: The PACSLAC-K was developed through forward-backward translation techniques.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307 elders with dementia living in 5 long-term care facilities in Korea.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Spearman's rho, paired t-test, ROC (receiver operation characteristic) curve with the SPSS/WIN (20.0) program. Results: The PACSLAC-K showed high internal consistency (.90), interrater reliability (.86), intrarater reliability (.93), and high concurrent validity (.74) in paired t-test with PAINAD. Discriminant validity also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with no pain. The PACSLAC-K showed a sensitivity of .93, specificity of .88, and Area Under the Curve of .95 in the ROC curve.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PACSLAC-K is useful in assessing pain for elders with dementia living in long-term care facilities.

요양병원 입원노인의 건강이 수면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ealth Status on Sleep Quality and Quality of Life among Elderly patient in geriatric hospitals)

  • 김은하;문선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1호
    • /
    • pp.415-426
    • /
    • 2014
  • 본 연구는 실증적 검증을 통해 노인의 건강상태가 수면의 질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요양병원에서 노인 간호의 질적인 개선을 위한 간호중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경기도와 부산광역시에 위치한 5개의 요양병원에 입원한 60세 이상의 노인 170명을 대상으로 2013년 5월 8일부터 28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요인 분석 결과 노인의 건강상태는 정서적 기능, 체력, 일상생활활동, 사회적 역할, 몸의 변화, 사회적 기능, 통증으로 구분되었으며, 정서적 기능과 통증은 수면의 질에 부적 영향을 미쳤고, 몸의 변화와 일상생활활동은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요양병원 노인 간호의 질적인 향상을 위해서는 입원한 노인의 통증과 정서적 문제를 조기에 발견하여 수면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노화에 따른 몸의 변화와 일상생활 활동을 살펴 적절히 대처하기 위해서 요양병원 특성을 고려한 신체사정 및 건강증진 간호중재전략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중환자 통증사정 도구의 타당성 평가 (Validation of Critical Care Non-verbal Pain Scale for Critically Ill Patients)

  • 최은희;김진희;고미숙;김지양;권은옥;장인순
    • 임상간호연구
    • /
    • 제19권2호
    • /
    • pp.245-254
    • /
    • 2013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examine predictive validity of Critical Care Non-verbal Pain Scale (CNPS) and develop criteria for pain assessment using CNPS with critically ill patients who have communication problem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intensive care units at three major general hospitals in Seoul and Kyunggi province. During each observation, a nurse assessed pain severity using CNPS ratings (range 0-9) at four treatment stages: at rest, during central catheter dressing change (nonpainful procedure), position change and suctioning (routine painful procedures). Patients also assessed their pain using a self-report 4-point VRS-4.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four treatment stages except between "at rest" and "nonpainful procedure". Strong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CNPS and VRS-4 for "at rest" (r=.552, p<.001), central catheter dressing change (r=.505, p<.001), position change (r=.709, p<.001), and suctioning (r=.662, p<.001). ROC curve analysis of CNPS based on 3 point on VRS-4 showed the cutoff point was 3 for CNPS, the starting point for pain management with 73% sensitivity, 92.2% specificity, 73% positive predictive value, and 92.8% negative predictive value. Conclusion: Results indicate that CNPS is a valid tool for measuring pain in critically ill patients with communication problems and 3 point should be the standardized pain treatment point.

지능형 통증 간호중재 유헬스 시스템 성능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Intelligence Pain Nursing Intervention U-health System)

  • 정호일;류현;정경용;이영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1-7
    • /
    • 2013
  • 개인화 추천 시스템은 자동화된 정보 필터링 기술을 적용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상품을 추천해 주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기술 중 협력적 필터링은 비슷한 패턴을 가진 형태들을 식별해 내는 기법이다. 따라서 이를 이용하면 과거 유사한 형태를 가진 환자의 자료를 통하여 통증 강도를 유추 하거나 분류된 환자의 프로필의 유사도에 따라 관련 사정을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유사도 가중치 추출의 대표적인 방법인 피어슨 상관계수를 사용하는 방법은 데이터의 양에 따라 표본 데이터가 적은 경우 예측 값이 부정확해지고 양이 방대한 경우 계산량이 제곱으로 늘어 신속한 결과를 추출할 수 없게 되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MAE와 순위 스코어를 사용하여 의미있는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표본 자료의 규모와 유사도 군집량을 비교하여 구현된 지능형 통증 간호중재 유헬스 시스템의 우수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하여 통증환자의 고통호소를 간호사가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기초자료와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게 되고, 따라서 환자의 안위 증진이 향상되게 된다.

척추질환자의 요통사정을 위한 통증행위 관찰법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정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Behavioral Observation Method for Assessing Low Back Pain in Patients with Spinal Diseases)

  • 윤호순;이은옥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97-115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observed behaviors of subjects who suffered from low back pain with spinal diseases, Thirty two low back pain patients admitted on the neurosurgical unit in an army hospital were compared with 30 normal controls belonged to an army unit, by means of matching the age, hight and weight. Observed pain behaviors were developed by the researcher on the bases of literature and patient observation. This tool consists of 18 behaviors seperated into two major groups : mutually exclusive and concomittent behaviors. The mutually exclusive behaviors included coding cathegories for 6. body motions assumed by the subjects during the observation session. These 6 standardized motions consisted of sitting from standing first, and serially tying down, reclining, sitting again, and then standing, 6 steps walking. Concomittent behaviors consisted of 12 observable patterns that can be observed systematically from the face, grimacing, bracing, rubbing, walking with arms fixed, support with hands on sitting or standing, guarded movement, limping, unbalaced weightbearing, stopped movement from tying position to sitting, sighing and graoning. Subjects were videotrecorded as they performed a 6-standardized sequence of motions, simultanously researcher measured the time spent performing each motion and step length. Patients were asked torate their subjective pain score on the 10 mm graphic rating scale ranging from 'no pain' to 'sever pain'. For scoring of the pain behaviors, two trained nursing officiers independently and simutanously viewwd each videorecording and checked subject 'pain behaviors at the observational item checklist. The result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Reability of the observational tool was a=.845. 2. Spearman's rho and percentage agreement were p=.97 and 81.7 persent respectively, that indicate adequate interrater reability of this tool. 3. The sensitivity rate of the tool was .875 while specificity rate .866 for differentiating patient from the normal. 4. When difference in the objective pain indices between patient group and control were compare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f all indices, such as pain behavior(t=7.71, p=.0001). spent time performing motion(t=14.2, p=.0001), step length (t=-10.72, p=.0001). 5.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objective indices the subjective pain subgroups (low, medium, high). Differences in the mean score of objective pain behavior (F=6.376. p=.005) and spent time for moyion(F=4.631, p=.018).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tep length among the subgroups(F=.667, p=.521). 6. Highly correlated pain behavior items wiyh subjective pain score were 'stopped movement from lying position to sitting', 'limping', 'support with hands on sitting or standing', 'bracing', 'guarding' and 'walking with arms fixed'. In summary, although some of rho behavior items such as sighing and groaning in this study could not be observed because of videotaped dat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over all observation method were satifactory. Thu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 rye potetional utility of the tool in assessing objective pain complementing self-reported pain in low back pain patients.

  • PDF

재가 노인의 낙상공포 여부에 따른 건강상태, 신체기능상태 및 가정환경 위험 비교 (The Comparison of Health Status, Functional Status, and Home Environment Hazards in Terms of the Fear of Falling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

  • 임경춘;전경자;윤종률
    • 한국노년학
    • /
    • 제29권4호
    • /
    • pp.1577-1589
    • /
    • 2009
  • 본 연구는 재가노인을 대상으로 낙상공포 여부에 따른 건강상태, 신체기능상태 및 가정환경의 위험을 비교하고, 낙상공포에 영향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대상자는 A시 D구 노인보건센터에 방문보건사업 대상자로 등록된 65세 이상 노인으로 선정하였다. 2006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사전에 교육받은 방문간호사가 직접 가정방문하여, 가노인기능상태평가도구(Resident Assessment Instrument, RAI)를 이용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973명의 평균 연령은 76.8(±7.6)세였고, 여성이 74.8%였으며, 낙상공포를 가진 대상자는 20.7%였다. 낙상공포 여부에 따른 건강상태 비교에서 요실금, 통증, 이환질병 수, 지난 3일간 우울/불안/슬픔의 징후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신체기능 상태는 낙상공포가 있는 집단에서 일상 생활수행능력 의존도가 유의하게 높았고, 시력 문제가 많았으며, 불안정한 걸음걸이를 보이는 대상자가 현저히 많았다. 가정환경위험은 화장실, 방 출입 및 집 밖 출입 시 낙상공포가 없는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더 어려움이 많았다. 연령이 많을수록, 일상생활 의존도가 높을수록, 이환질병 수가 증가할수록, 걸음걸이가 불안정하거나 낙상경험이 있는 경우에 낙상공포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통증, 우울/불안/슬픔의 징후, 복용하는 약은 낙상공포와 유의하지 않았다. 이 연구는 지역사회의 노인을 사정할 때 낙상공포에 관련된 주요 요인인 연령, 일상생활수행능력, 현재 앓고 있는 질환 및 걸음걸이 사정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재확인시켜 준다. 또한, 재가노인의 낙상예방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불안정한 걸음걸이의 원인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중재방법을 모색하는 지속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이 연구를 토대로 건강 상태와 신체기능을 향상시키려는 포괄적인 간호중재를 통해 낙상공포를 감소시키고 낙상 발생률을 낮추면, 궁극적으로 노인의 삶의 질이 향상될 것이다.

암생존자의 자가관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증상관리 및 신체적 활동 관련 가이드라인의 통합적 고찰 (Integrative Review of Guidelines Related Symptom Management and Physical Activity for Developing of Self-Care Management Program for Cancer Survivors)

  • 송지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586-600
    • /
    • 2018
  • 본 연구는 암 치료를 완료한 암생존자를 위한 통합 자기관리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고자 시도되었다. 자기관리 프로그램은 증상관리와 신체활동관리로 구분되며 증상관리는 피로, 수면장애, 통증, 우울과 불안이 포함된다. 근거기반실무 가이드라인을 PubMed, CINAHL 및 EMBASE를 통해 검색하였으며 가이드라인 질 평가 후 최종 8개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구조화된 표를 이용하여 스크리닝 대상자, 시기, 내용, 포괄적 사정대상자 및 사정내용을 추출하였고, 비약물적 중재 중 신체적 활동 및 운동 관련내용을 정리하였다. 통합한 결과, 암 치료 완료 후에도 모든 암 생존자를 대상으로 신뢰도와 타당도가 입증된 도구를 이용하여 정기적인 증상 스크리닝을 하여야 하고 중정도 이상의 증상 호소 시 전문가에 의한 포괄적인 사정을 요한다. 피로의 경우 신체적 활동이 일차적 중재법으로 권고되었으나 이 외 증상의 경우 보조요법 수준으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권고되었다. 따라서 암 생존자에게 꾸준한 신체적 활동을 격려하여야 하고 치료와 관련된 합병증이 없는 한 중강도의 신체활동을 꾸준히 유지할 수 있도록 중재하여야겠다. 이를 위해 신체적 활동에 대한 다양한 동기화 전략을 개발하고 적용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무의식 중환자의 비언어적 통증사정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 (Reliability and Validity of Nonverbal Pain Assessment Scale for Patients who Stayed a Intensive Care Units)

  • 김정순;강인순;박규현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89-102
    • /
    • 2015
  • Patients unable to speak are at higher risk for untreated pain. Use of valid behavioral and physiologic measures for pain is highly recommended for uncommunicative patient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NVPS-K and CPOT-K for pain assessment of nonverbal pati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July to November 2011. A total of 29 nonverbal adult patients admitted to a university hospital intensive care unit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NVPS-K and CPOT-K had intermediate to high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s (NVPS-K 0.680 ~ 0.921, CPOT-K 0.710 ~ 0.896). Discriminant validity was supported with higher instrument scores during turning and endotracheal suctioning than that of NIBP. For criterion validity, the NVPS-K scores were correlated to the self-reported pain of the patients but not the CPOT-K scores. The areas under the ROC curve for the NVPS-K and CPOT-K were 0.748 and 0.696 with cutoff points of 1 and 2, respectively. Thus, the NVPS-K and CPOT-K had a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94.7% and 45.0%, and 60.5% and 75.0%, respectively. The NVPS-K and CPOT-K are reliable and valid tools to assess pain in nonverbal patient and thus, are recommended for the assessment of the pain in nonverbal patients.

급·만성 요통 환자군의 통증, 기능장애, 정서 상태 및 교육 요구 (Pain, Disability, Emotional Status and Educational Needs between Acute and Chronic Low Back Pain Groups)

  • 안지혜;김희승;김혜진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21권1호
    • /
    • pp.77-84
    • /
    • 2019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pain, disability, anxiety, depression and educational needs between acute and chronic low back pain groups. Methods: A total of 153 patients aged 18 to 64, recruited from S-neurosurgical clinic for low back pain in Gyeonggi-do. Out of 153 subjects, 70 were Acute Low Back Pain (ALBP) group and 83 were Chronic Low Back Pain (CLBP) group.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AS System V 9.4 program by chi-square test/Fisher's exact test and t-test. Results: The pain and disability scores were higher in ALBP group while the depression score was higher in CLBP group. The educational needs score in the area for the time for lumbar operation was higher in CLBP group. In the Low Back Pain (LBP) treatment management, ALBP group visited clinic (60.0%) most frequently and CLBP group visited both clinic & traditional medicine (66.3%) regularly. Conclusion: In order to minimize the progression from acute to chronic LBP, it is necessary for patients who visited the clinic to be accompanied with an education program that reflects educational needs of patients and with proven alternative therap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