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everity and Variables Influencing Depression in Cancer Patients with Pain

통증이 있는 암환자의 우울 정도 및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김현숙 (서울대학교병원 임상의학연구소) ;
  • 윤영호 (한일병원 가정의학과) ;
  • 이소우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 허대석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
  • 손행미 (경인여자대학 간호학과) ;
  • 허봉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 Published : 1999.12.10

Abstract

Purpose : Surveying the rates, severity, and variables influencing depression and their correlation between pain and depression in Korean cancer patients, we attempted to provide a basic database for the effective depression management program. Methods : The results of survey were colleted from 10 patients who were hospitalized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or cancer treatment from February to June of 1999. Factors of depression and the level of pain were examined by self-reported survey employing Korean version of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and an abridged version of Brief pain Inventory respectively.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guidelines for the questionnaires were clearly explained to participating patients by Resgitered Nurses before answering the survey. 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ere compiled by reviewing their medical records in corporation with a family physician.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depression among patient groups was analyzed with the t-test and ANOVA, and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with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s : 1) 142 subjects comprised 79 male and 63 female, and their mean age was 51.86. 2) The mean scores of the worst pain for last 24-hours was 6.08(SD 2.23), the average pain for last 24-hours 4.44(SD 1.85), and the mean scores of pain at the time of survey 3.48(SD 2.25), while the mean scores of the least pain for last 24-hours 2.25(SD 1.83). 3) The mean BDI scores were 23.73(SD 0.99), and 55.6% of patients were evaluated to be in depression(cutting point 21). Scores of depression for cancer patients were higher than normal population. 4) The correlation between worst pain for last 24-hours and depression(r=0.252, P=0.002), average pain for last 24-hours and depression(r=0.225, P=0.007), present pain and depression(r=0.291, P=0.000) were significant. 5)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groups of cancer patients with pain with respect to gender(t=3.59, p=0.000), level of education(F=4.063, P=0.009), ECOG(F=3.352, P=0.021). There wa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depression and pain(r=0.171, P=0.042). Conclusions : More than 50% of cancer patients with pain are suffering from depression. We have shown that the variables like the degree of pain, gender, level of education, ECOG, and age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depression in cancer patien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may be used for assessing high-risk patients in need of intervention and for planning effective therapeutic strategies for them after the routine assessment. Further study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cultural differences and the variables influencing on depression in Korean cancer patients.

목적 : 본 연구는 한국판 BDI를 이용하여 통증이 있는 암환자의 우울 정도, 우울과 통증의 관계 및 우울과 관련된 변인들을 조사하여 암환자의 우울 관리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방법 : 1999년 2월부터 6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 혈액종양내과에 입원 및 외래치료중인 암환자 14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우울은 한국판 Beck Depression Inventory, 통증정도는 간이 통증 평가도구의 일부문항인 숫자척도를 이용하여 자기 보고형 질문지를 통하여 수집되었고, 인구학적 및 임상학적 자료는 의무기록 열람 및 주치의의 의견을 참조하여 수집되었다. t-test와 ANOVA를 사용하여 변인에 따른 집단간 우울정도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변인간 상관관계분석은 Pearson 상관계수를 구하였다. 결과 : 1) 연구대상자는 142명으로 이중 남자가 79명 여자가 63명이었으며, 평균연령은 51.86세였다. 2) 연구대상자의 24시간 동안 가장 심했을 때 통증의 평균은 6.08(SD=2.23), 24시간 평균통증의 평균은 4.44(SD=1.85), 조사 당시 느끼는 통증의 평균은 3.48(SD=2.25), 가장 약했을 때 통증의 평균은 2.25(SD=1.83)이었다. 3) 연구대상자의 평균 BDI 점수는 23.73(SD=10.99) 이었으며, 대상자의 55.6%가 우울군(절단점 21)에 속했다. 4) 24시간 동안 가장 심했을 때의 통증정도와 우울(r=0.252, P=0.002), 24시간 평균통증정도와 우울(r=0.225, P=0.007, 조사당시 바로 지금 느끼는 통증정도와 우울(r=0.291, P=0.000)은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가장 약했을 때 통증정도와 우울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5) 통증이 있은 암환자의 우울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인구학적 특성은 성별(t=3.59, P=0.000)과 교육정도(F=4.063, P=0.009)였으며, 임상적 특성은 ECOG에 의한 활동도(F=3.352, P=0.021)였다. 또한 대상자의 연령과 우울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r=0.171, P=0.042)가 있었다. 결론 : 통증이 있는 암환자에 있어서 우울은 과반수 이상이 경험하는 정서적 증상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통증, 성별, 교육정도, 활동도, 연령 등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거나 관계가 있음을 밝혔다. 그러므로 암환자들을 대하고 있는 의료진들은 이상의 연구결과를 적용하여 우울의 고위험군을 미리 예상하여 통증뿐 아니라 우울정도를 자주 사정하고 우울에 대한 효과적인 중재를 제공하여야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