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통일유형

검색결과 107건 처리시간 0.034초

통일세 수용의 선행 요인과 메시지 유형별 설득 효과에 대한 연구 (Determinants of the Unification Tax Acceptance and Persuasion Strategy)

  • 김해영;신명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22-39
    • /
    • 2016
  • 대한민국의 통일은 막대한 비용을 필요로 하지만 통일 재원의 확보 방식에 대한 논의는 충분치 않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찬반논의가 집중되는 통일 재원 확보 방안인 통일세에 대한 납세자의 의사를 파악하기 위해 기획됐다. 인구통계학적 변인과 조세제도 및 통일에 대한 사전태도, 지식수준이 통일세 납부 의사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분석했다. 또한 전망이론을 적용해 통일세에 대한 찬성과 반대 입장에 따라 상이한 설득 메시지를 제공하고, 태도 변화 정도를 확인했다. 연구결과, 남성, 고연령, 고소득 집단에서 통일 및 통일세 지지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 남북통일과 통일세에 대한 관심이 높을수록, 통일과 세금 관련 지식수준이 높을수록 통일세 납부 의사가 높게 나타났다. 나아가 메시지 유형에 따른 설득효과에서는 태도 변화의 손실을 축소한 메시지가 이익을 강조한 메시지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반도 통일 유형별 북한지역의 대순진리회 3대 중요사업 추진 여건과 방안 연구 (Research on the Measures and Driving Force behind the Three Major Works of Daesoon Jinrihoe in North Korea in Case of the Respective Types of Unific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 박영택
    • 대순사상논총
    • /
    • 제39집
    • /
    • pp.137-174
    • /
    • 2021
  • 통일 시기에 대순진리회 3대 중요사업인 구호자선·사회복지·제반 교육사업을 어떻게 추진할 것인가가 이 논문의 핵심 주제다. 3대 중요사업은 통일 이후에도 반드시 추진되어야 하는바, 해원상생사상의 실천에 기반하기 때문이다. 해원상생의 인존사상은 유엔헌장의 서문과 세계평화를 지향한다는 점에서 일맥상통하다. 북한의 주민은 피폐된 경제 하에서 기아에 허덕이고 있는데 통일 시기 의식주의 위기를 맞이할 것이 분명하다. 본 연구에서는 3대 중요사업의 추진 여건을 분석하기 위하여 독일의 평화통일, 예멘의 급변사태 통일, 베트남의 무력통일 사례를 진단하였다. 3가지 통일유형은 공통적으로 3대 중요사업을 수행하는데 상당한 예산과 지원을 소요케 하였는데, 특히, 급변사태 후 무력충돌과 무력통일 시에는 수많은 인명의 살상과 인프라의 파괴로 구호와 의료지원 등 의식주 문제 해결이 시급하였다. 한편, 3대 중요사업의 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유엔난민기구(UNHCR)의 모델을 분석하였는바, 정신력과 전문성을 갖춘 전문 인력의 확충, 복합적인 상황 대비 능력을 갖춘 표준적인 조직의 편성과 명확한 과업 부여, 충분한 구호물품과 예산 준비, 접경지역과 북한지역의 거점 확보, 물류 창고와 수송수단 확보, 후원금 수급을 위한 네트워크 구축 등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통일시기와 북한지역 상황을 고려하여 통일대비 3대 중요사업의 체계구축 분야 세부과제 8개 항과 실행대비 검토과제 9개 항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통일시기 3대 중요사업은 그 당위성 측면에서 소홀함이 없어야 하며, '통일시기 3대 중요사업 추진방안' 제하의 매뉴얼에 3대 중요사업 추진의의, 조직 구성 및 임무, 통일시기 예상 상황, 전진기지 및 거점 운용, 경비 및 물류 준비, 파견팀 편성 및 운용, 홍보 및 대외협력, 전문 인력 양성, 안전조치, 수송 및 연락체계 등이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남한의 대북방송 전문가들이 갖는 통일과정에서 방송의 역할에 대한 인식 연구 Q방법론을 이용한 북한자유화방송론과 남북교류협력방송론의 차이 규명 (Perception Type of the South Korean Propaganda Broadcasts Experts about The Role of Broadcasts in The Process of Unification)

  • 조수진;이창현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76권
    • /
    • pp.61-91
    • /
    • 2016
  • 이 연구는 남한의 대북방송 전문가들이 '통일 과정에서 방송의 역할'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갖는지 파악해 보기 위해 마련되었으며, 방법론적으로는 심층적 인식 분석에 유용한 Q-방법론을 사용하였다. P표본은 남한의 대북방송에 직접적으로 참여하거나 학계에서 연구하는 집단 1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Q 진술문은 통일인식, 대북방송 일반, 민간 대북방송, 남북 커뮤니케이션과 관련된 60개를 선정하여 사용하였다. 1단계로 전통적 방식의 Q 분석 결과를 통해 2개의 인식 유형, 즉 '유형 1: 북한자유화방송'과 '유형 2: 남북교류협력방송'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2단계로는 심층적인 추가 분석을 위해 긍정의 진술문과 부정의 진술문이 갖는 내용적 경향성을 파악해 보았다. 이 결과, 긍정의 경향성은 '통일방송역할론'으로, 부정의 경향성에는 '민간방송규제론'으로 나누어졌다. 긍정적 인식의 경향성을 축으로 추가 분석해 보면 기존의 유형이 그대로 반영되어 각각 '북한자유화방송'과 '남북교류협력방송'이라는 세부 유형을 가졌다. 부정적 인식의 경향성을 축으로 하여 분석해 보면 기존의 전통적 유형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던 '민간대북방송보완', '민간대북방송비판'이라는 세부 유형을 가졌다. 그러나 유형 간의 차이를 넘어서 대북방송 전문가들의 긍정적인 평가를 정리해 보면, 통일 과정에서 방송의 역할이 어떤 형식으로라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인식하는 반면, 부정적인 평가에서는 현재 설립된 지 10년이 넘어가는 민간 대북방송이 문제를 갖고 있고, 무엇인가 개선되어야 한다는 인식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대북방송 관계자들의 인식 연구를 객관적이고 실증적 방법으로 분석했다는 점에서 기존의 대북방송 관련 연구와 차별성을 갖고 있으며,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대북방송 제작에 있어 고려할 사항들을 제안했다.

  • PDF

한반도 통일과 군사통합 (군사적 과제를 중심으로)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Military Integration Focusing on the Military Tasks)

  • 한관수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125-134
    • /
    • 2015
  • 이 논문은 한반도 통일이 가시화되고 여건이 조성되어 남북한 군사통합을 추진하게 될 때 무엇을 준비하고 실행해야 하는가를 군사 과제를 중심으로 연구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현 상황에서 남북한 통일의 시기를 예단하기는 제한되나 군사적 폭력을 관리하는 군사통합은 평시부터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 만일 군사통합이 실패하면 통일 자체도 위태롭게 되기 때문에 실천적 측면에서 정교한 준비가 요구된다. 이 연구에서는 다음의 주제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한반도에 적합한 군사통합의 유형과 전제조건은 무엇인가? 남북한 군사통합 추진 시 군사적 과제는 무엇인가? 이 중 핵심과제와 중요과제는 무엇이고 실천적 측면에서 어떻게 준비되어야 하는가?

암의 유형에 따른 모노카인(monokine) 비교 (Intracellular Monokine Levels in Different Types of Cancer)

  • 신기수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8권2호
    • /
    • pp.5-12
    • /
    • 2006
  • 목적 : 본 연구는 암환자 및 암의 유형에 따라 중요한 종양억제 조절인자로 알려져 있는 모노카인을 flowcytometry를 이용하여 분석,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 연구대상은 고형종양(solid tumor)으로 진단받은 33세에서 76세 사이의 암환자 30명(유방암, 난소암, 폐암, 위암)을 대상으로 말초혈액 단구의 intracellular monokine 중 $TNF{\alpha}$, MIG, MIP를 분석한 유사실험설계 연구이다. 연구결과 : 암환자 군에서의 $TNF{\alpha}$, MIG, MIP 수치는 대조 군인 정상 군에 비해서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며 특히, 유방암과 난소암 환자 군에서의 $TNF{\alpha}$ 수치는 폐암과 위암의 대상자에 비해 의미 있는 차이를 보여주었다. 논의 : 본 연구에서 제시된 암환자 군에서의 모노카인 수치는 선행연구의 결과와 통일하게 종양 대상자의 면역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규명 되었으나, $TNF{\alpha}$는 고형종양 중에서도 여성생식기계 암환자 군에서 더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종양 유형에 따른 모노카인의 역할과 호르몬과의 상호작용기전 규명에 대한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 PDF

통일신라시대 주택의 평면유형 분석 - 경주 신라왕경 발굴유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lane Type of House in Unified Silla Period - Focused on the Capital Remains of Silla in Gyeongju -)

  • 이정미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6권6호
    • /
    • pp.139-146
    • /
    • 2015
  • In this study, the plane type of main building relics of unified Silla period house site which excavated in Gyeongju city after 1990s was classified and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 of them was investigated. The chronology of building relics in Silla capital city site was mostly known as 8-9th century, and by standard of column arrangement, the plane types of them could be classified as grid type, front veranda-grid type, outer column type. The outstanding characteristic of plane is wide span and open front veranda. In most relics the span were over 4 meters, and inner foundations for small post and strip foundation were found between columns. The front veranda added type buildings were composited of enclosed main room and open front veranda, and column arrangement of them dose not fall into line in most case. Thus it thought that the structures of enclosed main room and open front veranda were independent. The interior space of enclosed main room were divided two rooms by partition wall in some case. In this case, one room is enclosed by wall, and the other room has open front side. This plane is considered for the pleasant life in cold winter and hot summer.

사서오경의 서지적 관계 특성에 따른 FRBR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doption of the FRBR According to the Bibliographic Relationships of Five Classics and Four Books)

  • 김정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317-336
    • /
    • 2015
  • 이 연구는 서지적 관계 유형을 기반으로 국립중앙도서관의 서지레코드로 부터 추출된 사서오경 관련 2,940건의 서지적 관계 특성에 대한 실증적인 분석을 통해 사서오경에 대한 FRBR의 적용에 대한 연구이다. 분석결과 사서오경 관련 저작에는 원작에 대한 해설이나 역주, 번역 등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사서오경의 FRBR 적용 방안으로 개작, 해설, 평론, 역주, 평역 등도 저작의 가족으로 정의한 슈퍼저작 개념의 도입, 관련 저작의 연결 장치로서 RDA의 전거형 접근점 즉, 통일표제의 활용, 그리고 630 필드에 주제명표목으로 통일표제 기술의 예시를 제안하였다.

154kV 변전소 표준복구절차서의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The Research for Improved Standard Operation Procedure in 154kV Substation)

  • 임진혁;김건중;박철우;양민욱;소성민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11년도 제42회 하계학술대회
    • /
    • pp.332-333
    • /
    • 2011
  • 국내의 변전소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변전소가 154kV변전소이다. 154kV변전소는 전체가 통일된 표준복구절차서를 가지고 고장이 발생하였을 경우 복구를 하게 된다. 현재 154kV 변전소에서는 Relay에서 고장을 감지하여 차단기가 전원을 차단한 후 운전원이 판단해 복구를 하여 정상 운전 상태나 부하 전환 등의 방법으로 전원을 공급도록 소개를 하고 있다. 현재 한국전력에서 만든 SOP(Standard Operation Procedure)는 15가지 기본적인 유형에 대해서 복구절차를 소개하고 있다. 하지만 현복구절차서에서는 유형의 부족이나 각 변전소의 상황 등을 모두 표현을 하지 못한다. 본 논문에서는 중요하고 필요한 유형과 변전소의 운전상황에 대한 표현, 앞으로의 개선방안 등에 대해서 제시하고자 한다.

  • PDF

나사 국제표준의 중요성과 과제 - ISO/TC 1, 기술적 시스템 등 기준 초안 개발해야

  • Li, Xoaobn
    • 기술표준
    • /
    • 통권101호
    • /
    • pp.8-10
    • /
    • 2010
  • 전 세계 생산과 무역이 지속적으로 성장함에 따라 나사에 관한 ISO 국제표준이 더욱 중요해l 되었다. 현재 관련 용어를 포함한 4종의 나사를 다룬 20종의 국제표준이 있다. 그러나 톱니나사와 같은 나머지 유형에 관한 국제표준은 없다. 엔지니어들은 ISO/TC1이 적극적으로 그 간극을 메울 것이라고 예견하고 있다. 최소한, ISC/TC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나사를 다루고 통일된 용어, 기호, 지시어, 기술적 시스템이 있는 기준 초안을 개발해야 한다.

  • PDF

제초제(除草劑) Simetryne제(劑에) 의한 통일(統一)벼의 약해발생요인(藥害發生要因) 구명(究明)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Factors Affecting the Injury Caused by Simetryne to Rice Plants of Tongil Variety)

  • 양환승;김인곤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48-58
    • /
    • 1986
  • 통일(統一)벼의 simetryne [2-methyl thio-4, 6-bis (ethyl amino)-s-triazine]에 의한 약해발원요인(藥害發原要因)을 구명(究明)하고자, 생육검정(生育檢定)에 의한 이동실험(移動實驗)과 $^{14}C$-simetryne을 사용(使用)한 문화적(文化的) 방법(方法)에 의하여 simetryne 성분(成分)의 토양중(土壤中) 이동특성(移動特性)을 추적(追跡)하였으며 통일(統一)벼의 생리생태적(生理生態的) 제특성(諸特性) 즉(卽) 근계(根系), 엽면적(葉面積) 증산량(蒸散量), 생리적(生理的)인 저항성(抵抗性) 차이(差異) 등을 만경(萬頃) 사도미노리 등(等) 일본형품종(日本型品種)을 대비(對比)로 조사(調査)한 시험결과(試驗結果)는 다음과 같다. 1. Simetryne 성분(性分)은 밭조건(條件)의 토양중(土壤中)에서는 토양(土壤)의 유형(類型)에 크게 관계(關係)없이 그 이동폭(移動幅)이 매우 좁았으나 일단(一旦) 담수상태(湛水狀態)가 되면 미사질식토(微砂質埴土)에서도 다소(多少)는 이동폭(移動幅)이 확대(擴大)되었고, 사양토조건(砂壤土條件)에서는 그 이동폭(移動幅)이 크게 확대(擴大)되었다. 2. 통일(統一)벼의 근량(根量)은 만경(萬頃)의 근량(根量)보다 많았으며 그 근계(根系)는 누두형분포(漏斗型分布)로써 만경(萬頃)의 원통형분포(圓筒型分布)에 비(比)해 약제(藥劑)와의 접촉기회(接觸器機會)가 많아져 약해(藥害)를 입을 가능성(可能性)이 많았다. 3. 통일(統一)벼의 엽면적(葉面積)은 만경(萬頃)의 엽면적(葉面積)보다 약(約) 1.3 배(倍) 더 넓었으며 증산량(蒸散量)도 약(約) 1.65배(倍) 더 많았다. 4. 수경시험결과(水耕試驗結果) 통일(統一)벼의 simetryne제(劑)에 대한 감수성(感受性)은 사도미노리 품종(品種)에 비(比)하여 약(約) 3배(倍) 강(强)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