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search on the Measures and Driving Force behind the Three Major Works of Daesoon Jinrihoe in North Korea in Case of the Respective Types of Unific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한반도 통일 유형별 북한지역의 대순진리회 3대 중요사업 추진 여건과 방안 연구

  • Received : 2021.09.27
  • Accepted : 2021.12.09
  • Published : 2021.12.31

Abstract

The main theme of this paper centers on how to promote Three Major Works of Daesoon Jinrihoe, charity aid, social welfare, and education projects, during the unification period. Determining the best methods of promotion is crucial because the Three Major Works must be carried out after unification, and the works must remain based on the practice of the philosophy of Haewon-sangsaeng (the Resolution of Grievances for Mutual Beneficence). The idea of Haewon-sangsaeng is in line with the preface of the U.N. Charter and the aim of world peace. North Korean residents are suffering from starvation under their devastated economy, which is certain to face a crisis of materialistic deficiency during reunification. In this study, the peaceful unification of Germany, unification under a period of sudden changes in Yemen, and the militarized unification of Vietnam were taken as case studies to diagnose and analyze the conditions which would affect the implementation of the Three Major Works. These three styles of unification commonly required a considerable budget and other forms of support to carry out the Three Major Works. Especially if unification were to occur after a period of sudden changes, this would require solutions to issues of food, shelter, and medical support due to the loss of numerous lives and the destruction of infrastructure. On the other hand, the UNHCR model was analyzed to determine the implications of expanding mental well prepared and sufficiently qualified professionals, reorganizing standard organizations within complex situations, task direction, preparing sufficient relief goods, budgeting, securing bases in border areas with North Korea, and establishing networks for sponsorship. Based on this, eight detailed tasks in the field of system construction could be used by the operators of the Three Major Works to prepare for unification. Additionally, nine tasks for review were presented in consideration of the timing of unification and the current situ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n conclusion, in the event of unification, the Three Major Works should not be neglected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The manual "Three Major Works during the Unification Period" should include strategic points on organizational formation and mission implementation, forward base and base operation, security and logistics preparation, public relations and external cooperation, safety measures, and transportation and contact systems.

통일 시기에 대순진리회 3대 중요사업인 구호자선·사회복지·제반 교육사업을 어떻게 추진할 것인가가 이 논문의 핵심 주제다. 3대 중요사업은 통일 이후에도 반드시 추진되어야 하는바, 해원상생사상의 실천에 기반하기 때문이다. 해원상생의 인존사상은 유엔헌장의 서문과 세계평화를 지향한다는 점에서 일맥상통하다. 북한의 주민은 피폐된 경제 하에서 기아에 허덕이고 있는데 통일 시기 의식주의 위기를 맞이할 것이 분명하다. 본 연구에서는 3대 중요사업의 추진 여건을 분석하기 위하여 독일의 평화통일, 예멘의 급변사태 통일, 베트남의 무력통일 사례를 진단하였다. 3가지 통일유형은 공통적으로 3대 중요사업을 수행하는데 상당한 예산과 지원을 소요케 하였는데, 특히, 급변사태 후 무력충돌과 무력통일 시에는 수많은 인명의 살상과 인프라의 파괴로 구호와 의료지원 등 의식주 문제 해결이 시급하였다. 한편, 3대 중요사업의 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유엔난민기구(UNHCR)의 모델을 분석하였는바, 정신력과 전문성을 갖춘 전문 인력의 확충, 복합적인 상황 대비 능력을 갖춘 표준적인 조직의 편성과 명확한 과업 부여, 충분한 구호물품과 예산 준비, 접경지역과 북한지역의 거점 확보, 물류 창고와 수송수단 확보, 후원금 수급을 위한 네트워크 구축 등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통일시기와 북한지역 상황을 고려하여 통일대비 3대 중요사업의 체계구축 분야 세부과제 8개 항과 실행대비 검토과제 9개 항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통일시기 3대 중요사업은 그 당위성 측면에서 소홀함이 없어야 하며, '통일시기 3대 중요사업 추진방안' 제하의 매뉴얼에 3대 중요사업 추진의의, 조직 구성 및 임무, 통일시기 예상 상황, 전진기지 및 거점 운용, 경비 및 물류 준비, 파견팀 편성 및 운용, 홍보 및 대외협력, 전문 인력 양성, 안전조치, 수송 및 연락체계 등이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전경」,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0.
  2. 「대순지침」,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2.
  3. 「대순진리회요람」, 여주: 대순진리회 교무부, 2010.
  4. 고경민, 「남북한의 정책 선택과 통일시나리오 분석」, 「한국동북아논총」 74, 2015. http://uci.or.kr/G704-001454.2015.20.1.014
  5. 김강녕, 「통일세와 통일비용」, 「동북아연구」 25-1, 2010. https://doi.org/10.18013/jnar.2010.25.1.003
  6. 김동성, 「민족과 통일의 미래」, 「전략연구」 41, 2007.
  7. 김은하 외, 「통일 후 남하하는 북한주민 수용을 위한 통일주거 유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15. 10.
  8. 김정호, 「독일통일 20년의 경제적 평가: 동독경제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동북아논총」 27-1, 2011.
  9. 김현정, 「독일통일, 동.서독 주민의 정체성 형성과 게마인샤프트 복원」, 「한국과국제사회」 4-6, 2020.
  10. 박제훈, 「김정은 시대의 북한경제 변화 전망: 정치경제학적 접근」, 「비교경제 연구」 21-2, 2012. https://doi.org/10.23014/kace.21.2.201412.79
  11. 박종수, 「대순진리회의 사회복지사업 현황과 과제」, 「대순사상논총」 24-1, 2014. https://doi.org/10.25050/jdaos.2014.24.1.291
  12. 배정호, 「베트남전쟁의 통일전선전술과 교훈」, 「전략연구」 81, 2020. https://doi.org/10.46226/jss.2020.07.27.1.7
  13. 안성찬, 「독일통일 30년: 아직도 이루지 못한 내적 통일」,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47, 2020. https://doi.org/10.31302/KGDaF.47.4
  14. 양문수, 「북한의 경제발전전략 70년의 회고와 향후 전망」, 「통일정책연구」 24-2, 2015. http://uci.or.kr/G704-001526.2015.24.2.007
  15. 이한우, 「베트남 통일 후 사회통합과정의 문제: 남부의 사회주의적 개조에 대한 주민의 대응과 그 변용」, 「아세아연구」 50-3, 2007. http://uci.or.kr/G704-000745.2007.50.3.008
  16. 이항녕, 「해원상생사상의 현대적 의의」, 「대순사상논총」 4, 1998. http://uci.or.kr/G704-SER000013278.1998.4..006
  17. 이헌경, 「북한의 경제조치와 사회경제적 실태」, 「OUGHTOPIA」 26-3, 2011. http://uci.or.kr/G704-SER000012878.2011.26.3.004
  18. 정성호 외, 「한국전쟁과 사회구조의 변화」, 서울: 백산서당, 1999.
  19. 정지웅, 「한반도 통일과정과 시나리오: 융합통일의 제기」, 「북한연구학회보」 6-2, 2002.
  20. 조상현, 「예멘 내전과 남북한 통일교훈 분석: 통합유형을 중심으로,」, 「중동 연구」 31-2, 2012. http://uci.or.kr/G704-001570.2012.31.2.001
  21. UNHCR, 「UNHCR Global Report 2020 연례보고서」,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