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ception Type of the South Korean Propaganda Broadcasts Experts about The Role of Broadcasts in The Process of Unification

남한의 대북방송 전문가들이 갖는 통일과정에서 방송의 역할에 대한 인식 연구 Q방법론을 이용한 북한자유화방송론과 남북교류협력방송론의 차이 규명

  • Cho, Soojin (School of communication, Kookmin University) ;
  • Lee, Chahyun (School of communication, Kookmin University)
  • 조수진 (국민대학교 언론정보학과) ;
  • 이창현 (국민대학교 언론정보학과)
  • Received : 2016.01.31
  • Accepted : 2016.03.20
  • Published : 2016.04.15

Abstract

This research is designed to evaluate perception of "the role of broadcasting in the process of unification" among South Korean propaganda broadcasting experts. This research used Q-methodology for in-depth evaluation of the experts' perception towards propaganda broadcasts. Total sixteen experts who work at the propaganda broadcasting company domestically or internationally as well as conduct related researches were selected as P-samples. This research listed sixty Q statements covering issues such as Perception of Unification, General Propaganda Broadcasts, Private Propaganda Broadcasts, Communicat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According to traditional way of Q-analysis, it drew two types of perception; Type 1: North Korean Liberal Broadcasts, Type2: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Broadcasts. For in-depth analysis, positive and negative statements were analyzed based on its tendency. As a result, positive statements tend to follow 'the Role of Unification Broadcasts' and negative statements followed 'the regulation of Private Broadcasts' When further researches were conducted on positive statements based on its axis of tendencies, Type 1 and Type 2 were categorized as follows; the Role of Unification Broadcasts- North Korean Liberal Broadcasts and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Broadcasts. On the other hand, when negative statements were analyzed based on its tendencies, the result of Type 1 and Type 2 were as follows; the Improvement of Private Broadcasts- Redeeming the Private Propaganda Broadcasts and Criticizing Private Propaganda Broadcasts. Regardless such differences, experts do agree on the idea which emphasize the role of broadcasts in the process of unification and also they share the same thought on the need to improve the private propaganda broadcasts. This research expected to contribute to society by making differences in analyzing propaganda broadcasting experts' perception in an objective and positive way compare to other existing researches. Therefore, it proposes several suggestions to consider when producing propaganda broadcasts.

이 연구는 남한의 대북방송 전문가들이 '통일 과정에서 방송의 역할'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갖는지 파악해 보기 위해 마련되었으며, 방법론적으로는 심층적 인식 분석에 유용한 Q-방법론을 사용하였다. P표본은 남한의 대북방송에 직접적으로 참여하거나 학계에서 연구하는 집단 1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Q 진술문은 통일인식, 대북방송 일반, 민간 대북방송, 남북 커뮤니케이션과 관련된 60개를 선정하여 사용하였다. 1단계로 전통적 방식의 Q 분석 결과를 통해 2개의 인식 유형, 즉 '유형 1: 북한자유화방송'과 '유형 2: 남북교류협력방송'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2단계로는 심층적인 추가 분석을 위해 긍정의 진술문과 부정의 진술문이 갖는 내용적 경향성을 파악해 보았다. 이 결과, 긍정의 경향성은 '통일방송역할론'으로, 부정의 경향성에는 '민간방송규제론'으로 나누어졌다. 긍정적 인식의 경향성을 축으로 추가 분석해 보면 기존의 유형이 그대로 반영되어 각각 '북한자유화방송'과 '남북교류협력방송'이라는 세부 유형을 가졌다. 부정적 인식의 경향성을 축으로 하여 분석해 보면 기존의 전통적 유형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던 '민간대북방송보완', '민간대북방송비판'이라는 세부 유형을 가졌다. 그러나 유형 간의 차이를 넘어서 대북방송 전문가들의 긍정적인 평가를 정리해 보면, 통일 과정에서 방송의 역할이 어떤 형식으로라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인식하는 반면, 부정적인 평가에서는 현재 설립된 지 10년이 넘어가는 민간 대북방송이 문제를 갖고 있고, 무엇인가 개선되어야 한다는 인식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대북방송 관계자들의 인식 연구를 객관적이고 실증적 방법으로 분석했다는 점에서 기존의 대북방송 관련 연구와 차별성을 갖고 있으며,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대북방송 제작에 있어 고려할 사항들을 제안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동완 (2014). 북한에서의 한류현상과 사회변화. <통일시대와 미디어의 역할>, 2014. 11. 남북언론연구회.
  2. 강대인 (2001). 남북 방송교류정책의 연원과 추진방향. <방송연구>, 53권, 7-43.
  3. 강현두 (1989). 한국방송영향력자의 공영방송인식에 관한 연구. <언론학논선>, 1권, 1-52.
  4. 강현두 (1991). 남북한 방송교류의 현황과 미래의 모색. <방송문화연구>, 3권, 31-42.
  5. 강현두.이창현 (1989). 통일지향의 방송을 위하여. <방송문화>, 1989. 10. 60-62.
  6. 김승철 (2006). 민간대북방송 실태와 개선방안. <북한>, 2006. 5, 92-100.
  7. 김영보 (2012). 사회통합과 방송의 역할.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익환 (2011). 대북 라디오 방송청취 실태 및 효과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정탁 (1991). 언론인의 북한관 및 통일관 의식조사. <남북통일과 언론>, 15권, 9-93. 한국언론연구원.
  10. 김흥규 (1990). Q방법론의 이해와 적용 광고 연구를 중심으로. <언론학논선>, 9권, 6-62.
  11. 사이먼 와츠.폴 스테너 저, 백평구 역 (2014). .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12. 김홍규.김우룡 (1998). 텔레비전 뉴스 수용자의 유형에 관한 연구. <주관성연구>, 3호, 5-36.
  13. 부경희 (1988). Q-방법론을 이용한 기업이미지 분석과 홍보전략: S그룹의 예를 중심으로. <홍보학연구>, 2호, 32-76.
  14. 송재극 (1992). 남북통일을 대비한 방송정책 기본방향에 관한 연구. <정책연구>, 92-01. 통신개발연구원.
  15. 안민자 (2009). 대북방송의 정체성 변화와 프로그램 편성연구. 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유관지 (2012). 미디어와 북한선교 라디오를 중심으로. <북한선교학교>, 2015년 2호.
  17. 이내수 (1978). 대적커뮤니케이션의 효과적 수행에 관한 연구: 심리전의 기초이론 정립을 위한 코뮤니케이션 이론의 체계적 적용.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이란희 (2015). 조직 구성원의 팔로워십과 리더십 인식 유형 및 상응관계 탐색. 연세대학교대학원 심리학과 박사학위논문.
  19. 이미나.오원환 (2013). 북한 및 제3세계에서의 한류 수용 경험과 한국문화 적응-탈북청년을 중심으로. <방송통신연구>, 봄호. 75-101.
  20. 이성민.강명구 (2007). 기독교방송의 초기 성격에 관한 연구 1954-1960, 냉전시기 라디오 방송환경과 선교방송의 성격변화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21권 6호, 407-456.
  21. 이우승.영선 (2006). 국내방송의 북한 관련 보도태도에 관한 연구: KBS의 9시 종합뉴스와 남북의 창을 중심으로. <북한연구학회보>, 10권 1호, 258-369.
  22. 이주철 (2008). 북한 주민의 외부정보 수용태도 변화. <한국동북아논총>, 46집, 233-252.
  23. 이창현 (1998). 한국방송 영향력자의 방송정책에 대한 인식 차이-"공익적 계도론"과 "상업적 자율론". <한국방송학보>, 11호. 117-146.
  24. 이창현 (1999). 남한에서의 북한방송 관련 연구에 대한 내용분석연구. <한국언론정보학보>, 12호, 137-173.
  25. 이창현 (2010. 11). <냉전과 한국방송: 그 기억의 역사>, 한국방송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5-16.
  26. 전근배 (2011). 민간대북 라디오방송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정윤서 (2012). 신문기자의 뉴스가치에 대한 인식 유형에 관한 연구. <주관성연구>, 24호, 25-44.
  28. 최명국 (1982). 중공거류교포에 대한 선교방송효과에 관한 연구-교포편지의 분석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한국언론연구원 (1990). <독일통일과 언론>. 언론연구원 총서 10.
  30. 한국언론재단 (1999). <남북한언론교류: 현황과 활성화 방안>.
  31. 한국언론재단 (2007). 남북정상회담과 언론보도, 조사분석 2007-7.
  32. 하종원, 정길화 (2000). 남북 방송공동제작의 시안적 모델 연구. 2000-08, 57-85. n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