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통계시험

검색결과 956건 처리시간 0.041초

바이오시밀러 개발에 필요한 통계방법들에 대한 고찰 (Statistical Consideration of the Development of Biosimilar Products)

  • 강승호;남주선
    • 응용통계연구
    • /
    • 제25권1호
    • /
    • pp.125-138
    • /
    • 2012
  • 최근 들어 바이오시밀러에 대한 국내외 관심이 매우 증가하고 있다. 바이오시밀러가 오리지널 생물의약품과 효능과 안전성이 유사함을 보이기 위해서는 최종적으로 임상시험을 수행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임상시험의 수행과 통계적 분석에 필요한 여러 방법들과 외국의 사례 그리고 관련된 가이드라인들을 살펴볼 것이다.

생물학적 동등성 시험의 추가시험에 대한 통계적 고찰 (Statistical Considerations of the Add-On Test on Bioequivalence Trial)

  • 박상규;남봉현;정윤노;이재영;정규진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17권1호
    • /
    • pp.107-115
    • /
    • 2010
  • 제제간의 생물학적 동등성을 입증하는데 실패했을 때 추가시험을 허용하는 새로운 생물학적 동등성 시험 기준이 2008년 7월부터 시행하게 되었다. 추가시험의 의미나 시험 기준에서 제시하는 절차를 살펴보고 추가시험의 통계학적 의미를 고찰한다. 또한 사례를 통해 추가시험을 고려할 경우 어떤 점에 유의하여야 성공 할 수 있을 것인가 논의한다.

한미 대학 입학 시험(수학)의 비교 연구 : 7차 실험 평가와 S.A.T.를 중심으로 (Korea-U.S. Cross-National Comparison Study on Mathematics College Entrance Exams : the 7~th Pilot Test and the S.A.T.)

  • 권오남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32권3호
    • /
    • pp.244-255
    • /
    • 1993
  • 본 연구를 수행하게된 동기는 1994년부터 미국에서 S.A.T.를 개정하고, 한국에서는 대학 수학 능력 시험 제도라는 새로운 제도가 도입되는 것에 있다. 대학 학업 적성 평가 제도로서 미국의 S.A.T. 제도에 대한 유효성이 많은 학자들에 의해서 연구되고 있다. 대학 수학 능력 시험과 S.A.T.는 각각 한국과 미국의 대학에서 학업 적성을 측정한다는 면에서 그 목적이 같다. 한국의 대학 수학 능력 시험의 유효성을 연구하기에는 아직 실시되지 않았으므로 너무 이르다고 본다. 대학 수학 능력 시험 제도 확립이 실험 평가에 근거하기 때문에 대학 수학 능력 시험 실험 평가와 S.A.T.를 비교 연구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고 본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한국의 대학 수학 능력 시험 실험 평가(수리)와 미국의 S.AT.(수학)와의 상관 관계를 연구한다. 본 연구의 조사 대상으로 선발된 집단으로서 광주시의 3개교 6학급의 고등학교 3학년 283명이 참가하였다. 본 논문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가 연구되었다. 1. 7차 실험 평가(수리)와 S.A.T.(수학)의 평균 점수에 대한 남녀 차이의 통계학적 유의성 (statistical significance). 2. 7차 실험 평가(수리)와 S.A.T.(수학)의 평균 점수에 대한 자연계 인문계 차이의 통계학적 유의성 (statistical significance). 3. 한국의 대학 수학 능력 시험 실험 평가(수리)와 미국의 S.A.T.(수학)의 상관 관계.

  • PDF

동등성 시험을 신뢰구간을 사용하여 검정하는 경우 왜 신뢰도 90%인 신뢰구간을 사용하는가? (Why is 90% Confidence Interval Used When Confidence Interval Approach is Used for Testing Equivalence?)

  • 강승호
    • 응용통계연구
    • /
    • 제21권5호
    • /
    • pp.867-873
    • /
    • 2008
  • 임상시험의 자료에 대하여 통계적 검정을 실시하는 경우 유의수준 5%를 사용하는 것이 관례이다. 하지만 동등성 시험을 신뢰구간을 사용하여 검정하는 경우, 신뢰도 90%인 신뢰구간이 사용되고 있다. 흔히 신뢰도 $1-{\alpha}$인 신뢰구간을 검정에 사용하는 경우, 그 검정법의 유의수준은 ${\alpha}$이다. 이 때문에 동등성 검정에서 신뢰도 90%인 신뢰구간을 사용하게 되면, 유의수준은 10%가 되는 것이 아닌가 하는 혼란을 일으켰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관련된 이슈들을 관련 문헌의 검토와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명확하게 하여, 제약회사, CRO, 대학병원 등에 종사하는 통계전문가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한다.

제 1상 임상시험에서 멈춤 규칙과 SM3 디자인을 이용한 최대허용용량 추정법 (Maximum Tolerated Dose Estimation by Stopping Rule and SM3 Design in a Phase I Clinical Trial)

  • 김병찬;김동재
    • 응용통계연구
    • /
    • 제27권1호
    • /
    • pp.13-20
    • /
    • 2014
  • 제 1상 임상시험의 목적은 피험자가 견딜 수 있는 최대의 용량인 최대허용용량(Maimum Tolerated Dose; MTD)을 추정하는 것이다. 최대허용용량을 추정하는 방법으로는 SM방법, ATD방법, CRM방법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 1상 임상시험에서 멈춤규칙을 이용한 최대허용용량 추정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최대허용용량 추정법은 연속재평가방법(Continual Reassessment Method; CRM)과 모의실험을 통해 비교하였다.

분위수 회귀를 이용한 가속수명시험 자료 분석 (Accelerated Lifetime Data Analysis Using Quantile Regression)

  • 노지연;김희정;나명환
    • 응용통계연구
    • /
    • 제21권4호
    • /
    • pp.631-638
    • /
    • 2008
  • 가속수명시험은 실제 사용조건보다 열악한 수준으로 시험하여 빠른 기간 내에 제품의 고장자료를 얻고, 실제 사용조건에서의 수명관련 품질 특성치를 추정하는 방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가속수명 자료를 이용하여 분위수 회귀추정 방법을 통해 정상 조건에서의 수명을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대표적인 가속 스트레스인 온도와 전압을 갖는 실제 자료에 분위수 회귀 모형을 적용하여 수명을 추정하였다.

층화된 임상시험에서 생존분포의 비교를 위한 표본수의 결정 (Sample Size Determination Comparing Survival Distributions in the Stratified Clinical Trials)

  • 김선우;박미라;이재원
    • 응용통계연구
    • /
    • 제12권1호
    • /
    • pp.175-190
    • /
    • 1999
  • 생존시간을 비교하기 위한 임상시험에서는 생존기간과 관련된 위험인자들을 고려한 층화된 연구설계가 종종 요구된다. 이 경우 필요한 표본수가 결정은 층이 없는 경우에 비하여 다양한 연구상황과 복잡한 표본수의 산출 절차를 수반한다. 본 논문에서는 층이 있는 경우 생존시간을 비교할 때 필요한 표본수를 결정하는 방법들을 실례와 함께 설명하고, 연구자가 주어진 상황하에서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다양한 상황을 설정하여 이에 대한 표본수를 비교하였다.

  • PDF

자각식굴절검사기기에 따른 교정굴절력의 신뢰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iability of Corrected Diopter according to Subjective refraction instrument)

  • 이학준;김정희;류경호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81-286
    • /
    • 2010
  • 목적: 시험렌즈와 포롭터에서의 측정된 교정굴절력 변화를 비교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방법: 시험렌즈와 포롭터를 사용했을 때의 교정굴절력을 비교하고, 굴절검사기기(시험렌즈와 포롭터)에 따른 구면렌즈교정굴절력, 원주렌즈 교정굴절력의 통계학적 유의성과 상관성, 난시안에서 난시량과의 굴절검사기기와의 상관성과 통계학적 유의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단순근시안의 교정굴절력을 시험렌즈와 포롭터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평균교정굴절력이 시험렌즈는 S-2.74D, 포롭터는 S-2.65D로, 포롭터로 측정했을 때의 교정굴절력이 약 0.09D 낮게 측정되었고, 난시량은 시험렌즈는 C-0.81D, 포롭터는 C-0.77D로, 포롭터를 이용하였을 때 약 0.04D 정도 낮게 측정되었다. 굴절검사기기(시험렌즈와 포롭터)와 교정굴절력과의 상관성 분석 결과, 굴절검사기기와 구면렌즈 교정굴절력은 r=0.996으로 높은 상관성이 있었고, 통계학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1), 원주렌즈 교정굴절력도 r=0.986으로 높은 상관성이 있었고, 통계학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결론: 고도비정시안(단순굴절이상과 고도 난시안)의 굴절검사는 시험렌즈보다는 포롭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시험렌즈를 이용할 경우 처방 시 정점간거리나 렌즈사이의 간격에 주의가 요구 된다.

신뢰구간을 이용한 비열등성 시험에서 비모수적 검정법 (Nonparametric Method for a Non-inferiority Test using Confidence Interval)

  • 박수정;김동재
    • 응용통계연구
    • /
    • 제27권5호
    • /
    • pp.833-842
    • /
    • 2014
  • 비열등성 시험이란 시험군이 활성대조군보다 열등하지 않음을 증명하는 임상시험이다. 이러한 비열등성 시험에서 신뢰구간을 이용한 검정 방법에는 Chen 등 (2006)과 Kang (2010)이 제안한 방법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Wilcoxon 순위합 검정에 기초한 두 모평균 차이의 신뢰구간과 활성대조군의 Hodges-Lehmann 추정량을 이용하여 비모수적 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몬테카를로 모의실험(Monte-Carlo simulation)을 통하여 기존의 방법과 제안한 방법의 제1종 오류와 검정력을 비교하였다.

중등학교 교사 임용시험의 실기시험 유무에 따른 공업계 고등학교 전문 교과 교사의 실기 능력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practical ability of specialized subject teacher of vocational education high school by existence of practical test of high school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 이하나;이병욱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43-60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공업계 고등학교 전문 교과 교사의 실기 능력을 비교하여 임용실기시험의 효과성을 구명하는 것이다. 그리고 교사의 배경 변인별 분석을 통하여 중등단계 직업교육기관의 교원 선발과 교사의 실기 능력 강화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실기 능력과 관련한 구체적인 영역을 구안하고 임용 실기시험을 실시한 지역과 실시하지 않은 지역의 신규 교사들의 실기 능력 차이를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학교 교사 임용 실기시험 유무에 따른 공업계 고등학교 전문 교과 교사 간의 실기 능력의 차이는 어떠한가? 둘째, 공업계 고등학교 전문 교과 교사 간의 실기 능력은 배경 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학교 교사 임용 실기시험 유무에 따른 공업계 고등학교 전문 교과 교사 간 실기 능력 정도를 비교한 결과 임용 실기시험 실시 집단의 실기 능력 정도의 평균이 다소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공업계 고등학교 전문 교과 교사 간 배경 변인별 실기 능력 차이 정도를 비교한 결과, 국가기술자격증을 소지한 집단의 경우 미소지 집단에 비해 실기 능력의 평균값이 높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기간제 교원 경력 유무에 따른 교사 간 실기 능력을 비교한 결과, 기간제 교원 경력이 있는 집단의 평균이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교직 이수 유형의 경우, 목적형 교원 양성 기관의 교직 이수 유형보다 개방형 교원 양성 기관의 교직 이수 유형 집단의 실기 능력이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