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mparative study on practical ability of specialized subject teacher of vocational education high school by existence of practical test of high school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중등학교 교사 임용시험의 실기시험 유무에 따른 공업계 고등학교 전문 교과 교사의 실기 능력 비교 연구

  • Received : 2018.08.09
  • Accepted : 2018.09.18
  • Published : 2018.09.30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compare practical ability of vocational education high school, investigate effectiveness of recruitment practical examination, and provide basic data that can be helpful to recruit teaching staffs of occupational training institution in the middle stage and strengthen practical guidance capability of teacher through the analysis by variables of teacher's background. To achieve them, concrete capability areas related to practical ability were conceived and differences of new teacher's abilities were compared between area that fulfilled recruitment practical examination and areas that didn't fulfill.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ractical abilities among specialized subject teachers of vocational education high school were compared by existence of vocational education high school teacher recruitment practical examination. As a result, the average of practical ability of the group who was fulfilled by recruitment practical examination was somewhat high in all of 5 sub-areas for practical ability, but wasn't significant statistically. Second, the differences of practical ability by background variable among specialized subject teacher of vocational education high school were compared. As a result, the group who possesses national technology licence, existence of short-term teaching career, teaching course completion form of open teacher training showed higher average and i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statistically.

이 연구의 목적은 공업계 고등학교 전문 교과 교사의 실기 능력을 비교하여 임용실기시험의 효과성을 구명하는 것이다. 그리고 교사의 배경 변인별 분석을 통하여 중등단계 직업교육기관의 교원 선발과 교사의 실기 능력 강화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실기 능력과 관련한 구체적인 영역을 구안하고 임용 실기시험을 실시한 지역과 실시하지 않은 지역의 신규 교사들의 실기 능력 차이를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학교 교사 임용 실기시험 유무에 따른 공업계 고등학교 전문 교과 교사 간의 실기 능력의 차이는 어떠한가? 둘째, 공업계 고등학교 전문 교과 교사 간의 실기 능력은 배경 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학교 교사 임용 실기시험 유무에 따른 공업계 고등학교 전문 교과 교사 간 실기 능력 정도를 비교한 결과 임용 실기시험 실시 집단의 실기 능력 정도의 평균이 다소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공업계 고등학교 전문 교과 교사 간 배경 변인별 실기 능력 차이 정도를 비교한 결과, 국가기술자격증을 소지한 집단의 경우 미소지 집단에 비해 실기 능력의 평균값이 높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기간제 교원 경력 유무에 따른 교사 간 실기 능력을 비교한 결과, 기간제 교원 경력이 있는 집단의 평균이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교직 이수 유형의 경우, 목적형 교원 양성 기관의 교직 이수 유형보다 개방형 교원 양성 기관의 교직 이수 유형 집단의 실기 능력이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4). NCS 기반 고교 직업교육과정 개정 및 전문 교과 교원 자격.임용.양성체제 개선 방안.
  2. 김기홍, 장명희, 김종우(2010). 직업교육 교원 역량 강화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3. 김명우(2015). 국가기술자격증 관심도가 활용도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1(4), 75-84.
  4. 김이경, 한만길, 박영숙, 홍영란, 백선희(2005). 교원의 직무 수행 실태 분석 및 기준 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5. 김진원(2016). 중등학교 기간제 교사가 인식하는 고용불안정성과 조직공정성이 교사 헌신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6. 박남수(2011). 중등교사의 교직이수 유형별 전문성 및 만족도 차이.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7. 박철웅(2012). 기간제 교사의 교직생활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8. 변미혜(2013). 중등 음악 임용고사 제도의 실태 및 개선 방향. 한국국악교육학회지, 36, 83-103.
  9. 이광현, 이차영(2006). 중등 교사의 양성체제의 차이가 교직 선택 동기와 교수방식에 영향을 미치는가?. 교육행정학연구, 24(3), 119-140.
  10. 이무근(2003). 직업교육학원론. 교육과학사.
  11. 이종승(2013). 교육.심리.사회 연구방법론. 교육과학사.
  12. 이창훈, 서원석, 김태훈, 조한진, 김기수(2015). 데이컴 기법을 활용한 기계.금속 교사의 직무 분석. 대한공업교육학회지. 40(2), 130-154.
  13. 임세영, 최현숙, 이민항, 고광대, 김영순(2011). 특성화고 전문 교과 교원 신규 임용 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기계.금속 실기 능력평가방안을 중심으로. 서울특별시교육청.
  14. 임연기, 최준열, 박삼철, 신지수(2008). 중등 교원 양성 체제 개선방안 연구. 한국교육정책연구소.
  15. 장대호(2017). 공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전공 자격증취득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특성화고 기계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16. 장명희, 변숙영(2001). 실업계 고등학교 전문 교과 교사의 직무 수행 기준 개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7. 조동근(2017). 공업계 고등학교 기계과 교사의 직업정체성 형성에 관한 생애사 연구. 박사학위논문, 한국기술교육대학교.
  18. 조한진, 김민웅, 김태훈(2015). 공업계 고등학교 전기, 전자, 통신 교과 초임 교사의 직무 수행 정도에 대한 조사. 한국직업교육학회, 34(1), 73-98.
  19. 주철안(2014). 교직실무. 학지사.
  20. 함승연(2010). 공업교원양성교육에서 좋은 수업에 대한 초임 교사의 인식. 한국공학교육학회, 13(6), 72-79.
  21. 황민정, 박완신, 장영일(2011). 건설공학 교육분야 중등임용시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공업교육학회, 36(2), 257-2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