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토지이용-교통 모형

Search Result 99,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er Trips and Land Use (환승통행과 토지이용의 연관성 분석)

  • Lim, Su-yeon;Lee, Hyangsook;Choo, Sangho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15 no.2
    • /
    • pp.1-12
    • /
    • 2016
  • This paper is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transfer trips and to identify impacts of land use on them. Using the smart transport card data of Seoul on a weekday in April 2013, we explored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transfer trips such as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s, transfer types, and geographical patterns of transfer trips. Then, the multiple regression model for the transfer trips was developed, considering land use as well as socio-economic variables as explanatory ones.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nsfer trips, their ratio to the total trips accounts for 26.7%. Nearly 87% of the trips are one-time transferred, and 64.7% are bus-subway transfer trips. In addition, the transfer trips are more likely to appear nearby subway stations and business facilities. The regression model indicates that land use variables such as the floor areas of business facilities and department stores and mixed land use index significantly positively affect the transfer trips. Our results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choosing feasible locations of multi-modal transfer centers in urban areas.

AN INTEGRATED URBAN MODEL : A COMBINATION OF AN URBAN ECONOMIC MODEL AND TRANSPORTATION-LAND USE MODELS (도시경제모형과 교통 -토지이용모형을 결합한 대도시통합모형-)

  • 전명진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2 no.4
    • /
    • pp.53-63
    • /
    • 1994
  • 도시확산과 지방분권화의 시대적 추세는 도시경제 및 교통-토지이용모형의 구조에 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첫째, 도시의 공간적 확산과 고밀도화로 인한 도시내 제반 경제.사 회활동이 이전보다는 훨씬 다양해지고 복잡해지고 있다. 둘째, 지방분권화로 인해 대도시내 작은 지역단위별 주민들이 자신의 지역문제에 대한 관심과 요구들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도시계획 및 정책은 대도시내 공간적으로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이익집단에 상이 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러한 요인으로 인해 대도시 모형은 1) 도시내 제반활동의 흐름을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어야 하며, 2) 도시계획 및 정책의 효과를 도시 내 세분화된 공간별, 업종별로 분석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는 Wilson의 모형에 도시내 중요한 경제활동인 통근과 shopping변수를 추가하여 Wilson의 모형이 대도시모형으로 이용 될 때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였다. 또한 모형을 구성함에 있어 Matrix Inversion과 Non-linear Programming Model의 두 가지 방법을 도입하고 그 장단점을 비교하였다. Matrix Inversion의 경우 해 (Solution)을 찾기가 쉬워 실질적이고 승수계산과정에서 각 Round마다 승수의 크기를 알 수 있는 반면 Programming을 통한 모형의 경우 제약식의 도 입이 용이하고 목적함수의 형태를 바꾸는 것이 가능하므로 이론적 기틀을 세우는데 유리한 접근방법으로 분석되었다.

  • PDF

The analysis of future land use change impacts on runoff characteristics in urbanized watershed using SWAT model (SWAT 모형을 이용한 도시유역 토지이용 변화가 유출특성에 미치는 영향연구)

  • Kim, Sang-Ho;Ha, Rim;Jung, Chung-Gil;Kim, Seong-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159-159
    • /
    • 2012
  • 유역의 도시화는 지체시간, 첨두유량 및 총 유출량 등 홍수 유출특성 뿐만 아니라 개발행위에 따른 토사유출특성 변화를 초래하는 등 다양한 문제를 유발하고 있다. 또한 인구증가, 산업발달, 교통량 증가로 인한 화석연료의 소비증가로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급증하여 기후변화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지나친 도시화 진행을 억제하고 웰빙과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에 따라 저탄소 녹색사업의 일환으로 도시 녹지조성 계획이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하천인 중랑천 ($288km^2$) 유역을 대상으로 도시화 진행에 따른 토지이용 변화가 강우-유출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중랑천 유역의 과거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토지 이용도로부터 각 항목별 면적변화 추이를 분석한 결과, 17.8%의 도시지역 면적 증가가 나타났다. 미래토지이용 예측을 위하여 CLUE-s (Conversion of Land Use change and its Effects) 모델을 이용하였다. 과거 토지이용 변화 특성을 분석하여 토지피복의 변화와 전이 특성값을 결정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토지면적 시나리오, 변화 제한지역, 회귀식 결과와 토지이용 변화 특성에 따른 CLUE-s 모델을 이용하여 미래 토지이용변화 (2040, 2080) 모의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토지이용 변화에 따른 유출특성변화 모의를 위해, 물리적 기반의 준분포형 강우-유출 모형인 SWAT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모형을 이용하였다. 모형의 적용성 평가를 위해, 매개변수 민감도 분석에 따른 도시유역 최적의 유출관련 매개변수를 선정하고 중랑교 지점의 일별 유출량자료(2000~2009)를 이용하여 보정 및 검증을 실시하였다. SWAT 모형의 검보정 후, 예측된 미래 토지이용도를 적용하여 과거와 현재, 미래 토지이용변화에 따른 유출특성변화를 비교분석하였다.

  • PDF

Developing Trip Generation Models Considering Land Use Characteristics (토지이용 특성을 반영한 통행발생모형 추정 연구)

  • Song, Jae-In;Na, Seung-Won;Choo, Sang-Ho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10 no.6
    • /
    • pp.126-139
    • /
    • 2011
  • In the traditional four-step travel demand models, each step is sequentially conducted following the model estimation at the previous step. The accuracy of the following model is partly dependent on whether the model at the former stage was properly established or not. Therefore, trip generation, which is the first step in this conventional model, has great effects on the modeling process and forecasting results. Linear regression models for trip generation of Seoul Metropolitan Area might increase the forcasting errors, since a variety of land-use characteristics are not considered. Hence, in this study, zonal factors such as socioeconomic and land use variables are included to improve the elaboration of trip generation. Comparing the %RMSE with the existing models, which contain bigger errors in the zones highly based on the secondary and tertiary industries than residence-based, the trip generation models including those variables seem more appropriate overall.

An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Access Management to Traffic Accidents - Case of Large Urban Arterial Streets in Texas - (접근성관리와 교통사고와의 관계에 관한 경험적 연구 - Texas지역 대도시 간선도로를 사례로 -)

  • 권영종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5 no.3
    • /
    • pp.25-37
    • /
    • 1997
  • 접든성통제는 고속도로에 있어서 교통사고 감소의 가장 효과적인 수단들 중의 하나로 인식되어져왔다. 이러한 접근통제의 새로운 적용으로서 접근성관리는 과도한 투자 없이 일반도로상에서 교통사고를 감소시키는데 활용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도시간선도로상에 있어서 접근성관리와 교통사고와의 관계를 교통사고비용의 측면에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미국 텍사스주 대도시 지역내 중앙분리간선도로의 교통사고자료를 다중회귀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자료분석의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접근성관리는 도시간선도로의 교통사고비용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둘째, 이러한 접근성관리와 교통사고비용과의 관계는 도로의 교통상황과 도로변 토지이용상태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났다. 셋째, 대체로 접근성관리와 관련된 요인이 교통상황 및 토지이용상태에 관련된 요인보다 더 교통사고비용과 밀접한 관계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교통사고비용을 설명하는데 있어 가장 중용한 접근성 관리 요인은 외부접근로의 간격으로 나타났다.

  • PDF

A Goal-Based Transportation Planning Model (목표기반 교통계획모형 연구)

  • Im, Yong-Taek;Kim, Hyeon-Myeong;Yang, In-Cheol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7 no.5
    • /
    • pp.195-208
    • /
    • 2009
  • A network design problem (NDP) formulated as a mathematical program is generally used to find an optimum value to minimize or to maximize some objectives such as total travel time, social benefit, or others. NDP has, however, some limits of describing components of travel patterns like activities and trip generation due to its modeling simplicity, and also it has difficulty in including attributes of regional planning. In order to cope with such limits, this paper extends NDP to the urban planning field and proposes a mathematical program which can describe the interactions between urban social activities and transportation planning. Based on this model the authors try to optimize both urban activities and the transportation system. The model developed in this paper is tested to assess its application with a real-size regional transportation network.

Introducing A Spatial-temporal Activity-Based Approach for Estimating Travel Demand at KTX Stations (KTX 정차 역의 교통수요 추정을 위한 시.공간 활동기반 분석기법 적용방안 연구)

  • Eom, Jin-Ki
    • Proceedings of the KSR Conference
    • /
    • 2007.11a
    • /
    • pp.734-743
    • /
    • 2007
  • The KTX station is one of special generators that produce a lot of trips caused by special land use such as university, airport, and super shopping mall. Special generators need special attention in developing travel demand models since the standard trip generation and distribution model in the conventional four-step approach do not provide reliable estimates of their travel patterns. New modeling approach, activity-based model, considering travel behavior of person, seem to be more appropriate for those special generators. Thus, this study introduces a spatial-temporal activity-based approach and how activity-based approach can be applied to estimation of travel demand at KTX stations.

  • PDF

A Study on the Stochastic Demand Forecast for the Capacity Calculation of Urban Planning Facilities (도시계획시설 용량 산정을 위한 확률적 수요 예측에 관한 연구)

  • Jae Young Kang;Jong Jin Kim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15 no.1
    • /
    • pp.135-146
    • /
    • 2024
  • This study predicts the means sharing ratio of the urban air transportation (UAM) when the VertiHub of the UAM in the southern western part is built at Songjeong Station in Gwanju. Based on Monte Carlo simulation of the utility function and means selection logit model for each means of transportation, our findings indicate an average mode share of 0.95%, with a variability range from 0.07% to 4.7%. Moreover, 95% of the simulation outcomes fall below a 2.02% mode share. Sensitivity analysis, conducted via Tornado Plot, highlights that the mode share is principally influenced by factors such as the unit fare, cost parameter, basic fare, and the time required for takeoff and landing. Notably, a negative correlation exists for unit fare, basic fare, and takeoff and landing time, suggesting the necessity of setting an appropriate level of fair to enhance UAM utilization.

Modelling the Subway Demand Estimation by Station Using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Category (카테고리별 다중회귀분석 방법을 이용한 지하철역별 수요 추정 모형 개발)

  • Shon, Eui-Young;Kwon, Byoung-Woo;Lee, Man-H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2 no.1 s.72
    • /
    • pp.33-42
    • /
    • 2004
  • 지하철역별 수요는 개통 후 경과 연도에 따라서 S자 형태로 증가한다. 즉 개통 초기에는 잠재되어 있던 지하철 수요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계속적으로 증가하다가, 개통 후 10$\sim$13년 정도가 경과하면 최대를 나타낸 후 거의 정체하는 현상을 보인다. 그러나 지금까지 지하철 수요를 추정하기 위해서 이용되었던 4단계 모형은 이러한 지하철 수요의 증가 추세를 반영할 수 없기 때문에 실제 수요와 많은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해 보고자 서울시 지하철 2$\sim$8호선의 실제 수요를 토대로 지하철역별 수요, 특히 순수한 승차인원을 추정하는 모형을 개발하였다. 모형에 적용되는 함수식은 실제 지하철역별 수요와 가장 유사한 형태를 보이고 있는 로지스틱 함수식을 이용하였다. 또한 각각의 지하철역별로 나타나는 상이한 특성은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모형에 반영하였다. 카테고리는 토지이용도, 사회경제활동의 규모, 그리고 지하철역의 특성에 따라 분류하였다. 각 카테고리별 특성을 대표하는 독립 변수로 인구 종사자수, 학생수와 개통 후 경과 연도 등을 선정하였다. 그 결과 카테고리별로 추정된 지하철역별 수요는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지하철역별로 승차하는 순수한 수요를 보다 정확하게 추정하기 위한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반면에 본 모형을 이용하여 지하철역별 하차 수요 및 횐승 수요를 추정하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기존에 지하철 수요를 추정하는 데에 가장 많이 사용된 4단계 모형과 접목하여야 하며, 이에 대한 방안도 본 연구에서 제시하였다.

An Analysis on a Share of Public Transportation Expenditure in Car-Owning Household - Focused o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 (자동차 소유가구의 대중교통비 지출비율에 대한 영향요인 연구)

  • Jang, Seongman;Yi, Changhyo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 /
    • v.31 no.3
    • /
    • pp.19-37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a structural relationship on factors affecting ratio of public transportation spending to a car-owning household's total transportation expenditure. For this purpose, informations of household's attributes and activities were gathered using the 13th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KLIPS), and information of land-use and transportation conditions on their residential locations was collected and process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on determinants affecting ratio of public transportation expenditure was constructed, based on an execution result of factor analysis using the analyzing database. The latent variables were derived as land-use/transportation characteristic, household's attribute and household's activity. In the analyzing result of the SEM, the entire latent variables were significant. And, the first two latent variables had positive influences, and the last latent variable had a negative impact. To promote public transportation use of the car-owning household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olicies such as enhancement of convenience in public transportation use for the household's activities and improvement of the land-use/transport conditions are requi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