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ing A Spatial-temporal Activity-Based Approach for Estimating Travel Demand at KTX Stations

KTX 정차 역의 교통수요 추정을 위한 시.공간 활동기반 분석기법 적용방안 연구

  • 엄진기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정책물류연구본부, 교통계획연구팀)
  • Published : 2007.11.08

Abstract

The KTX station is one of special generators that produce a lot of trips caused by special land use such as university, airport, and super shopping mall. Special generators need special attention in developing travel demand models since the standard trip generation and distribution model in the conventional four-step approach do not provide reliable estimates of their travel patterns. New modeling approach, activity-based model, considering travel behavior of person, seem to be more appropriate for those special generators. Thus, this study introduces a spatial-temporal activity-based approach and how activity-based approach can be applied to estimation of travel demand at KTX stations.

고속철도 정차역은 시설현황, 정차역의 위치, 주변 토지이용 등 역세권 주변의 개발 정도에 따라 정차역에서 유발 및 유입되는 통행량에 큰 차이를 보이게 되며, 역과 역세권이 잘 발달된 정차역은 유동인구가 상당히 많음에 따라 특별구역(시설물)으로 정의되어질 수 있다. 이러한 특별구역은 많은 통행량을 발생시키는 토지이용 구역으로서 대학교, 공항, 대형쇼핑몰 등이 해당되어 왔으며 고속철도의 이용자가 증가함에 따라 정차역이 지역 내 통행수요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였을 때 특별구역으로 정의 될 필요가 있다. 지역내 교통처리 계획 및 연계교통계획 수립을 위해 특별구역에 대한 통행수요추정은 예전부터 상당한 관심이 요구되어 왔다. 그러나 전통적인 4단계 모형의 통행발생 및 분포 모형으로는 이러한 특별구역의 통행수요를 예측하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개인별 통행행태를 고려할 수 있는 새로운 분석방법인 활동기반모형(Activity-Based Travel Demand Model)의 적용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속철도 정차 역의 교통수요추정을 위해 활동기반 모형의 적용방안에 대하여 소개하며 향후, 적용가능성에 대하여 제시하도록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