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토양 물성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28초

전남 동남부 지역에 부존하는 육상골재의 물성특성에 관한 연구 (Physical Properties of Old Fluvial Aggregates in the Southeastern of Jeonnam Province, Korea)

  • 김주용;오근창;양동윤;홍세선;장수범;이진영;임현수
    • 자원환경지질
    • /
    • 제38권3호
    • /
    • pp.319-334
    • /
    • 2005
  • 육상골재의 구성물질은 퇴적 후 오랫동안 지하수 유동의 영향으로 일부는 풍화를 받아 토양화가 진전되었거나 토양화의 정도는 미약하더라도 퇴적당시의 입자가 실트-점토질 또는 세립질로서 골재로 사용하기에는 곤란한 경우도 있다. 더구나 오랜 기간 계속된 육상골재의 개발로 입지가 양호한 지점에 분포하는 육상골재는 현재 거의 개발이 완료된 상태이므로 골재의 품질기준을 규정한 KS F 2526 및 KS F 2527 등에 의하여 골재로서 부적합하거나 불량한 조건을 나타내는 육상골재에 대하여서도 자원의 효율적인 이용차원에서 각각의 품질에 적합한 다양한 용도를 개발하고 이러한 범위 내에서 골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노력과 관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육상골재의 물성은 기원암과 고기 하천 환경에 좌우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호주 Queensland 남서부 지역의 염분작용 조사 (The role of geophysics in understanding salinisation in Southwestern Queensland)

  • Wilkinson Kate;Chamberlain Tessa;Grundy Mike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8권1호
    • /
    • pp.78-85
    • /
    • 2005
  • 이 연구에서는 지구물리 및 환경공학적 방법을 동원하여 호주 Queensland 남서부 Goondoola Basin 에서의 2차 염분작용의 원인을 조사하였다. 지표 및 지하 물질과 지하수에 대한 정보와 함께 항공 방사능 및 전자탐사 그리고 지표 전자탐사 자료가 얻어졌다. 방사능과 고도자료 및 측정된 물성간에 얻어진 상관관계로부터 지표 물질 및 지하수 유입 포텐샬의 예측도를 만들 수 있었는데, 가장 큰 지하수 유입은 분지를 둘러싼 풍화 기반암에서 일어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전자탐사자료(항공, 지표 및 시추공)는 토양 및 시추자료와 함께 천부 소금층의 크기와 지하 구조를 규명하는데 사용되었다. 전기전도도 측정자료는 토양 염분의 분포를 반영하고 있다. 그러나 표토 깊은 곳에서는 염분함량이 상대적으로 일정하여, 항공전자탐사 신호는 공극률 또는 물성의 변화에 따라 영향을 받았으며, 이러한 결과로부터 기반암 풍화대의 수평적인 분포를 탐지할 수 있었다. 이 지역의 염분 작용은 표층 구조에 의해 강하게 좌우되는 국부적 및 중간 크기 과정의 결과로 발생하며, 현재의 지표 현상은 사면의 균열에서 유출되는 천부 염분 지하수 상부에서의 증발 농축의 결과이다. 표층과 지하 자료의 종합으로부터 지하수위 상승에 따른 염분도 증가로 야기되는 유사한 산사태 구조의 규명이 가능하였다. 이 정보는 현재 지방 토지 관리자가 과도한 지하수 유입과 더 이상의 염분 이동을 막는 관리방법의 개선에 이용되고 있다.

토양안정재를 혼합한 녹생토의 전단강도 및 침식저항특성 (Shear Strength and Erosion Resistance Characteristics of Stabilized Green Soils)

  • 오세욱;전진철;김동근;이헌호;권영철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6권12호
    • /
    • pp.45-52
    • /
    • 2015
  • 최근 산림 훼손지를 원래 상태로 되돌리기 위한 생태복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인공 비탈면을 보강하면서 친환경적인 녹화가 될 수 있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생태복원을 목표로 식생생육의 기반이 되는 인공토양의 조성과 관련된 많은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하수오니, 톱밥, 제지슬러지, 화강풍화토가 포함되어 사용되고 있는 녹생토와 친환경적인 토양안정재를 활용하여 연구수행을 하였다. 토양안정재와 혼합된 녹생토를 이용해 기본물성실험을 통해 녹생토의 기본적인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친환경적인 토양안정재를 일정비율로 녹생토와 혼합하여 각각의 비율에 따른 전단강도실험을 수행하여 최대전단강도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점착력과 내부마찰각을 산정하였다. 그리고 녹생토와 토양안정재의 혼합비율을 전단강도실험과 동일한 조건으로 비탈면의 기울기를 적용하여 토양안정재의 혼합비율에 대한 침식률과 발아율을 분석하여 주변 환경적 요인에 대처 가능한 토양안정재의 경제적인 혼합비율을 고찰하고자 한다. 실험결과 양생기간과 안정재의 혼합률에 따라 최대 51%까지 전단강도가 증가하였으며,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내부마찰각과 점착력이 모두 상승한 점을 확인하여 안정재가 녹생토의 전단성능 과침식저항 향상에 기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평택 궁리유적 조선시대 회곽묘의 재료학적 특성 및 제작기법 해석 (Interpretation of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Making Techniques for Lime-Soil Mixture on Tomb Barrier of Pyeongtaek Gungri Site in Joseon Dynasty)

  • 강산하;이찬희
    • 자원환경지질
    • /
    • 제51권1호
    • /
    • pp.49-65
    • /
    • 2018
  • 회곽묘는 조선시대 묘제의 한 형태로서 석회, 모래, 황토를 혼합한 삼물을 이용하여 곽을 축조한 무덤이다. 이 연구에서는 평택 궁리유적에서 출토된 조선시대 회곽묘를 대상으로 제작방식에 따라 층벽식과 통벽식으로 구분하여 재료학적 및 제작특성을 검토하였다. 분석시료는 석회혼합물과 토양으로 분류하였으며 회곽의 제작방식에 따른 삼물의 혼합특성도 해석하였다. 회곽은 내부의 환경을 제어하는데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벽체에서 상대적으로 석회함량이 높은 삼물을 사용하였으며, 이를 마감하는 층이나 바닥에는 상대적으로 석회함량이 적은 저품질의 삼물을 사용하였다. 전체적으로 층벽식보다 통벽식 회곽에서 석회함량이 높으며 물성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삼물의 혼합에 사용한 토양과 유구 주변의 토양이 광물학 및 지구화학적으로 거의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삼물의 제조에 사용한 모래와 황토는 유구 주변에 분포하는 토양을 사용한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궁리유적 인근에는 대규모의 석회암 산지가 다수 분포하고 있다. 또한 아산만을 통해 유입되는 바닷길이 유적 인근까지 연결되어 수운 등의 방법을 통해 인근 산지에서 석회재료가 공급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ZVI/TIO2를 이용한 폴리염화비페닐로 오염된 토양 정화 (Application of ZVI/TiO2 towards Clean-up of the Contaminated Soil with Polychlorinated Biphenyls)

  • 박재욱;조윤진;이동근
    • 청정기술
    • /
    • 제29권2호
    • /
    • pp.118-125
    • /
    • 2023
  • 부지가 폴리염화비페닐(polychlorinated biphenyls, PCBs)로 오염되면, 심각한 환경 및 건강 위해를 피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혁신적이지만 경제성을 지니는 제자리 복원 기술이 오염 부지에 즉시 적용되어야 한다. TCE, PCE 및 DDT와 같은 염소계 유기화합물의 탈염소화를 위하여 최근에는 나노 규모의 영가-철(zero-valent iron, ZVI)이 성공적으로 적용되었고, 지구 지각에서도 풍부하게 존재하는 철은 환경적으로 안전한 것으로 통상적으로 간주된다. 입상 ZVI에 비해 나노 규모 ZVI의 반응성은 훨씬 높지만, 높은 표면에너지와 자기적 물성 때문에 나노 규모 ZVI 입자들은 서로 응결된다. 서로 응결되어 큰 입자로 전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먼저 생성된 나노 ZVI 입자들을 가능한 고정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TiO2 분말에 나노 ZVI를 담지하였다. FeSO4와 TiO2 분말의 수용액상 슬러리에 NaBH4를 천천히 첨가하여10wt% ZVI/TiO2를 제조하였다. 입자 크기의 불균일성에도 불구하고, 나노 ZVI 입자들이 TiO2 외부 표면에 성공적으로 분산되었다. 제조된 ZVI/TiO2는 PCBs의 표준 물질 일종인 Aroclor 1242로 인위적으로 오염시킨 토양의 PCBs 분해 실험에 적용되었고, Aroclor 1242 분해 성능을 관찰하였다. 제조된 ZVI/TiO2는 Aroclor 1242 분해에 꽤 높은 반응성을 보였지만, 분자량이 큰 탄화수소로 판단되는 화합물이 부산물로 생성되어 토양에 잔류하는 것은 피할 수 없었다.

불량쓰레기 매립지에 대한 물리탐사 적용사례 연구(I) (A Study of Geophysical Surveys for the Open Waste Dumping Landfill (I))

  • 이재영;김학수
    • 한국토양환경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29-38
    • /
    • 1996
  • 폐기물 매립지의 수평크기와 심도 파악을 위해 여러 물리탐사법중에서 GPR과 전기비저항 탐사에 의한 조사가 시험으로 수행되었다. 탐사는 조사대상지역의 현장여건으로 인해 경계부와 매립지 중심부 일부에 제한되었다. GPR탐사에서는 50MHz 안테나를 이용하였고 전기비저항탐사는 쌍극자 배열법으로 수행되어졌으며, 복합해석을 위한 중복탐사가 이루어졌다. GPR 탐사에 의한 쓰레기 매립지 수평경 계 해석은 가능하였으며, 심도는 수평경계를 포함한 일부 구간에서만 확인되었다. 전기 비저항탐사는 매립지내의 물성을 제공함으로서 비교해석이 가능하다면 효과적인 정보획득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해석결과는 주변의 사추결과와 잘 일치되었으며, 따라서, 매립지의 수평적 크기와 규모 파악을 위한 조사시 두 조사법의 조합은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 PDF

현장 모니터링 적용을 위한 풍화토와 함수비센서의 접촉체적에 따른 지반물성 연구 (A Study on the Geotechnical Property caused by Contact Volume between Weathered Soils and Moisture Sensor for Application of Field Monitoring)

  • 김만일;채병곤
    • 지질공학
    • /
    • 제18권3호
    • /
    • pp.311-319
    • /
    • 2008
  • 주파수 인피던스를 이용하는 ThetaProbe ML2x인 ADR 형식의 토양함수비센서를 적용하여 주문진 표준사, 상주 화강 풍화토, 장수 편마암풍화토을 대상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시험의 목적은 측정센서의 측정 정밀도를 측정로드부 삽입 깊이에 따른 변화 양상을 파악하였다. 흙매질은 체적함수비 함량과의 관계를 비교하기 위하여 건조상태와 습윤상태로 구분하여 수행하였다. 측정결과에서 측정로드부가 흙매질 내 5cm 이상 삽입되면 측정전압의 변화폭이 크게 감소하는 것을 파악하였다. 또한, 표준사와 같이 균질한 입자를 가진 흙보다는 점토와 실트 등과 같은 세립질을 함유한 화강풍화토와 편마암풍화토에서 측정전압이 안정적인 형태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측정치는 측정로드부가 다공질매질과의 접촉 면적이 커질수록 안정적인 값을 제공한다.

토양 및 지하수에서의 NAPL 제거를 위한 스팀주입 수치해석 (Numerical Analysis of NAPL Removal from Soil and Groundwater Using Steam Injection)

  • 이상일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1권6호
    • /
    • pp.667-674
    • /
    • 1998
  • NAPL로 오염된 토양이나 지하수에 스팀을 주입하여 제거하는 과정을 모의하는 수치모형은 다양한 현장상황에서의 적절한 작업조건을 설계·평가하는데 매우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다. 스팀주입에 의한 NAPL 제거과정을 다상, 다요소 시스템의 비등온 과정으로 기술하는 지배방정식에 기초한 T2VOC를 이용하여 1 및2차원상황에 대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1차원의 경우 수치해는 실험상 어려움으로 인한 편차를 제외하고는 실험에서 얻은 컬럼내 온도분포와 비교적 좋은 일치를 보였다. LNAPL인 xylene과 DNAPL 인 TCE에 대한 2차원 해석도 상이한 물성에 상응하는 분포와 제거과정을 합리적으로 예측하는 것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수치모형의 활용범위는 실험적으로 확인하기 여려운 기화에 의한 가스의 생성과 같은 복잡한 과정의 구명을 비롯하여 스팀주입기술의 현장적용시 매우 넓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Biopolymer 생산세균의 분리 및 증식패턴 (Isolation of Biopolymer-producing Bacterium and Its Growth Pattern)

  • Yoo, Jin-Young;Chung, Dong-Hyo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421-428
    • /
    • 1989
  • 물성조정제로서 고전도의 다당류를 생산하는 토양세균을 분리 선발하여 동정한 결과 Pseudomonas delafieldii로 판단되었다. 이 세균의 증식을 위한 pH와 온도는 6.5 및 3$0^{\circ}C$이었다. 최대 비성장속도는 0.25 h$^{-1}$이며 염류배지에서 다당류의 비생산속도, 증식수율 및 다당류 생산수율은 6.25mg/g-cell/h, 54.5%, 38.39%이었다. 본 다당류는 포도당과 gluconolactone을 몰비로 1.9:1.0로 함유한 $\beta$-glucan 으로 추정되었으며 원인 분석결과 탄소 31.85% 수소 31.85% 수소 5.l5%를 함유하고 아세틸기를 1.35%가지고 있었으며 고유점도는 42.84dl/g, 분자량은 5.64$\times$$10^7$이었다.

  • PDF

제사속도와 열처리에 따른 polylactic acid 섬유의 물성 및 생분해성 변화 (Effects of Spinning Speed and Heat Treatment on the Mechanical Property and Biodegradability of Polylactic Acid Fibers)

  • 박정희;홍은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607-614
    • /
    • 200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ggest the optimal spinning process condition which provides a proper range of tenacity and biodegradability as textile fibers. The effects of the melt spinning speed and heat treatment on the mechanical property and biodegradability of polylactic acid fiber were investigated. Polylactic acid(PLA) was spun in a high spinning speed of $2000{\sim}4000m/min$. Each specimen was heat-treated at $100^{\circ}C$ during 30min.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breaking stress and the degree of crystallinity were evaluated using WAXS. Biodegradability was estimated from the decrease of breaking stress, weight loss, and the degree of crystallinity after soil burial. Experimental results revealed that heat treated specimens showed higher breaking stress than untreated specimens, but the increase was not so high as was expected from the remarkable change of crystallinity by heat treatment. It was concluded that breaking stress was more influenced by spinning speed than heat treatment. In the soil burial test, however biodegradability calculated from weight loss was more influenced by heat treatment than spinning spe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