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ysical Properties of Old Fluvial Aggregates in the Southeastern of Jeonnam Province, Korea |
Kim Ju Yong
(Dept. of Geological & Environmental Hazards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 Mineral Resources (KIGAM))
Oh Keun Chang (Dept. of Geological & Environmental Hazards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 Mineral Resources (KIGAM)) Yang Dong Yoon (Dept. of Geological & Environmental Hazards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 Mineral Resources (KIGAM)) Hong Sei Sun (Dept. of Geological & Environmental Hazards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 Mineral Resources (KIGAM)) Chang Soo Bum (Dept. of Geological & Environmental Hazards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 Mineral Resources (KIGAM)) Lee Jin Young (Dept. of Geological & Environmental Hazards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 Mineral Resources (KIGAM)) Rim Hyun Soo (Dept. of Geological & Environmental Hazards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 Mineral Resources (KIGAM)) |
1 | 김주용, 양동윤, 민충기, 남욱현, 신현모, 고인세, 김진관, 오근창 (2004) 골재부존조사 및 품질관리 기술개발 연구: 제3장 육상골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대전, 816p |
2 | 이병주, 김정찬, 김유봉, 조등룡, 최현일, 전희영, 김복철 (1997) 광주지질도폭설명서(1:250,000). 과학기술부, 82p |
3 | Fisher T.G. and Smith D.G. (1993) Exploration for pleistocene aggregate resources using process-depositional models in the Fort McMurray region, Ne Alberta, Canada. Quaternary International, v. 20, pp.71-80 DOI ScienceOn |
4 | KS F 2515 (2002) 골재 중의 염화물 함유량 시험 방법. 한국표준협회, 4p |
5 | KS F 2526 (2002) 콘크리트용 골재. 한국표준협회, 8p |
6 | KS F 2532 (2002) 역청 표면 처리용 부순 골재, 부순 슬래그 및 골재. 한국표준협회, 3p |
7 | KS F 2534 (2002) 구조용 경량 골재. 한국표준협회, 4p |
8 | Spooner, I.S. and Dalrymple, R.W. (1993) Sedimentary facies relationships in esker-ridge/esker-fan complexs, Southeastern Ontario, Canada: Application to the exploration for asphalt blending sand. Quaternary International, v. 20, pp. 81-92 DOI ScienceOn |
9 | 홍세선, 이창범, 박덕원, 양동윤, 김주용, 이병태, 오근창 (2004) 국내 골재석산의 분포와 유형 분석. 자원환경지질, 37권, p. 555-568 |
10 | KS F 2512 (2002) 골재중에 함유되는 점토 덩어리량의 시험 방법. 한국표준협회, 2p |
11 | KS F 4009 (2004)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한국표준협회, 36p |
12 | KS F 2543 (2002) 콘크리트용 동(銅) 슬래그 골재. 한국표준협회, 9p |
13 | KS F 2503 (2002) 굵은 골재의 밀도 및 흡수율 시험방법. 한국표준협회, 6p |
14 | 김학수, 조규붕 (2002) 토목품질시험기술사 문제해설 및 실무. 구미서관, 서울, 494p |
15 | KS F 2544 (2002) 콘크리트용 고로 슬래그 골재. 한국표준협회, 30p |
16 | KS F 2583 (2002) 콘크리트용 연(鉛) 슬래그 골재. 한국표준협회, 7p |
17 | 양동윤, 이창범 (1997) 촉진시험법을 이용한 하천골재의 알칼리 반응성 판정. 자원환경지질, 30권, p. 175-183 |
18 | KS F 2551 (2002) 절연 콘크리트용 경량 골재. 한국표준협회, 4p |
19 |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Materials, ASTM C-40 (1992) Test method for organic impurities in fine aggregates for concrete |
20 | KS F 2501 (1997) 골재의 시료채취방법. 한국표준협회, 4p |
21 |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Materials, ASTM C-88 (1990) Test method for soundness of aggregates by use of sodium sulphate or magnesium sulphate |
22 | 양동윤, 임순복, 민충기, 이창범, 박덕원, 김주용, 이동영 (1999) 한반도 산림골재의 물성특성. 자원환경지질, 32권, p. 1-11 |
23 | KS F 2502 (2002) 골재의 체가름 시험 방법. 한국표준협회, 5p |
24 | KS F 2527 (2002) 콘크리트용 부순 골재. 한국표준협회, 8p |
25 | KS F 2504 (2002) 잔골재의 밀도 및 흡수율 시험 방법. 한국표준협회, 6p |
26 | KS F 2505 (2002) 골재의 단위용적질량 및 실적률 시험 방법. 한국표준협회, 8p |
27 | KS F 2578 (2002) 미장용 잔골재. 한국표준협회, 5p |
28 | 박영석, 장우석, 김종균 (2003) 구례지역 하상퇴적물의 지 질집단별 자연배경치에 대한 연구. 자원환경지질, 36권, p. 275-284 |
29 | KS F 2507 (2002) 골재의 안정성 시험 방법. 한국표준협회, 5p |
30 | 이성복 (1997) 잔입자함유량 및 잔골재 입형 변화에 따른 부순모래 콘크리트의 특성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건축공학과, 212p |
31 | KS F 2536 (1990) 머캐덤 포장용 부순 골재. 한국표준협회, 4p |
32 | 백두환 (2000) 부순잔골재 콘크리트의 효율적인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청주대학교 건축공학과, 185p |
33 |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 (1998) Annual book of ASTM standards. Part 4.02. ASTM, Philadelphia |
34 | KS F 2558 (1993) 콘크리트용 부순 모래. 한국표준협회, 4p |
35 | KS F 2573 (2002) 콘크리트용 재생 골재. 한국표준협회, 6p |
36 | 윤기원 (1996) 부순모래 콘크리트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 요인 및 활용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청주대학교 건축공학과, 161p |
37 | KS F 2508 (2002) 로스앤젤레스 시험기에 의한 굵은 골재의 마모 시험 방법. 한국표준협회, 8p |
38 |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Materials, ASTM C-33 (1986) Standard specifications for concrete aggregates |
39 |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Materials, ASTM C-128 (1993) Test method for specific gravity and absorption of fine aggregates |
40 | KS F 2511 (2002) 골재에 포함된 잔 입자(0.08mm 체를 통과하는) 시험 방법. 한국표준협회, 2p |
41 | KS F 2357 (1997) 역청 포장 혼합물용 골재. 한국표준협회, 5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