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토심

검색결과 379건 처리시간 0.021초

수량화 2종법을 이용한 GIS 기반의 인제지역 산사태 영향인자 분석 (GIS Based Analysis of Landslide Factor Effect in Inje Area Using the Theory of Quantification II)

  • 김기홍;이환길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0권3호
    • /
    • pp.57-66
    • /
    • 2012
  • 강원도의 경우 대부분 산지로 이루어져 있어 산사태로 인한 피해가 매우 크다. 이러한 산사태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산사태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기초적인 관련 인자를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인제군 인제읍 덕산리 지역을 대상으로 재해 직후 촬영된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육안판독에 의한 디지타이징 방법으로 산사태 발생 및 미발생 지점을 추출하였으며, GIS를 이용한 지형도, 임상도, 토양도의 중첩분석을 통하여 산사태 관련 인자에 대하여 지형학적, 임상학적, 토양학적 특성을 수량화 2종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경사도는 $20^{\circ}{\sim}35^{\circ}$ 사이에서 산사태가 많이 발생하였으며, 임상 인자의 경우 침엽수가 산사태 발생 빈도와 더 큰 연관성을 보였다. 토양 인자의 경우 유효 토심이 얕을수록, 토양모재가 산성암일수록 산사태 발생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저토심 옥상녹화시스템에 따른 토양수분의 변화 (Change Soil Water and Evaluation with Respect to Shallow-Extensive Green Roof System)

  • 박준석;박지혜;주진희;윤용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9권7호
    • /
    • pp.843-848
    • /
    • 2010
  • This study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 soil water with respect to soil thickness and soil mixture ratio, in order to effectively carry out an afforestation system for a roof with a low level of management and a light weight. Soil hardness tended to increase as sand particle was increase regardless soil thickness and soil porosity had more higher artificial soil than natural soil mixture. In case of soil pH, natural soil mixture had between 6.7 and 7.4, and artificial soil mixture had 6.0~6.8. Organic matter, electrical conductance and exchangeable content were highest in $L_{10}$, which it had the highest leafmold ratio. Soil moisture tension(kPa) in 15cm soil thickness was observed natural soil mixture had a considerable change but artificial soil mixture had a gradual change when non-rainfall kept on. In the experimental $L_{10}$, $S_{10}$, $S_7L_3$ and $S_5L_5$ object, the amount of moisture tended to rapidly decrease. However, in the experimental $P_7P_1L_2$, $P_6P_2L_2$, $P_5P_3L_2$ and $P_4P_4L_2$ objects, which contained pearlite and peat moss, the amount of moisture tended to gradually decrease. As a result, the use of a artificial soil mixture soil seems to be required for the afforestation of a roof for a low level of management.

제지(製紙)슬러지의 답토양(畓土壤) 시용효과(施用效果) (Effects of Paper Mill Sludge in submerged Soil)

  • 최종우;조정례;이규승;김문규
    • 농업과학연구
    • /
    • 제19권2호
    • /
    • pp.187-193
    • /
    • 1992
  • 신개간 논토양에 제지슬러지를 3년간 시용한 논토양의 개량효과와 토양 column에 처리한 슬러지의 용탈실험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지슬러지 2년과 3년 연속시용으로 무시용 토양에 비하여 토양 심층의 성상에 차이가 나타났으며, 질소, 인산, 칼리, CEC 및 유기물함량이 다소 증가하였다. 2) 슬러지시용에따라 토양의 갈색층이 무처리(10cm), 2년시용(15cm) 그리고 3년시용(20cm)으로 토양의 부식화가 촉진되었다. 3) 슬러지시용 토양의 토심 10-20cm 층위에서 유기물함량은 3년시용(1.75%) 2년시용(1.39%) > 무시용(0.9%)의 순으로 슬러지 시용효과를 보여주었다. 4) 토양 column 용탈실험 결과 슬러지 시용으로 모든 양분의 보유능이 증가하였으며, 토양과 지하수의 오염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본다.

  • PDF

대도시 복합유역의 지표 및 지표하 유출해석기법 개발 (II) - 분석 및 적용 - (A Development of Method for Surface and Subsurface Runoff Analysis in Urban Composite Watershed (II) - Analysis and Application -)

  • 곽창재;이재준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5권1호
    • /
    • pp.53-64
    • /
    • 2012
  • 본 연구 (II)에서는 앞선 연구 (I)에서 개발된 지표 및 지표하 유출해석 모듈의 적용성과 수치해석적인 안정성에 대한 분석하였다. 개발 모듈의 유출해석에서 기존 강우-유출해석 모형에 비해 특징적인 침투해석에 관한 모의를 위해 침투해석 방식이 서로 다른 FFC2Q 모형과 $Vflo^{TM}$을 비교대상으로 선정하여 동일한 투수층 유역에 적용하여 모의 결과를 비교분석해 보았으며, 강우의 크기와 토양의 유효토심 및 강우발생시점부터 강우종료 후 경과시간에 대한 모의조건을 설정하여 개발모듈의 적용성과 해석결과의 안정성을 검토해 보았다. 이상의 테스트에서 본 연구의 개발 모듈은 침투과정을 물리적으로 나타내는 전형적인 형태를 잘 나타내었으며, 토양조건 별 포화시점도 상이하였고, 수두가 증가되는 기울기도 다르게 구현함으로써 토양별 특성치를 비교적 잘 보여주었다. 또한, 강우강도가 유출에 미치는 영향과 시간분포에 대한 모의결과도 잘 반영하였으며, 마지막으로 타 모형과의 비교결과에서도 강우-유출해석에 대한 정확도가 높게 평가될 만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옥상조경용 경량 토양의 혼합비와 토심이 3가지 자생초화류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ight-Weight Soil Mixture and Depth on the Three Native Plants in Extensive Roof Garden)

  • 김명회;방광자;주진희;한승원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01-107
    • /
    • 2003
  • Focusing on native plants that have a high possibility of being introduced as extensive rooftop material,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alize extensive and easy-to-manage rooftop gardens and to raise the utilization of native plants by verifying their growing response to soil media and depth. Its result is as follows: 1) In the case of Chrysanthemum zawadskii, the top growth was better in sandy loam than in P$_1$V$_1$P$_2$, and P$_1$V$_1$P$_3$, but the mortality rate was high, making it unsuitable soil. Regarding soil depth the mortality rate was lower in 10cm than in 5cm, and it grew well in 10cm. When using it for rooftop gardens, it would be desirable to keep the minimum viable soil depth over loom. 2) In the case of Sedium middendorffianum the mortality rate was 0% regardless of soil media and depth making it very suitable material for rooftop garden. Although the flowering rate was somewhat lower in P$_1$V$_1$P$_2$, and P$_1$V$_1$P$_3$ than in sandy loam, the mortality rate was low and the root growth was good. Therefore, provided that fertilizing is managed well, it is a plant that can be highly utilized. 3) In the case of Allium senescens, the mortality rate was 0% regardless of soil or soil depth, making it a very suitable plant for extensive rooftop gardens. Although top growth was poorer in P$_1$V$_1$P$_2$, and P$_1$V$_1$P$_3$than in sandy loam the root growth was good. Therefore, provided that fertilizing is managed well, it is a plant that can be highly utilized. In conclusion the study revealed that suitable species for extensive rooftop gardens are Sedium middendorffianum and Allium senescens. However, Chrysanthemum zawadskii can be utilized greatly when fertilizing is managed regularly in artificial mixed soil over l0cm.

산사태와 지형공간정보의 연관성 분석을 통한 장흥지역 산사태 취약성 분석 (Landslide Susceptibility Analysis in Janghung Using Spatial Relationships between Landslide and Geospatial Information)

  • 이사로;지광훈;박노욱;신진수
    • 자원환경지질
    • /
    • 제34권2호
    • /
    • pp.205-215
    • /
    • 2001
  • 본 연구는 1998년 경기도 장흥지역에서 발생한 산사태의 취약성 분석을 목표로 산사태와 공간정보사이의 연관성을 정량적으로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산사태 발생위치는 원격탐사 영상과 야외 조사를 통해 작성하였으며, GIS 기반의 공간 데이터베이스로 지형, 토양, 임상 및 토지이용자료를 구축하였다. 지형자료로는 경사, 방위, 곡률을, 토양자료로는 토질, 토양 배수, 토양 모재, 유효 토심을, 임상자료로는 임상, 영급, 경급 및 밀도를 이용하였다. 산사태 발생과 공간정보사이의 관계는 우도비를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추출하였으며, 경기도 용인지역에서 발생한 산사태의 분석결과와 비교를 하였다. 그리고 계산된 우도비를 이용하여 연구지역 전체에 대한 산사태 취약성 지수도를 작성하였다. 연구결과, 산사태 발생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공간정보를 추출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분석결과는 산사태 피해 예방을 위한 방재사업, 국토개발 계획 등의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작물 생장조건을 고려한 생태면적률 제도 개선 방향 (A Study on Improving the Utilization of Biotope Area Ratio System Considering the Plant Growth Conditions)

  • 이건원;정윤남;지성균;김세용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1490-1499
    • /
    • 2015
  • 본 연구는 여러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 생태면적률 제도 보완을 목적으로 한다. 최근 도시농업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많은 공동주택단지에서 주민들이 텃밭을 일구고 있지만 이에 대한 건축 및 도시계획적 대응은 부족한 상황이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이미 널리 활용 중인 생태면적률 제도를 활용하여, 이러한 도시농업에 대한 수요에 대응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생각한다. 다만, 생태면적률 제도는 작물이 아닌 초목 만을 고려한 것으로 작물재배를 위해서는 한계가 분명하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생태면적률 제도를 보다 확장하여 작물생장 성능까지 담을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서 기존의 생태면적률의 요소에 일조, 간격, 면적, 토심이라는 요소를 더 추가하여 생태면적률의 보완가능성을 분석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생태면적률 제도를 보완하여 최근의 도시농업의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인산축적 뽕밭의 인산 감량시비에 관한 연구 (Reduction of Phosphorus Fertilizer in Mulberry Fields, High in Phosphate)

  • 이원주;최영철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1-16
    • /
    • 1993
  • 인산이 축적된 뽕밭에서 인산 시비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유효인산 300ppm 정도 포장 2개소, 450 ppm정도 포장 1개소에서 인산 표준시비량구(13kg/10a), 반량구, 무인산구, 무시비구 등을 설정하여 4년동안의 포장시험과 엽질검정을 위한 누에 사육시험을 3년동안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1. 토양유효인산 함량이 450ppm포장에서는 4년간 계속된 인산 무시비구에서도 뽕잎 수량감소가 없었으나, 300ppm포장에서의 무인산구에서는 3년차 봄부터, 인산 반량구에서는 4년차 가을부터 감수가 시작되었다. 2. 연차별로 토양 인산의 감소에 따른 수량감소와의 관계에 의하여 인산시비 개시 시기를 조사한 결과, 토심 10~20cm 부위에서 유효인산의 함량이 150ppm 이하로 떨어졌을 때 인산시비를 개시하는 것이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3. 인산 감량시비에 따른 뽕잎 중의 인산함량은 표준량 시비구 대비 0.18%까지 감소하였다. 4. 인산의 감량시비가 뽕잎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하여 3년간 토양인산 300ppm 포장의 뽕잎으로 누에를 사육하여 검정한 결과, 인산 무시비에 의해 수량이 감소하고, 엽중의 인산 함량이 최저 1.13%까지 감소하였어도, 수견량 및 견질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 PDF

논토양에서 배출된 메탄과 토양용액중 용존 메탄의 계절변이 (Seasonal Variation of Soil Entrapped Methane and Dissolved Methane Flux in a Paddy Soil)

  • 이경보;이덕배;김용웅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41-45
    • /
    • 1997
  • 논 토양에서 메탄의 생성과 배출 토양깊이에 따른 토양용액내 메탄 확산 등을 구명코자 미사질 양토인 호남농업시험장 시험포장에서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시기별 메탄 flux는 유수형성기 및 출수기에서 높았으며, 유기물을 시용한 구에서는 유기물 무시용구에 보다 배이상이 높았고, 일중 메탄 flux 변화는 야간에 비해 주간에 높았다. 2. 유기물 시용구에서 토양내 메탄 생성량은 생육초기부터 높았으며 분얼기에 감소하였다가 유수형성기 이후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3. 토양용액중 메탄 함량은 토심 5cm에서 가장 높았으며, 메탄의 확산은 매우 느린 경향이었다. 4. 토양 용액중 Eh는 -150~-160mV 범위였으며 메탄 생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 PDF

토색분류(土色分類)에 의(依)한 제주도(濟州道) 토양(土壤)의 변이분석(變異分析) (Variation of Soil Characteristics for Soil Color Groups in Jeju-Do)

  • 박창서;엄기태;김이열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41-146
    • /
    • 1984
  • 제주도(濟州道) 토양(土壤)의 약(約)93%에 해당(該當)하는 흑색토(黑色土), 농암갈색토(濃暗褐色土), 암갈색토(暗褐色土) 및 갈색토(褐色土)의 토양단면내(土壤斷面內) 변이성(變異性) 및 순수성(純粹性)을 분석(分析)하고 토색별(土色別) 토양특성(土壤特性)에 대한 특정(特定) 신뢰구간(信賴區間)에서 주어진 정도내(精度內)에 요구(要求)되는 표본(標本)크기를 결정(決定)하고자 수행(遂行)한 결과(結果)는 마음과 같다. 1. 대체(大體)로 토양화학성(土壤化學性)은 물리성(物理性)보다 변이성(變異性)이 컸으며 토심별(土深別)로는 심토(心土)가 표토(表土)보다 컸다. 2. 갈색토(褐色土)의 변이계수(變異係數)는 토양특성(土壤特性)에 관계(關係)없이 가장 낮았다. 3. 토양통(土壤統) 설정시(設定時) 순수성(純粹性)은 갈색토(褐色土) 74.1, 암갈색토(暗褐色土) 60.8, 흑색토(黑色土) 55. 6, 그리고 농암갈색토(濃暗褐色土) 46.9% 이었다. 4. 토양특성(土壤特性)을 유의수준(有意水準) 0.00에서 모평균(母平均)의 10% 정도(精度)로 추정(推定)하는데 요구(要求)되는 표본標本)크기를 결정(決定)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