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duction of Phosphorus Fertilizer in Mulberry Fields, High in Phosphate

인산축적 뽕밭의 인산 감량시비에 관한 연구

  • 이원주 (농촌진흥청 잠업시험장) ;
  • 최영철 (농촌진흥청 잠업시험장, 농촌진흥청 잠업시험장, 농촌진흥청 잠업시험장, 홍성군 농촌지도소)
  • Published : 1993.06.01

Abstract

Field experiment and silkworm rearing were conducted for 4years in an attempt to reduce phosphorus fertilizer in mulberry field with high levels of phosphate. Experiments consisted of four treatments; normal recommended P application(13kg P2O5/10a), half, null and no fertilizer on each of 3 mulberry fields, two fields with 300ppm and one filed begining with 450ppm of aviable P2O5 content in soil. One of 300ppm fields was used for leaf quantity and one for leaf quality test by silkworm rearing. Leaf yield in the 300ppm field decreased after the 3rd spring in the no phosphorus treatment and in the 4th fall in the half phosphorus treatment. No yield decrease occurred in 450ppm field for 4 years. Yield decrease did occur in the next rearing season after soil phosphate content in the 10~20cm zone dropped below 150ppm. Phosphorus fertilizer should be applied at this time. Though P2O5 concentration in leaves of no phosphorus treatment was 0.18% lower that that of conventional treatment, there were no difference in cocoon quality.

인산이 축적된 뽕밭에서 인산 시비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유효인산 300ppm 정도 포장 2개소, 450 ppm정도 포장 1개소에서 인산 표준시비량구(13kg/10a), 반량구, 무인산구, 무시비구 등을 설정하여 4년동안의 포장시험과 엽질검정을 위한 누에 사육시험을 3년동안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1. 토양유효인산 함량이 450ppm포장에서는 4년간 계속된 인산 무시비구에서도 뽕잎 수량감소가 없었으나, 300ppm포장에서의 무인산구에서는 3년차 봄부터, 인산 반량구에서는 4년차 가을부터 감수가 시작되었다. 2. 연차별로 토양 인산의 감소에 따른 수량감소와의 관계에 의하여 인산시비 개시 시기를 조사한 결과, 토심 10~20cm 부위에서 유효인산의 함량이 150ppm 이하로 떨어졌을 때 인산시비를 개시하는 것이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3. 인산 감량시비에 따른 뽕잎 중의 인산함량은 표준량 시비구 대비 0.18%까지 감소하였다. 4. 인산의 감량시비가 뽕잎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하여 3년간 토양인산 300ppm 포장의 뽕잎으로 누에를 사육하여 검정한 결과, 인산 무시비에 의해 수량이 감소하고, 엽중의 인산 함량이 최저 1.13%까지 감소하였어도, 수견량 및 견질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