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GIS Based Analysis of Landslide Factor Effect in Inje Area Using the Theory of Quantification II

수량화 2종법을 이용한 GIS 기반의 인제지역 산사태 영향인자 분석

  • 김기홍 (강릉원주대학교 토목공학과) ;
  • 이환길 (강릉원주대학교 토목공학과)
  • Received : 2011.12.29
  • Accepted : 2012.06.26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Gangwon-do has been suffering extensive landslide dam age, because its geography consists mainly of mountains. Analyzing the related factors is crucial for landslide prediction. We digitized the landslide and non-landslide spots on an aerial photo obtained right after a disaster in Inje, Gangwon-do. Three landslide factors-topographic, forest type, and soil factors-w ere statistically analyzed through GIS overlap analysis between topographic map, forest type map, and soil map. The analysis showed that landslides occurred mainly between the inclination of $20^{\circ}$ and $35^{\circ}$, and needleleaf tree area is more vulnerable to a landslide. About soil properties, an area with shallow effective soil depth and parent material of acidic rock has a greater chance of landslide.

강원도의 경우 대부분 산지로 이루어져 있어 산사태로 인한 피해가 매우 크다. 이러한 산사태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산사태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기초적인 관련 인자를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인제군 인제읍 덕산리 지역을 대상으로 재해 직후 촬영된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육안판독에 의한 디지타이징 방법으로 산사태 발생 및 미발생 지점을 추출하였으며, GIS를 이용한 지형도, 임상도, 토양도의 중첩분석을 통하여 산사태 관련 인자에 대하여 지형학적, 임상학적, 토양학적 특성을 수량화 2종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경사도는 $20^{\circ}{\sim}35^{\circ}$ 사이에서 산사태가 많이 발생하였으며, 임상 인자의 경우 침엽수가 산사태 발생 빈도와 더 큰 연관성을 보였다. 토양 인자의 경우 유효 토심이 얕을수록, 토양모재가 산성암일수록 산사태 발생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F. C. Dai and C. F. Lee, 2003, "A Spatiotemporal Probabilistic Modelling of Storm-Induced Shallow Landsliding using Aerial Photographs and Logistic Regression," Earth Surface Processes and Landforms, vol. 28, no. 1, pp. 527-545. https://doi.org/10.1002/esp.456
  2. E. A. Sezer, B. Pradhan, and C. Gokceoglu, 2011, "Manifestation of an adaptive neuro-fuzzy model on landslide susceptibility mapping: Klang valley, Malaysia," Export Systems with Applications, vol. 38, no. 1, pp. 8208-8219. https://doi.org/10.1016/j.eswa.2010.12.167
  3. 김기홍, 윤찬영, 이환길, 황제선, 2011, "GIS를 이용한 인제 산사태 발생지역의 토석류 분석," 한국측량학회지, 제29권, 제1호, pp. 47-53.
  4. 김태훈, 김계현, 남기범, 심재현, 최우정, 조명흠, 2010, "고해상도 공간영상을 이용한 자연재해 피해조사시스템 설계 및 구현,"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논문지, 제12권, 제1호, pp. 57-65.
  5. 박은지, 김계현, 이온길, 2008, "GIS기법을 이용한 하천 교란 실태의 분석(I),"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논문지, 제10권, 제2호, pp. 81-93.
  6. 박은지, 김계현, 장창래, 2008, "GIS기법을 이용한 하천 교란 실태의 분석(II),"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논문지, 제10권, 제4호, pp. 27-35.
  7. 양인태, 천기선, 박재훈, 2006, "GIS와 AHP를 이용한 산사태 취약지 결정 및 유발인자의 영향,"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제14권, 제1호, pp.3-12.
  8. 윤홍식, 이동하, 서용철, 2009, "GIS 기법 및 발생자료 분석을 이용한 산사태 위험지도 작성," 한국지리정보학회지, 제12권, 제4호, pp. 59-73.
  9. 이명진, 2003, "원격탐사, 지리정보시스템 및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강릉지역 산사태 취약성 분석 및 검증,"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이진덕, 연상호, 김성길, 이호찬, 2002, "산사태 발생가능지 예측을 위한 GIS의 적용," 한국지리정보학회지, 제5권, 제 1호, pp. 38-47.
  11. 조용찬, 장태우, 2006, "강릉지역 산사태의 기하학적 특성과 절리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지질공학회지, 제16권, 제4호, pp. 437-453.
  12. 채병곤, 조용찬, 송영석, 서용석, 2009, "AHP 분석기법을 이용한 급경사지재해취약성 평가표개발," 대한지질공학회지, 제19권, 제1호, pp. 99-108.
  13. 허명회, 1998, 수량화방법I, II, III, IV, 자유아카데미.

Cited by

  1.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Forest Environmental Factors on Land Creeping Occurrence vol.49, pp.5, 2015, https://doi.org/10.14397/jals.2015.49.5.133
  2. 지형요소와 AHP를 활용한 산사태취약지역 선정 vol.31, pp.6, 2012, https://doi.org/10.7848/ksgpc.2013.31.6-1.4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