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2672/ksis.2012.20.3.057

GIS Based Analysis of Landslide Factor Effect in Inje Area Using the Theory of Quantification II  

Kim, Gi-Hong (강릉원주대학교 토목공학과)
Lee, Hwan-Gil (강릉원주대학교 토목공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Gangwon-do has been suffering extensive landslide dam age, because its geography consists mainly of mountains. Analyzing the related factors is crucial for landslide prediction. We digitized the landslide and non-landslide spots on an aerial photo obtained right after a disaster in Inje, Gangwon-do. Three landslide factors-topographic, forest type, and soil factors-w ere statistically analyzed through GIS overlap analysis between topographic map, forest type map, and soil map. The analysis showed that landslides occurred mainly between the inclination of $20^{\circ}$ and $35^{\circ}$, and needleleaf tree area is more vulnerable to a landslide. About soil properties, an area with shallow effective soil depth and parent material of acidic rock has a greater chance of landslide.
Keywords
Land slide; Aerial photo; GIS; Quantification II;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F. C. Dai and C. F. Lee, 2003, "A Spatiotemporal Probabilistic Modelling of Storm-Induced Shallow Landsliding using Aerial Photographs and Logistic Regression," Earth Surface Processes and Landforms, vol. 28, no. 1, pp. 527-545.   DOI
2 E. A. Sezer, B. Pradhan, and C. Gokceoglu, 2011, "Manifestation of an adaptive neuro-fuzzy model on landslide susceptibility mapping: Klang valley, Malaysia," Export Systems with Applications, vol. 38, no. 1, pp. 8208-8219.   DOI
3 김기홍, 윤찬영, 이환길, 황제선, 2011, "GIS를 이용한 인제 산사태 발생지역의 토석류 분석," 한국측량학회지, 제29권, 제1호, pp. 47-53.
4 김태훈, 김계현, 남기범, 심재현, 최우정, 조명흠, 2010, "고해상도 공간영상을 이용한 자연재해 피해조사시스템 설계 및 구현,"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논문지, 제12권, 제1호, pp. 57-65.
5 박은지, 김계현, 이온길, 2008, "GIS기법을 이용한 하천 교란 실태의 분석(I),"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논문지, 제10권, 제2호, pp. 81-93.
6 박은지, 김계현, 장창래, 2008, "GIS기법을 이용한 하천 교란 실태의 분석(II),"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논문지, 제10권, 제4호, pp. 27-35.
7 양인태, 천기선, 박재훈, 2006, "GIS와 AHP를 이용한 산사태 취약지 결정 및 유발인자의 영향,"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제14권, 제1호, pp.3-12.
8 윤홍식, 이동하, 서용철, 2009, "GIS 기법 및 발생자료 분석을 이용한 산사태 위험지도 작성," 한국지리정보학회지, 제12권, 제4호, pp. 59-73.
9 이명진, 2003, "원격탐사, 지리정보시스템 및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강릉지역 산사태 취약성 분석 및 검증,"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이진덕, 연상호, 김성길, 이호찬, 2002, "산사태 발생가능지 예측을 위한 GIS의 적용," 한국지리정보학회지, 제5권, 제 1호, pp. 38-47.
11 조용찬, 장태우, 2006, "강릉지역 산사태의 기하학적 특성과 절리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지질공학회지, 제16권, 제4호, pp. 437-453.
12 채병곤, 조용찬, 송영석, 서용석, 2009, "AHP 분석기법을 이용한 급경사지재해취약성 평가표개발," 대한지질공학회지, 제19권, 제1호, pp. 99-108.
13 허명회, 1998, 수량화방법I, II, III, IV, 자유아카데미.